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말은 힘은 어느 정도인가요? 얼마의 무게까지 탈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현재 말의 힘은 4마력 정도의 힘으로 1초동안 300kg의 물체를 1m 들어올릴 수 있는 힘을 가졌습니다.말의 힘을 마력이라고 하죠. 마력은 말이 끄는 평균적인 힘으로 나라마다 조금씩 기준이 다를 수 있습니다. 영국에서의 마력을 기준으로 1마력( 1hp (horsepower) ) = 745.7W입니다. 즉, 말은 1초에 745N을 1m 들어올릴 수 있습니다. 다시말하면, 말의 힘으로 1초에 75kg의 물건을 1m 들어올릴 수 있습니다. 이러한 말의 힘의 정의는 과거 말의 기준으로 평균적으로 끌어 당기는 힘으로 말이 걸으면서 끄는 힘이나 세게 끄는 힘으로 측정한 정도입니다. 현재의 말은 과거보다 잘먹고 운동 체계도 갖춰져 있기 때문에 훨씬 셉니다. 보통 4마력(4hp) 정도의 힘이라고 합니다. 강한 말의 경우는 4마력보다 센말도 존재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물리
22.10.11
0
0
모 차량회사의 가스차 구매를 생각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정말 비상상황에 부탄가스를 넣어도 주행이 가능합니다. LPG에는 부탄 가스 성분이 들어가기 때문에 부탄가스 한 캔으로 3km 정도를 갈 수 있다고 합니다. 이는 비상충전기(부탄가스 어뎁터)를 이용하여 충전이 가능하며, 아주 비상상황에서만 사용하는게 좋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11
0
0
우주망원경 제임스웹은 앞으로 문제없이 작동될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제임스 웹이 미소 유성체, 즉 유성진(작은 암석 입자)과 충돌을 했는데, 예상보다 타격이 컸다고 하죠. 유성진과의 충돌은 예상했지만 이번 충돌의 타격은 예상 범위를 벗어난것이라고 합니다. 충돌은 관측시 사용되는 18개의 거울 중 하나에 충돌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이 부분은 하드웨어 부분의 타격이기 때문에 수리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NASA 입장에서 밝히길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성능이 저하 되겠지만 지속적으로 최선을 다해 성능을 극대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1
0
0
예전과 달리 요즘 수명이 늘어난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 사람에게 해로운 것도 많이 생겼지만 이로운 것도 많이 생겼기 때문입니다. 건강을 유지할 수 있게 운동과 정신적인 즐거움을 가질 수 있는 취미등이 다양해 졌습니다. 또한, 병에 걸리거나 다쳤을 때 치료할 수 있는 기술이 굉장히 많이 발달했기 때문에 더욱 건강하게 살 수 있는 것이죠. 그래서 과거에 비해 병에 걸려 죽는 사람이 줄어들었고 평균 수명이 늘어난 것이죠. 하지만, 병에 걸려 죽는 사람이 줄어든 반면 교통사고나 다른 사고에 의해 죽는 사람은 늘어났다는 안타까운 점도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11
0
0
사람들은밤에잠을자다왜 생생학 꿈을꿀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꿈을 꾸는 이유는 우리의 뇌는 잘 때에도 홛동을 하기 때문입니다. 보통 잠을 자게 되면 뇌, 근육, 몸의 휴식입니다. 그런데, 잠을 자는 내내 뇌가 휴식을 취하는 것은 아닙니다. 뇌는 깨어있을 때보다 덜 활발하지 않지만 우리가 잠을 잘 때에도 활동을 하게 됩니다. 이러한 활동이 무의식이나 생각, 상상으로 이어지면서 꿈을 꾸게 되는 것이죠. 또한, 잠을 잘 때 얕은 수면과 깊은 수면을 주기적으로 반복하면서 자게 되는데, 얕은 수면을 잘 때 꿈의 내용이 생생히 기억나는 것입니다. 꿈의 내용에 대해서는 흉몽, 길몽 등 나뉠 수 있지만 이러한 것에 대해서는 과학적인 근거가 없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11
0
0
인천바다의 물때가궁금함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밀물과 썰물은 조수간만의 차라고 하는것이죠. 조수간만의 차는 태양, 달의 만유인력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지구는 태양 주위를 공전하고 달은 지구 주위를 공전합니다. 그리고 지구는 자전을 하고 있죠. 그래서 지구가 자전하면서 우리나라가 달과 가까워지거나 태양과 가까운 위치에 놓일 때가 있습니다. 이때 만유인력이 작용해 해수면이 상승하고, 태양이나 달과 가장 멀어지는 시기에 해수면이 하강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조수간만의 차가 나타나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1
0
0
비행기는 새들처럼 날개를 위아래로 흔들지 않는데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새가나는 원리는 비행기가 양력을 이용해 날아가는 원리와 비슷하지만, 추진력을 얻는데 있어 작용-반작용을 사용합니다.비행을 하는데 크게 두 가지 원리가 있습니다. 첫째, 양력을 얻는 원리가 있으며 둘째론 작용-반작용이 있습니다.양력을 얻는 원리는 압력차에 의한 힘에 의한 것입니다. 이는 비행체가 추진력(속력)을 얻고 난 뒤부터 지속적으로 하늘에 떠있을 수 있는 원리입니다. 비행체의 날개에서 주로 얻게되는데, 날개의 윗부분은 곡면으로, 아랫부분은 평평한 면으로 하여 윗부분에서 공기의 흐름, 유속을 빠르게 해줌으로써 압력을 낮추는 것입니다. 그러면 날개의 아랫부분에서 윗부분으로 힘을 받게되어 뜰 수 있습니다. 비행기나 새의 날개의 경우 양력을 얻기에 적합한 구조로 되어있습니다. 날개의 윗부분은 곡면, 아랫부분은 평평하죠.작용-반작용은 새의 날개짓을 통해 공기를 지면으로 밀어내는 힘(작용-반작용)으로 새가 뜰 수 있는 추진력을 얻는 것을 의미합니다. 비행하기 위해 초반에 강한 날개짓을 통해 공기를 지면으로 수직하게 튕겨내면서 새의 몸체가 위로 뜰 수 있는 것이죠. 그리고 날개짓으로 추진력을 얻고 양력을 통해 비행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이러한 원리들 때문에 새나 비행기의 날개는 필요한 것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1
0
0
법선벡터 미는 힘에 링크 구조를 통한 받는 힘 공식이 이게 맞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질문자님께서 2번째 줄에 써놓으신것인 법선벡터가 작용하는 힘은 F1*cos(4.24)가 맞습니다. 저항력에 대해선 제가 잘 모르겠네요.
학문 /
물리
22.10.11
0
0
나무는 물과 영양소를 뿌리에서 잎까지 어떻게 옮길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나무내부에는 뿌리부터 나뭇가지, 잎파리까지 연결된 물관이 존재합니다. 이 물관은 얇기 때문에 중력을 거슬러 올라갈 수 있는 모세관 현상도 일어나며, 나뭇잎에서는 수분을 소모하여 광합성을 하기 때문에 물을 끌어올리는 힘을 만들어 줍니다. 이러한 현상들로 물이 뿌리부터 나뭇잎까지 도달할 수 있는 것이죠.모세관 현상이란 가는 관에 액체가 끌려 들어가는 현상입니다. 액체 내의 분자간 인력과 관의 표면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에 의해 끌어 들어가는 원리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0.10
0
0
날씨가 추운 겨울에는 화장실을 자주가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여름에는 덥기 때문에 땀배출이 겨울에 비해 잦습니다.(많아 집니다) 그래서 체내에 있는 수분이 땀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여름에는 겨울보다 소변량이 적을 수 있습니다. 반대로 겨울에는 땀배출이 적어 소변을 자주 보게 되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0.10
0
0
334
335
336
337
338
339
340
341
3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