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아이들 방 천정에 붙여놓은 야광 별자리 빛을 내는 원리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야광 스티커의 원리는 형광물질에 있습니다.야광 스티커 형광물질의 원자내 전자는 가시광선(일반 빛)의 에너지에 의해 들뜬 상태(높은 에너지 상태)가 됩니다. 그리고 곧바로 낮은 에너지 상태가 되며 빛을 방출합니다. 이 때 방출된 빛은 가시광선 영역의 빛이기 때문에 밝게 빛나며 우리눈에 비치는 것이죠. 그리고 조금 더 자세히 설명드리면, 원자내에는 원자핵과 원자핵 주위로 전자가 존재합니다. 전자는 안정적인 위치(바닥 상태)에 존재하게 되는데, 외부에서 에너지를 받으면 이를 흡수하여 불안정한 상태(들뜬 상태)가 되며 높은 에너지를 갖게됩니다. 그리고 전자는 안정적이게 되려하는 성질이 있어 다시 안정적인 상태(바닥 상태)인 에너지가 낮은 상태로 돌아갑니다. 그런데, 곧바로 안정적인 상태가 되는 것이 아닌 들뜬 상태와 바닥 상태 사이에 중간 에너지 상태의 단계를 거쳐 서서히 안정적인 상태로 돌아갑니다. 즉, 높은 에너지에서 낮은 에너지 상태로 단계를 거쳐 바뀌면서 에너지를 내놓게 되는데, 빛(가시광선) 에너지로 방출됩니다. 그래서 불을 꺼도 어느정도 빛을 발하는 것이죠. 그리고 시간이 지나면 바닥상태로 되돌아가 더 이상 빛을 내지 못하게 됩니다.여기에 사용되는 형광물질은 황화광물, 보석류, 황화아연 등이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6
0
0
계절에 따라서 밤낮 길이가 다른 이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낮과 밤의 길이가 바뀌는 이유는, 지구의 자전과 공전에 의한 현상입니다. 또한, 지구의 자전축이 공전 궤도면에 수직하지않고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바뀌는 이유입니다. 또한, 낮과 밤의 길이가 바뀔뿐아니라 계절성도 띠게되죠.여름의 경우 남반구가 태양과 가까이 놓이게 되면, 지구가 자전하며 해를 보는 시간이 길어지게 됩니다. 이는 그림으로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아래 그림은 여름의 경우이며, 초록색은 우리나라, 노락색은 해가 비치는 부분이고, 회색 점선은 우리나라가 지구 자전에 따라 이동하는 경로입니다. 이 때 흰색 부분을 지날 때보다, 노란색 부분(해가 비치는 부분)을 지날 때의 길이가 긴 것을 보실 수 있는데, 이것이 해가 떠있는 시간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겨울의 경우는 태양이 반대 편에 위치하여 반대의 경우이고, 해가 여름보다 짧게 떠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6
0
0
전자파가 식물에게도 영향을 미칠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사람은 전자파의 영향을 거의 안받지만 식물은 받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전자파에 노출되면 식물의 줄기가 얇아지며, 잎의 크기도 줄어 듭니다. 그래서 수분이나 영양분 전달에 있어 문제가 생길 수 있죠. 그러니 꽃나무를 전자제품과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시키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16
0
0
물고기도 서로 의사소통을 하는 지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물고기도 집단 생활을 하는 종류가 있기 때문에 의사소통을 합니다. 물고기는 몸짓, 몸의 색 변화, 전기 신호, 진동 등을 통해 우리가 말하는 언어가 아닌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16
0
0
밤에 라면을 먹으면 얼굴이 붓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라면은 염분이 많은 음식입니다. 체내에 염분이 쌓이면 삼투압으로 인해 수분 흡수량이 증가하여 체내에 수분이 쌓여 얼굴이 붓게되는 것이죠. 그래서 짠 음식을 먹고나면 갈증이 나는 이유도 체내 수분이 필요하기 때문이죠. 삼투압은 농도가 낮은 곳과 농도가 짙은곳이 얇은 막으로 나뉘어져 있을 때 농도가 낮은 곳의 수분이 농도가 짙은 곳으로 수분이 흡수되는 현상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16
0
0
해저터널은 어떻게 만드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해저터널은 바다 물 속에 존재합니다. 그래서 이름도 해저터널이죠. 해저 터널을 건설할 때 터널 주변에 임시로 벽(댐)을 설치합니다. 그리고 바닷물을 잠시 퍼낸 뒤 터널을 제작하죠. 그리고 다시 물을 채우는 식으로 작업을 합니다. 그래서 바다 물 속에 해저 터널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물론 바다물의 수압을 고려하였고, 지진이 발생할 때의 상황도 고려하여 제작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0.16
0
0
우주탐사에 비해 해저탐사가 없는이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끊임없이 탐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현재까지 인간이 잠수정을 타고 도달했던 최대 깊이는 10984m(마리아나 해구의 챌린저 해연;)입니다. 이정도 깊이에서의 수압은 무게로치면 11톤 정도가 짓누르는 힘입니다.바다의 최대 깊이는 마라이나 해구의 챌린저 해연으로 11034m입니다. 현재 인류는 바다 깊숙이 탐사는 하였지만 바다의 전부를 살펴보거나 파악한 것은 아닙니다. 강한 압력과 해류에 잠수정이 불안정하고 오래있기 힘들기 때문이죠. 기술이 조금 더 갖춰지면 더욱 많은 탐사가 진행될 것으로 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6
0
0
터널에서 밝은 곳으로 빠져 나가는 상황에서의 순간 변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어두운 터널에서 밝은 도로로 나오게 되면, 우리의 눈의 동공이 확대된 상태였기 때문에 눈 부심 현상이 발생합니다.우리의 눈은 어두운곳에서 잘보려고하기 때문에 동공이 확장됩니다. 그래서 터널의 어두운 곳에서는 동공이 확장되어있죠. 하지만 밝은 곳에서는 눈의 동공이 축소되는데요. 확장된 상태의 동공으로 갑자기 밝아지는 곳으로 이동 했기 때문에 많은 양의 빛을 한번에 받게 되어 시야가 순간적으로 흐려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을 최소화 하려면 편광안경을 쓰셔서 햇빛의 양이 급격히 들어오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16
0
0
이 물고기는 어떤 종류고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안시롱핀이라는 물고기 입니다. 빨판 처럼 생겨 청소부라는 별명이 있습니다. 어항벽, 나무 벽 등의 이끼를 먹고 살며, 시금치, 애호박 등도 먹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16
0
0
사람에게 성욕이 존재하는이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성욕이 존재하는 이유는 자식을 낳고자하는 것이며 번식하고자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모든 생명체의 기본적인 본능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16
0
0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