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공기중에는 다양한 기체가 존재하는데...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Q. 그럼, 사람이 호흡할때 이런 가스도 같이 들이마시고 있는 건가요?이런 가스들은 사람한테는 무해한 건가요?A. 네, 호흡할 때 공기를 마시기 때문에 질소, 산소, 이산화탄소 등 여러가지 기체를 마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 몸에서 흡수되는 것은 산소 뿐입니다. 다른 기체는 우리몸에서 필요로 하지않기 때문에 폐에 들어오게 되어도 산소만 흡수되지 나머지는 그대로 나갑니다. 그래서 무해하지 않죠.Q. 추가로..도시보다 시골이나 깊은 산속이 산소의 농도가 더 높은가요?A. 네, 시골 깊은 산속에는 도시와는 달리 나무와 풀이 많이 있습니다. 나무와 풀은 광합성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소비하여 산소를 다수 만들어냅니다. 그래서 공기중에 산소의 농도가 높은 상태입니다. 그래서 공기가 좋다고 하는 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09
0
0
사람마다 느끼는 체온온도가 다른 이유는 무엇때문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사람의 평균 체온은 36.5도 이지만, 이 체온은 몸의 내부의 온도입니다. 보통 사람의 피부나 말단 부위(귓볼, 손가락, 발가락 등)의 온도는 36도가 아닌 30도 정도이며, 운동을 하거나 에어컨을 틀어놓거나 하는 등 다른 요인에 의해 바뀔 수 있는 온도입니다. 또한, 지방층이 두꺼우면 열을 잘 빼앗기지 않아 열을 보존하는데 있어 좋기 때문에 환경의 온도가 변해도 춥거나 더움을 잘 느끼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래서 사람마다 피부의 온도가 다를 수 있으며 앞서 말씀드린 요인에 의해 느끼는 온도가 다를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09
0
0
에너지 보존의 법칙으로 영구자석의 영구적인 에너지를 설명할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에너지 보존 법칙에 대한 사고>영구 자석이 우주 내에 존재하고 있어도 우주 전체적인 에너지는 보존됩니다. 또한 우주가 생성되면서 초기 상태의 총 자기 에너지가 0이었다면, 영구자석이 만들어지면서 생겨난 자기력에 대해서도 에너지가 0이 됩니다. 물론 영구자석을 만지거나 움직이면서 가해준 에너지가 자석 입장에서는 얻어진 에너지로 자기 에너지의 총합이 0보다 크게 되어도, 우주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만지거나 움직이면서 손실된 에너지가 생기므로 에너지의 총합은 0이 된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자기력 생기는 근원>자기장(자석)을 갖는 방법은 2가지가 있습니다. 전류, 스핀이 있는데 이에 대한 개념 설명을 먼저 드리겠습니다.전류란 전하량(전기적 +, - 극)을 가진 물질이 움직이게 되면 이를 전류라고 합니다. 즉, 시간당 이동한 전하량입니다. 전류가 흐르게 되면 흐르는 전류 주변으로 자기장이 생깁니다. 이러한 현상을 패러데이라는 과학자가 발견하였습니다.스핀이란 자연을 이루는 기본적인 입자, 전자, 광자(빛), 양성자(쿼크 3개), 중성자(쿼크 3개) 등이 가지고 있는 물리량으로 자기장에 반응(상호작용)하며 스핀 간의 상호작용도 합니다. 또한, 스핀이 자기장을 만들기도 하죠. 스핀은 질량, 전하량 처럼 물질이 가지고 있는 물리량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물리
22.10.09
0
0
우주의 소행성은 지구에서 폭파시킬수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소행성이 있긴 하지만 몇 년사이에 지구로 떨어질만한 소행성이 있지는 않습니다. 과학이 발전하며 천체에 존재하는 행성, 소행성의 운동과 궤적을 예측할 수 있는 능력이 생겼기 때문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또한 NASA에서는 소행성 충돌 실험을 목적으로 다트 우주선을 발사해 디모르포스라는 소행성을 정확하게 충돌시켜 디모르포스 소행성의 궤적을 변경하는데 성공하였다고 합니다. 이러한 실험 성공 결과를 바탕으로 소행성이 다가올 경우 강력한 폭탄을 우주선을 통해 운반하여 소행성에 충돌 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보게해주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09
0
0
내성 발톱과 손톱은 유전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내성 발톱, 손톱은 선척적인 경우도 있지만 후천적으로도 생길 수 있습니다. 선천적으로 손톱, 발톱 모양이 과하게 굽어 있는 경우에 내성 발톱이 생길 수 있습니다. 또한 후천적으로도 손톱이나 발톱의 옆 부분을 과하게 바짝 자르게 될 경우 내성발톱, 손톱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09
0
0
발톱이 늦게 자라는 이유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손톱은 한달에 평균 3mm정도, 발톱은 평균 1mm정도 자라납니다. 손톱이 자라는 속도는 발톱이 자라는 속도보다 빠르죠. 이렇게 손톱과 발톱의 자라는 속도차이가 나는 이유는 손가락, 발가락의 사용 정도에 따라 다르다고합니다. 보통 발가락보다 손가락을 더 많이 사용하므로 손톱이 빨리 자라나는 이유라고합니다. 그리고 이는 거의 모든 사람들한테서 비슷하게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10.09
0
0
번개가 생기는 구름은 정해져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번개가 칠 수 있는 번개는 정해져 있지 않으며 기압(구름의 높이), 구름 내 수증기량과 물의 양에 따라 언제든 변화할 수 있는 조건입니다. 그래서 구름을 보고 저것이 번개를 치는 구름이다 라고 말하긴 어렵습니다.천둥, 번개는 두꺼운 구름이 형성 됐을 때 그 안에 분포하는 물과 수증기의 음전하가 강해지면서 높은 전압을 형성해 공기를 방전시키며 천둥이 치게 됩니다. 또한, 물과 수증기의 음전하의 양에 대해 번개가 칠만한 기압도 형성되어 있어야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09
0
0
자율주행기술은 현재 어디까지 왔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현재 개발중이며 자율주행차의 단계별로 존재합니다.자율주행은 총 6단계로 구성이됩니다. 현재 2~3단계 정도 입니다.0단계 : 자율주행기능이 없음.1단계 : 자동 브레이크나 자동 속도 조절인 크루즈 컨트롤, 차선이탈 경보 시스템 등이 있음.2단계 : 페달 조작없이 주행 가능, 방향지시등을 조작함에 따라 차선을 자동으로 변경하는 기능이 있음.3단계 : 차량에 내장된 컴퓨터가 교통신호, 도로 흐름을 인식하여 주행을함. 주로 고속도로에서 기능 사용 가능.4단계 : 고속도로, 일반도로에서 자율주행이 가능. 운전자가 휴식이 가능.5단계 : 무인 자동차 가능.완전한 자율주행차인 5단계 자율주행의 경우 언제 상용화되며 완성된 기술이 될지 정확하게 가늠이 힘듭니다. 그렇지만 100% 자율주행자동차에 대해 2027년까지 출시하겠다는 목표를 둔 회사도 있습니다. 아마 회사가 목표를 달성하게 되면 2030년안에 완전한 자율주행자동차가 출시될것으로 예상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10.09
0
0
미라의 보존 방식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미라는 서늘하거나 추운 환경과 건조한 환경에서 화학물 처리되어 피부와 살이 썩지 않고 말라 보존된 시체입니다. 당시 고대 이집트에서 화학물인 방부제로 사용한 몰약(myrrh)를 포르투갈어로 미라(mirra)라고 불리우며 미라가 되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09
0
0
바퀴벌레는 언제부터 생존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바퀴벌레는 1억 4550만년 전부터 6600만년 사이 시기인 백악기때 처음 출몰하였으며, 현재와 모습이 조금은 달랐다고 합니다. 평균 1억년 전 부터 현재까지 진화하며 개체를 이어오며 살아온 바퀴벌레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09
0
0
334
335
336
337
338
339
340
341
3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