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강아지는 어떤 종이든 상관없이 교배가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아니요, 유연관계가 높은 종끼리만 교배가 가능합니다. 어떤 종이든 상관없진 않습니다. 마치 사자와 호랑이의 교배처럼 유연관계일 때에는 가능은 하죠. 물론, 정상적인 2세가 나오는 것은 아닙니다. 사자와 호랑이의 2세인 라이거도 생식능력이 없으며, 간혹 암컷에게만 생식능력이 있다고 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06
0
0
원거리 무선충전기술은 가능한 기술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원거리에서 무선 충전 시키기 위해서는 강한 자기장이나 강한 세기의 전자기파(빛)을 통해 충전이 가능할 것입니다.무선 충전기는 베터리를 충전시킬때 전자기 유도를 이용하여 충전시킵니다. 전자기 유도 현상이란 코일(도선)이 있고, 코일 주변에 자석(또는 전자석)이 움직이거나 자기력이 변화하고 있을 때 코일(도선)에 유도 전류가 흐르는 현상을 말합니다.이러한 원리로 원거리 무선 충전이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강한 자기장이나 강한 세기의 전자기파가 필요합니다. 먼 거리일수록 자기장, 빛의 세기는 약해지기 때문입니다. 만약 강한 자기장이나 강한 세기의 전자기파를 사용하여 원거리 충전을 할 수 있다면 휴대폰과 충전기 사이에는 전자기기가 없어야합니다. 왜냐하면 충전기에서 나오는 강한 자기장이나 빛이 휴대폰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중간에 놓인 전자기기에도 영향을 주어 교란이 일어나거나 작동이 제대로 안될 수 있습니다. 만약, 다른 기기에 영향을 안주면서 환경에 영향을 안주는 특정 파장의 전자기파를 찾아내 원거리 무선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면 이 경우에는 문제없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봅니다. <참고 : 무선 충전 원리>휴대폰에 코일을 내장시켜두고, 무선 충전기에도 코일을 내장시켜둡니다. 이 때 무선 충전기에 코드를 꼽고 전압을 걸어주면 무선 충전기 내에 있는 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우리는 교류 전압을 사용하기 때문에 코일에 흐르는 전류 또한 수시로 변화합니다. 그런데, 코일이나 도선에 전류가 흐르면 주변에 자기장을 만들어 냅니다. 즉, 전자석이 되는것이죠. 그리고 전류가 수시로 변화하고 있으므로 자기장 또한 변화합니다. 그래서 휴대폰을 무선충전기에 가져다 대면 무선 충전기의 자기장 변화로 휴대폰의 코일에 유도 전류가 발생하는것이죠. 그리고 이 유도 전류를 이용하여 휴대폰의 베터리를 충전할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0.06
0
0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가스는 땅속에서 어떻게 보존이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땅속은 지상과 땅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땅이 땅속 가스나 물질이 지상으로 나오지 못하게 끔 막고 있는 것이죠. 그래서 땅속이나 해저 밑에 가스가 방출되지 않고 보관될 수 있는것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06
0
0
생명은. 어디서부터시작되어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초의 생명체는 바다에서부터 시작했으며, 단세포 생명체가 바다에서 수면 밖으로 나와 햇빛을 받아 광합성을 시작하며 산소가 생겨나기 시작했고, 이로 인해 다양하고 새로운 생명체의 탄생으로 이어졌다고 합니다.태초의 지구 내에서 유기물, 무기물이 만들어지면서 생물이 탄생했다는 설도 있으며, 유기물을 가지고 있는 운석이 지구와 충돌한 뒤에 운석에 있는 유기물에 의해 생물이 탄생했다는 설도 있습니다. 아직 어떠한 것이 정확하게 맞는지는 모르겠으나, 태초의 식물은 바다속에서 유기물에 의해 탄생했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또한, 물 속에 살던 식물이 육지로 번식해 나가는 과정에서 세균, 곰팡이에 도움을 받아 강한 햇빛의 노출에 대해 보호를 받았으며, 수분을 빼앗기지 않는데 도움을 받았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초기의 생명체의 번식, 진화 과정에 대해서는 현재도 연구중이며 앞으로도 완벽히 밝혀낼 때까지 연구가 지속될 것입니다. 개인적으로 하루빨리 생명의 근원을 밝혀내었음 좋겠네요.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06
0
0
이산화탄소와 메탄가스가 지구온난화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온실 기체는 열을 잘 품는 성질을 가진 기체들을 의미합니다. 메탄가스, 이산화탄소는 열에너지를 받아 분자 내의 진동 운동, 회전 운동, 병진 운동(3차원 방향으로 움직임)을 활발히 하는 가스들입니다. 그래서 태양 에너지와 같은 외부의 에너지를 받으면 운동을 통해 온도를 높이게 되는 것이죠. 물리학에서 온도의 개념은 입자, 분자의 평균 운동에너지(활발히 움직이는 정도)입니다.즉, 온실 가스인 메탄, 이산화탄소는 외부 열을 잘 흡수하며 잘 방출하지 않아 지구온난화의 주요 원인이 되는 것 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06
0
0
태양에너지를 어떻게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열 발전기는 태양열을 이용해 물이나 기타 액체를 끓여 증기를 발생 시켜 터빈을 회전 시킴으로써 터빈 끝에 달려있는 발전기를 회전 시킴으로써 전자기 유도를 통해 전기를 생산해냅니다.전자기 유도 현상이란 코일(도선)이 있고, 코일 주변에 자석(또는 전자석)이 움직이거나 자기력이 변화하고 있을 때 코일(도선)에 유도 전류가 흐르는 현상을 말합니다.태양열을 이용해 증기를 만들고, 이 증기로 터빈을 돌려 터빈 끝에 달린 자석이 코일 주변으로 회전하거나, 또는 터빈 끝에 달린 코일이 자석 주변으로 회전하면서 코일에서 유도 전류가 발생하는데 이를 모아 전기로 사용하는 원리입니다. 회전 방향과 상관없이 코일에 전류를 모을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0.06
0
0
물 밖에서 물속에 있는 사람에게 권총을 쐈을 때 총알이 도달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질문자님의 감이 맞습니다.물속에서는 공기의 밀도의 800배 정도 밀도가 더 높고, 총알이 날아가는데 있어 저항력이 강하기 때문에 안전하게 살 수 있습니다. 만약 사람이 물의 표면에 있고 총알이 물 밖에서 날아오는 경우라면 큰 부상이나 사망에 이를 수 있지만, 물속 1~3m정도만 들어가도 총알이 힘을 발휘하지 못하여 죽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물속에서 총을 쏴 아주 가까운 목표물을 맞출 수 있습니다. 멀리 있는 목표물은 못 맞춘다고 보시면 됩니다.궁금증이 해결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물리
22.10.06
0
0
브렌트유, 두바이유, 텍사스 중질유의 성분과 특성이 동일한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브렌트유, 두바이유, 텍사스 중질유는 생산되는 나라, 지역에 따라 이름이 정해진 것이며 특성 특징이 거의 동일합니다. 다만, 원유별로 불순불이 섞인 비율이나 기름의 질이 다르기 때문에 품질 면에서는 다르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특징, 특성은 똑같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06
0
0
'육플루오린화안티몬산'의 pH값은 얼마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초강산의 정의는 황산보다 더 강한 산을 의미하고 질문자님께서 궁금해하시는 육플루오린화안티몬산의 pH는 거의 0에 가깝습니다. pH의 정의는 pH는 -log[H+]로 수소이온의 농도를 로그로 표기하게 되는데, 육플루오린화안티몬산과 같은 초강산의 경우 거의 농도가 1에 가까워 pH가 0정도가 되어 초강산끼리의 비교가 안됩니다. 그래서 초강산끼리 산도를 비교할 수 있는 방법으로 pH가 아닌 헤맷산도함수(Hammett acidity function)를 사용하여 비교를 합니다.헤맷 산도 함수의 값 H0의 값이 작을수록 강한 산이 되며, 육플루오린화안티몬산의 경우 -23<H0<-21 정도를 가진다는 과학적 결과가 있습니다. 이는 다른 초강산보다 낮은 수치며 아주 강한 산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06
0
0
환절기 온도차 알러지 비염은 어떻게 올라오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봄과 가을에는 꽃가루가 날리는 계절이기 때문입니다. 봄은 잘 아시고 계시겠지만, 가을에도 꽃가루가 날리는 계절입니다. 가을에 꽃가루를 날리는 종들이 있기 때문이죠. 또한, 환절기의 경우 쌀쌀하고 건조한 기후이기 때문에 호흡기가 예민해져 더욱 알러지 반응이 올라오는 것입니다. 좋은 처방 받아서 고생없이 환절기를 지나 보내시길 바랍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06
0
0
352
353
354
355
356
357
358
359
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