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안개와 구름은 한 끗 차이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둘다 비슷한 원리로 형성되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안개는 고기압(하강기류)의 영향을 받으며, 구름은 저기압(상승기류)의 영향으로 형성되는 차이점이 있습니다.<안개>고기압 지대에서 새벽에 안개가 낄 수 있습니다. 밤부터 새벽까지는 식물의 광합성은 없고 호흡만 일어납니다. 그리고 호흡을 통해 수분 생성되며, 잎의 기공을 통해 나와 잎의 표면에 물이나 수증기의 형태로 존재하게 되죠. 그리고 고기압의 영향으로 수증기가 증발하지 못하고 지표면에 쌓이게 되는데, 기온이 낮은 새벽에 수증기가 쌓이며 포화수증기량을 넘어서 안개를 형성하게 됩니다. 그리고 안개 낀 날의 낮에는 대부분 날씨가 맑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고기압 지대이기 때문이죠.풀숲이 아닌, 저수지가 있는곳이나 해안가, 호숫가에서는 물의 증발로 인해 안개가 발생 가능합니다.다른 경우는 비가 오고 난 뒤 습해진 공기와 풀잎이나 나뭇잎에서 물의 증발이 일어납니다. 증발된 수증기가 산을 오르는 기류를 만나 천천히 올라가게 되면 팽창되고 기온이 떨어지게되죠. 그러면서 수증기는 물로 변하게 되는데 이때 안개가 되는것입니다. 그래서 습한날 산에 보면 작은 안개가 많이 보이는 이유입니다.<구름>구름이 생기는 원리는 공기가 상승하는 기류(저기압)를 만나 상승하면서 부피가 커지고 온도가 떨어집니다. 때문에 공기중 수증기가 물이되면서 구름이 형성됩니다. 그런데, 구름이 형성될 때 지형, 기압, 수증기량, 수증기량의 분포도 등 아주 다양한 변수에 의해 모양이 결정되기 때문에 각기 다른 모양의 구름이 형성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6
0
0
겨울에는 건조하고 여름에는 습한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기단에 의한 영향입니다. 여름에는 습하고 온난한 기단이 우리나라를 지배하고 있으며, 겨울에는 건조하고 한랭한 기단이 지배하기 때문입니다.여름에는 남동쪽에서 올라온 기단인 북태평양 기단으로인해 습하고 온난해집니다. 겨울에는 북서쪽의 건조하고 한랭한 기단인 시베리아 기단이 넘어오기 때문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6
0
0
해수 담수화로 범 지구적인 물부족을 해결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몇 년이 지나야 전 세계 전체적으로 물을 풍족하게 쓸지는 정확하게 모르겠지만, 현재 해수담수화 기술이 많이 개발되어 있어 육지와 멀리 떨어진 섬에서 사용중이며, 이 기술을 이용해 식수를 만들어 아프리카에 전달하고도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0.16
0
0
오존층은 자연적으로 복구가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과거 프레온 가스로 인해 오존이 파괴되는 것을 관측한 뒤 프레온 가스의 사용을 대폭 줄였습니다. 그 후 현재 오존층이 많이 회복 되었다고 합니다.산소(O2)는 자외선에 의해 쪼개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다른 산소(O2)와 만나 오존(O3)가 되는 것이죠. 이를 반복하여 오존이 복구될 수 있습니다. 오존은 우리 지구의 온도를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우주로 빠져나가는 복사열을 잡아두며 지구의 온도를 적절하게 유지시켜주죠. 오존이 파괴되면 복사열을 잡아두지 못해 기온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오존은 우주에서 오는 강한 자외선을 흡수해주기 때문에 우리를 강한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해 주는 역할도 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16
0
0
새와 전선이 비감전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전선 피복이 벗겨져 있지 않다면, 새는 전깃줄에 앉아도 감전되지 않습니다.새가 감전되지 않는 이유는 새가 전선에 착지하게 되면 전선과 병렬로 연결된 셈이기 때문입니다. 병렬로 연결 된 회로에서는 한쪽 저항이 크게되면 저항이 작은 쪽으로 전류가 흐릅니다. 새의 몸은 하나의 저항체로 저항이 매우 큰 전선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새와 병렬로 연결된 전선은 저항이 매우 작은 전선이기 때문에 병렬연결된 상태에서 저항이 작은 전선 쪽으로 전류가 흐르고 새쪽으로는 전류가 흐르지 않습니다. 이러한 현상 때문에 사람도 매달려 있으면 감전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0.16
0
0
인류는 달에 가서 살 수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달에는 대기가 없어 방사선, 우주선(우주에서 날아오는 물질, 입자), 자외선 등에 노출 되며, 질문자님께서 말씀하신 운석의 충돌도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사실 달에 기지를 만들어 살기란 쉽지 않죠. 기지가 굉장히 튼튼해야하며 앞서 말씀드린 물질들로부터 보호가 되어야하고, 영양분 및 산소 등 사람이 살아가는데 필요한 것들을 제공해 주어야 하기 때문입니다.그래서 살기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잠깐 잠깐 방문하여 기지에서 머물며 탐사활동을 할 정도는 가능하다고 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6
0
0
생선이나 고기 구울때도 미세먼지가 발생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생선이나 고기를 구울 때에도 연기가 발생하게 되는데, 연기도 하나의 입자 알갱이 입니다. 그리고 이 입자 알갱이의 크기가 아래와 같이 분류되면서 미세먼지나 초미세먼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물론 호흡기에 들어가면 안좋죠. 그래서 기침이 나는 것입니다. 매연이나 고기, 생선을 구울 때 나오는 성분이 같을 수 있습니다.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등의 물질이 방출되기 때문이죠.미세먼지의 경우 10㎛ 이하의 크기를 갖는 입자입니다.초미세먼지의 경우 2.5㎛ 이하의 크기를 갖는 입자입니다.
학문 /
화학
22.10.16
0
0
알쏭달쏭한 층간소음 위치,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방은 육면체 구조로 사방이 벽으로 둘러쌓여있습니다. 그래서 아랫집에서 공사를 하여도 윗집에서 공사하는 것처럼 들릴 수 있습니다. 그러한 이유는 질문자님께서 생각하신대로 벽과 천장의 진동에 의해 소리가 윗부분에서 아랫 부분으로 전달됐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귀에서 착각을 불러일으킨 것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0.16
0
0
여름철 불청객, 초파리는 어떻게 번식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초파리는 미세한 틈을 타서 들어와 당이나 산이 가득한 음식에 알을 낳기도 하지만, 애초에 우리가 샀던 과일 껍질에 알이 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가 과일을 먹고 방문을 닫아놓거나 화장실 문을 닫아놔도 초파리가 생길 수 있죠. 그래서 과일을 다 먹고 남은 음식물을 밀폐하여 보관하거나 빠르게 버리는것이 가장 좋습니다. 초파리는 번식력이 빨라 개체수가 금새 늘어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16
0
0
백야현상은 왜 특정 지역에서만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백야현상은 24시간 하루 종일 해가 떠있는 현상입니다.백야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는 지구의 자전축이 지구의 공전 궤도면에 수직하게 서있지 않고 조금 기울어져 있기 때문입니다.자전축이 기울어진 상태에서 태양 주위를 공전하며 지구가 자전할 경우를 상상해보죠. 만약 지구가 태양 주위를 공전을 하다가 자전축이 태양 방향으로 기울어진 위상이 되면, 자전축 부분은 태양 빛에 노출이 됩니다. 그리고 자전을 한바퀴 하더라도 여전히 태양은 자전축을 비추고 있는 상태죠. 그러면 자전축 부근(극지방 및 고위도)에 사는 사람들은 해가 지는 광경을 보지 못할 것입니다. 하루가 지나도 해가 떠있죠. 이것이 백야 현상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6
0
0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