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현시점에서 배터리를 긴시간 사용할수있는것이없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아쉽게도 배터리, 전지 기술이 그정도의 영역에는 미치지 못합니다. 또한 과거보다 배터리의 수명을 늘리고 경량화하였지만, 배터리가 발달한 만큼 cpu, ap(스마트폰의 cpu), 그래픽 등의 성능이나 기술도 발달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배터리 용량이 커지는 만큼 소모량도 커지기 때문에 배터리를 길게 사용하기가 어렵습니다. 그런데 작년 말에 IBM이 삼성과 공동개발하여 일주일 갈 수 있는 배터리를 발표한 적이 있습니다. 이러한 혁신적인 배터리가 나온다면 스마트폰을 길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14
0
0
지금의 과학발전 속도라면 로봇이 인간의 업무를 90%이상 대채할 날이 머지않아 올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로봇이 현재 인간이 하는 대부분의 일을 대신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왜냐하면 로봇은 컴퓨터 코딩으로 작동하며, 사람이 잘만 코딩한다면 단순 반복 작업 뿐 아닌 조금 더 복잡한 일들도 해낼 수 있기 때문이죠.그렇지만 일자리를 잃는 것은 아닙니다. 만약 로봇이 현재 사람들이 하는 일을 대체한다면 사람이 할 수 있는 일의 유형이 바뀔 것입니다. 로봇을 관리하거나 유지 보수하는 일이 있을 것이며, 로봇을 개발하는 일도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로봇이 하는 일 외에 사람이 할 수 있는 일은 굉장히 많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러한 일자리를 얻거나 조금 더 적성, 흥미에 맞는 일들을 찾아 나설 것입니다. 물론, 이러한 날이 다음세대가 될지 다다름 세대가 될지 언제가 될지는 모릅니다. 세상은 빠르지만 사람이 적응할 정도로 변화하기 때문에 큰 걱정은 안해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10.14
0
0
지구는 둥근가요, 평평한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가 보는 지구는 둥근것이 맞습니다. 다누리호가 찍은 지구, 달 사진이 있으며 여기에도 둥근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또한 나사에서 찍은 지구의 모습도 둥글죠. 물론 조작도 아니죠. 우리는 달이 지구의 그림자로 가려지는 개기월식이나 부분월식을 관측하게 되는데, 그림자의 모습은 동그랗습니다. 또한 지구가 평평하다면 모든 물리법칙이 다시 쓰여져야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4
0
0
꼭 고농축 우라늄만이 핵무기 원료로 사용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핵무기는 핵분열에의한 에너지를 이용합니다. 이 때 고농축이 되어야하는 이유는 우라늄이 중성자 충돌에 의해 붕괴 될 때 연쇄적인 반응이 즉각적으로 빠르게 일어나야 강력한 폭발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핵분열은 불안정한 원자(우라늄-235과 같은)에 중성자를 충돌시켜 불안정한 원자가 다른 원자로 변하며 결손되는 질량이 발생하는데, 이 결손된 질량이 에너지로 전환됨에 따라 에너지를 얻어지는 것입니다. 불안정한 원자에 중성자를 충돌 시킴으로써 붕괴를 시키는데, 이 반응이 연쇄적으로 일어나 많은 양에 에너지를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연쇄 반응이 끝나면 에너지는 더 이상 나오지 않기 때문에 불안정한 원자(우라늄-235과 같은)가 원료로 필요합니다.만약 고농축이 아닌 우라늄의 경우 연쇄 반응이 더디거나 일어나지 않을 수 있으며 에너지가 방출되긴하지만 폭발의 강력한 위력은 없을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14
0
0
땀을 흘리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사람은 항상성유지(온도, 체온, 농도)를 위해 호르몬이 분비되면 신체 반응이 일어납니다. 땀을 흘리는 이유도 신체 내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더울 때 체내 온도가 올라가게 되는데, 올라간 온도를 떨어뜨리기 위해 땀을 흘립니다. 땀이 체외로 배출돼 공기중으로 증발이 일어나는데, 이 때 우리의 몸의 열을 빼앗아 증발합니다. 그러면서 우리의 몸의 온도가 떨어지는 것이죠. 또한 땀 배출은 물만 배출하는 것이 아닌 노폐물도 함께 배출해줍니다.강아지의 경우는 땀샘이 발바닥에 위치하며 우리 사람과 같이 온도를 낮추기 위함입니다. 또한 혀를 통해서도 열을 식힙니다. 그리고 몸에 땀샘이 조금씩 분포하는데 이는 땀이아닌 냄새를 나게하는 구멍으로 땀냄새를 통해 강아지들간 냄새를통해 서로를 파악한다고 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물리
22.10.13
0
0
일산화탄소 사고가 자주 일어나는 이유와 가스 중독을 감지하는 방법은?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일산화탄소의 경우 무색, 무취(무향), 무색, 무맛의 특징을 가진 가스라 누출시 경보기가 없으면 알아차리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일산화탄소 중독 사고가 많이 발생하죠.이러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적절한 위치에 일산화탄소 누출 경보기를 설치해야합니다. 가스 누출사고시 일산화탄소는 공기와 비슷한 무게이며 조금 더 가볍기 때문에 위로오르는 성질이 있습니다. 그래서 경보기를 천장에서 10-30cm사이에, 벽면과 10cm이상 떨어진 거리에 설치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입니다. 일산화탄소는 집안 모서리 부분(벽과 천장에서 10cm이내)에서는 위치하지 않아 이곳에 경보기를 설치하면 안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13
0
0
비행기 엔진은 몇개 인지 알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비행기의 엔진은 보통 2-3개 정도를 사용하여 운항합니다. 또한 작은 비행기의 경우와 우리나라 비행기들은 2개의 엔진을 사용하죠.비행기의 엔진에 대해 많게는 4-6개도 사용하지만 그렇게 효율적이지는 않다고 합니다.도움리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10.13
0
0
인공위성은 어떻게 비행을 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인공위성은 지구의 중력을 구심력으로하여 원운동(타원운동)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어릴 때 실끝에 물건을 매달아 돌려본 경험이 있을 것입니다. 물건은 팽팽해진 실끝에서 멀어지지도 가까워지지도 않은 채 원운동을 하죠. 이 때 실의 팽팽한 장력이 구심력을 만들기 때문인데요. 지구와 인공위성 사이에 중력이 이 역할을 해주기 때문입니다.인공 위성의 원운동을 조금 다르게 해석하면 아주 긴 시간 동안 낙하하고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무한히 긴 계단을 생각해보죠. 우리가 계단을 내려갈때 점프하면 멀리 떨어질 수 있습니다. 세게 점프하면할수록 더욱 멀리까지 나아갈 수 있을것입니다. 그런데, 아주 빠르게 뛰어 점프하면 계단에 떨어지지 않고 계속 낙하하게 되는데, 이러한 이유는 지구가 둥글기 때문이죠. 그래서 원운동은 영원히 떨어지고 있다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3
0
0
구름이 멋진 계절이 왔네요 !~구름모양은 어떻게 형성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구름이 형성될 때 지형, 기압, 수증기량, 수증기량의 분포도, 온도, 바람 등 아주 다양한 변수에 의해 모양이 결정되기 때문에 각기 다른 모양의 구름이 형성됩니다. 하지만 크게 보면 얇은 구름, 두꺼운 구름 등 어느정도 형태가 잡힐 수 있습니다. 이는 지형이나 기류의 조건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입니다.또한 계절이 변하면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는 기단의 변화가 생기는데 이로인해 기압, 온도 등이 변해 계절마다 구름이 다른 모양으로 형성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3
0
0
침맞으면 몸이 좋아지는거 같은데 과학적으로 증명된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어느정도 과학적인 것입니다. 침을 맞으면 혈이나, 근육, 신경에 자극을 주게되면서 마비, 뻐근함, 근육뭉침 등을 풀어낼 수 있습니다. 또한 어떤 연구진은 침의 과학적 효능을 입증 하기 위해 침을 맞을 때 뇌의 변화를 확인하며 과학적으로 입증한 사례도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물리
22.10.13
0
0
316
317
318
319
320
321
322
323
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