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바다거북의 성별이 실제로 바다의 수온에 따라 결정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바다거북이 알에 있을 때 주변 온도에 따라 수컷인지 암컷인지 정해집니다. 왜냐하면 주변 온도에 따라 유전자의 활동성이 달라져 성별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대략 30도를 기준으로 수컷 암컷이 갈라지는데, 30도 이하면 수컷, 30도 이상이면 암컷이 됩니다. 그런데 지구 전체 적으로 기온이 상승하게 되면 암컷의 수가 많아지기 때문에 멸종위기에 이를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09
0
0
3진법을 사용한 반도체(메모리 등) 가 곧 나올 수 있을 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3진법 반도체의 장점은 기존 0, 1 이진법 체계의 반도체보다 연산이 빠르고 소비전력도 낮아 효율이 좋아지게 됩니다. 언제가 될진 모르겠지만 현재는 상용화를 위한 연구와 안정성을 갖추는 단계입니다. 그래서 연구 개발 현황에 따라 상용화의 시점이 정해질 것으로 보며 지켜봐야 상용화의 시점을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0.09
0
0
풍선이 터지지 않는 상태에서 바람이 빠지는 시간은?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풍선을 불어놓은 크기에 따라 공기가 완전히 빠지는 시간이 다릅니다. 풍선에는 눈으로는 보이지 않지만 굉장히 미세한 틈이 존재합니다. 그래서 공기 원자가 조금씩 빠져나갈 수 있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 풍선의 크기가 작아지는 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09
0
0
동물중에서 가장 오래사는 동물은 어떤 것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그린란드 상어는 평균적으로 400살까지 산다고하며, 대양백합조개는 평균 300~400살 정도까지 살며, 코끼리거북의 경우 평균 200살 정도까지 산다고 합니다. 그린란드 상어의 눈 수정체의 동위원소 연대 측정 결과 272~512년으로 나와 평균 392살이며, 대양백합조개는 400살이 넘어가는 경우가 다수 있다고 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09
0
0
소행성이 그 작은 우주선을 충돌한다고 경로가 변경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Q. 바위에다가 아무리 빠른속도로 모래알이 충돌한다고 바위가움직일까요?A. 네, 우주에서 작은 모래알을 아주빠르게 충돌시키게 될 경우 움직입니다. 참고로 지구의 부피의 30000분의 1정도의 크기의 행성이 지구에 충돌할 경우 멸망에 이를 수 있다고 합니다.Q. 그작은 우주선이 날라가서 박는다고 경로가 바뀔까요?우주선의 질량은 550kg이었으며, 소행성 디모르포스의 질량은 우주선의 100배정도의 질량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충돌에 있어서는 질량차이도 중요하지만, 충돌을 가하는 물체가 가진 에너지도 중요합니다. 우주선이 디모르포스에 닿기 직전의 속력은 초속 6.1km로(=21960km/h) 굉장히 빠른속도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이 때 발생한 에너지는 100억J정도라고합니다. 그래서 충돌로 디모르포스의 궤도를 변경하는데 성공하였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09
0
0
새들은 왜 송충이를 잡아먹지 않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새들은 송충이를 잡아먹습니다. 하지만 매미나방, 흰 불나방의 유충인 송충이가 많은 시기이기 때문에 굉장히 많이 있어 잡아먹혀도 티가 나지 않는 것입니다. 송충이를 퇴치하는 방법을 찾아 친환경적으로 퇴치하시길 바랍니다. 이 시기가 지나면 자연스레 없어지긴 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09
0
0
카세트테이프가 늘어지면 냉동실에 보관하는건 무슨원리때문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늘어진 카세트 테이프를 냉동고에 넣으면 차가운 온도로인해 테이프가 수축하여 팽팽해집니다. 그래서 늘어진 테이프를 어느정도 복구할 수 있는것이죠. 대부분의 물질은 온도가 높아지면 팽창하고, 온도가 낮아지면 수축하기 때문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물리
22.10.09
0
0
소독, 살균 관련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스팀기나 끓는 물을 이용하여 소독하는것이 좋습니다. 시간이 많이 절약되고 확실히 살균할 수 있습니다. 열탕 소독의 경우 8~10의 시간이 소요되고, 자외선의 경우 30~40분 소요됩니다. 열탕의 경우는 모든 부분을 한번에 소독하기 때문에 시간이 절약되고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습니다. 자외선의 경우 모든 부분을 돌려가며 소독해야하기 때문에 오래걸리죠. 하지만 자외선의 경우도 꼼꼼히 할 경우 살균이 확실히 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공학
22.10.09
0
0
태양계 행성은 어떻게 관측이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대단한 기술입니다. 현미경이나 망원경의 원리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멀리서 날아온 빛을 모아 볼록렌즈와 오목렌즈를 이용하여 상을 확대하는 것이죠. 망원경이 거대할수록 성능이 좋습니다. 그리고 빛에 대해서는 가시광선만 모으는 것이아닌 적외선이나 자외선 영역의 빛도 모아 이를 우리가 볼 수 있게 가시광선으로 표현하여 볼 수도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09
0
0
권총으로 자동차 전면 유리를 관통 못키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차를 구입하게되면서 옵션으로 유리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일반 유리의 경우 총알에 의해 바로 관통될 수 있으며, 강화 유리나 방탄 유리로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총알을 맞는 일보다는, 고속도로에서 튀는 파편, 돌 등에 앞 유리가 관통되 사고를 입을 수 있기 때문에 강화 유리나 방탄 유리로 선택하는 것이죠. 보통 방탄 유리의 두께를 관통하기 위해서는 권총으로는 힘들고 소총의 속력인 초속 1000m의 속력보다 빨라야 뚫릴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총알을 막기위한 방탄 유리로 제조 되었다면 소총도 뚫기 힘듭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10.09
0
0
343
344
345
346
347
348
349
350
3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