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고양이나 강아지를 볼때 귀여움을 느끼는건 본능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어려운 질문이네요. 귀여움을 느끼는 것이 본능일 수도 있다고 생각하며, 경험에서 배운 표현일 수도 있겠다라는 생각이 드네요. 그런데 개인적으로는 후천적인 영향인것 같습니다. 귀여운 존재, 멋있는 존재, 예쁜 존재는 비슷하지만 다르게끔 표현하는데 사람마다 다르게 느끼고, 미의 기준이 국가마다 다르기 때문에 환경적인 요인에 의한 후천적인 것이라고 생각이 듭니다.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다른 의견도 궁금하네요. 관심질문으로 남겨두겠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14
0
0
고온 고습에 관한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고온 다습한 열악한 환경에서도 제품이 오랫동안 작동하는 것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여 제품의 성능 신뢰도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죠.저러한 규정을 둔 이유는 실험적으로 관찰한 결과들을 기반으로 내린 규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품질 보증 기한은 단순히 저 규정을 따른 것이 아니라 품질 보증 기한을 신뢰성 있게 보이려는 테스트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10.14
0
0
밤에는 소음이 위로 올라오는게 맞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소리가 위로 휘지 않고 지면 방향으로 휩니다. 저녁에는 위로 올라가는 소리도 지면 방향으로 휘기 때문에 크고 잘 들립니다.저녁에는 지면이 차가운 상태이고 지면과 맞닿는 공기가 차갑게 됩니다. 또한 공기층 상층부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따뜻합니다. 이러한 상황에 소리를 내게되면 찬공기를 타고가던 소리가 따뜻한 공기와 만나 굴절을 하게 됩니다. 이때 굴절은 소리의 속력이 빠른곳에서 느린곳으로 굴절이 이루어집니다. 그리고 소리는 온도가 높은 공기 중에서 속력이 빨라집니다. 왜냐하면 온도가 높을수록 공기 분자의 운동이 활발해지고 소리의 전달도 잘하기 때문이죠. 따라서, 밤에 소리를 내면 지면과 가까운 쪽의 공기가 차갑고 상층부가 따뜻하므로 소리가 하늘로 퍼지지 않고 땅쪽으로 굴절을 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밤에 소리가 잘 들리는 이유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0.14
0
0
가장 시력이 좋은 생물은 한계가 어떻게되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상에서 시력이 가장 좋은 동물은 타조입니다. 무려 시력이 25.0이며 20km의 거리에서의 물체도 구분한다고 합니다.태국의 모겐족의 시력은 9.0이라고 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14
0
0
공기중 차가운공기는 아래로 뜨거운 공기는 위로가는 원리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뜨거운 공기는 밀도가 작으며(널널하가게 분포), 찬공기는 밀도가 크기(빽빽히 분포) 때문에 찬공기가 아래에 깔리고 따뜻한 공기는 위로 올라갑니다.왜 뜨거운 공기가 밀도가 작으며, 찬공기가 밀도가 큰지 이해하기 위해서는 온도라는 개념의 이해가 필요합니다.온도의 정확한 개념은 입자, 분자들의 평균 운동에너지입니다. 입자(분자)의 운동이 활발할수록 온도가 높은것이며, 운동이 느릴수록 온도가 낮은것이죠. 그러면 뜨거운 공기는 분자 운동이 활발하여 서로 거리가 멀리 떨어진 상태입니다. 행동 반경이 넓죠. 즉 밀도가 낮은 솜사탕의 경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반대로 차가운 공기는 분자 운동이 거의 없어 분자간의 거리가 가까운 상태입니다. 즉 밀도가 높죠. 마치 설탕 한 봉지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러면 솜사탕의 경우는 설탕 한 봉지보다 가볍습니다.정리하면 뜨거운 공기가 밀도가 낮아 위로 올라가게 되고, 차가운 공기가 밀도가 높아 가라앉게 되는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14
0
0
전세계적 초고층 마천루들은 상층부가 흔들리도록 설계된다는 것이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사실입니다. 흔들림없이 견고하고 딱딱하게 짓게되면 강한 바람에 의한 진동, 지진에 의한 진동에너지를 그대로 전달받기 때문에 쉽게 금이 가거나 무너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외부에서 오는 충격이나 진동에너지를 손실시키고 흡수시키기 위해 흔들리게 건설해둔 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4
0
0
곤충은 표정을 지을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아니요 곤충의 얼굴 표면에 근육이 없으며 딱딱한 부분부분 구조로 되어 있어 미소나 슬픈 표정 등을 지을 수 없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14
0
0
속도 측정기는 어떤 원리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빠른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는 원리는 도플러 효과입니다!도플러 효과를 사용한 속도를 측정하는 원리는 특정한 진동수 및 파장의 빛을 쏴서 차량에 부딪혀 반사되어 돌아온 빛의 진동수나 파장을 관측해 변경된 정도를 가지고 속도를 측정합니다. 특정 파장의 빛을 달려오는 차량에 쏘게 되어 반사되어 나온 빛의 파장은 짧아 집니다. 그리고 차량의 속력이 클수록 차이가 커지죠. 이러한 도플러 효과를 이용하여 차량의 속력을 알아내는것입니다. 빨라도 측정이 가능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물리
22.10.14
0
0
종이에 베인 상처는 더욱 아픈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종이의 끝 부분은 칼보다 날카롭지 않으며 매끄럽게 처리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종이에 베인 상처는 칼에 베인 상처보다 더 따갑고 아프며, 칼이 칼이라면 종이는 톱인 느낌이죠. 상처난 곳에 소독을 하시고 연고를 바르면 빨리 나으실 겁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공학
22.10.14
0
0
형광물질이 빛을 내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형광물질은 자외선에 잘 반응하는 원자들로 구성되어있습니다.형광물질의 원자내 전자는 자외선의 에너지에 의해 들뜬 상태가 됩니다. 그리고 곧바로 다시 낮은 에너지 상태가 되며 빛을 방출합니다. 이 때 방출된 빛은 가시광선 영역의 빛이기 때문에 밝게 빛나며 우리눈에 비치는 것이죠. 그래서 형광물질이 태양 빛을 받으면 빛을 발하는 것입니다.조금 더 자세히 설명드리면, 원자내에는 원자핵과 원자핵 주위로 전자가 존재합니다. 전자는 안정적인 위치에 존재하게 되는데, 외부에서 에너지를 받으면 이를 흡수하여 불안정한 상태(들뜬 상태)가 되며 높은 에너지를 갖게됩니다. 그리고 곧바로 전자는 안정적이게 되려하는 성질이 있어 다시 안정적인 상태(바닥 상태)인 에너지가 낮은 상태로 돌아갑니다. 이 때 높은 에너지에서 낮은 에너지 상태로 바뀌면서 에너지를 내놓게 되는데, 빛 에너지로 방출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0.14
0
0
316
317
318
319
320
321
322
323
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