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사과가 지구와 달에서 무게가 달라지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질량은 물체에 고유한양으로 kg, g과 같이 나타냅니다.무게는 질량에 작용하는 중력의 크기로 질량에 중력가속도(지구의 경우9.8m/s^2)를 곱한값으로 N, kgf 단위로 나타냅니다.사과에 대해 지구와 달에서 질량은 동일합니다. 하지만, 무게는 질량에 중력가속도를 곱한 값이므로 달과 지구에서 다릅니다. 지구의 중력 가속도는 9.8m/s^2 이며, 달의 중력가속도는 1.63 m/s^2 입니다. 즉, 지구의 중력가속도는 달의 중력가속도의 6배 정도입니다. 그리고 지구에서의 무게가 달에서의 무게에 비해 6배나 더 무겁게 나가죠.우리가 질량과 무게를 혼동하는 이유가 있습니다. 우리는 저울에 올라가 몸무게를 재면 kg값을 보게되는데, 이는 실제로 중력의 크기(무게)이지만 과거부터 써온 값이며 중력의 크기와 질량이 비례하기 때문에 여전히 사용해오는것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무게와 질량이 같은지 다른지 혼동이 올때가 있습니다.궁금증이 해결되셨길 바라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05
0
0
구름이 형성되는 장면을 카메라로 담을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구름이 커지고 작아지고 이동하는 모습을 카메라로 담을 수 있습니다. 대신 카메라의 충분한 용량을 가지고 있는 상태에서, 긴 시간 동안 타임랩스 촬영을 통해 구름이 변화하는 모습을 담을 수 있습니다.아래 영상은 제가 예전에 봤던 구름 타임랩스 영상입니다. 한 번 감상해보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https://www.youtube.com/watch?v=DPzfjEgaJJU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05
0
0
휴대폰이 비행기내에서 끼치는 영향?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휴대전화를 일반 모드로 할 경우 이륙, 착륙시 비행기와 관제탑 사이에 통신에 교란을 줄 수 있으며, 위치 정보에도 방해를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0.05
0
0
물고기들은 어떻게 수중에서 산소를 호흡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물고기는 아가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아가미에는 모세혈관으로 가득 차 있으며, 입으로 마신 물에 녹아 있는 용존 산소를 흡수하고, 이산화탄소를 방출하는 가스교환을 통해 호흡을 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05
0
0
모든 자동차의 스티어링휠(핸들)의 회전 각도는 동일한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차종별로 스티어링휠의 반경도 다르며, 회전 각도에 따른 타이어의 회전 각도도 다릅니다. 이유는 차량의 목적에 따라 더 세밀한 조작이 필요한지 아닌지가 나뉘기 때문이며, 세밀한 조작이 필요한 경우는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스티어링휠 회전 각도에 대해 차량의 바퀴가 더 조금 회전 합니다. 또한, 차체가 무거운 경우에는 가벼운 차량보다 바퀴의 실린 무게가 큽니다. 그래서 같은 각도로 바퀴를 돌린다고 쳤을 때 힘이 많이 들기 때문에 스티얼링휠의 반경을 길게 해두죠.이러한 요인들 때문에 차종별로 스티어링휠의 반경, 회전각도가 다릅니다.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10.05
0
0
과일이나 채소를 재배할때 사용하는 농약의 독성은..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뿌리는 정도와, 농약에 종류에 따라 과일에 묻어있는 농약의 정도가 다릅니다. 그래서 과일을 먹을 때 꼭 흐르는 물이나, 식초를 첨가한 물에 헹궈 드시길 바랍니다.실험용 쥐와 같은 실험 동물의 치사량 기준인 반수치사량 기준은 20mg 미만에서 반수가 죽으면 맹독성, 200mg 미만이면 고독성, 2000mg 미만이면 보통 독성, 2000mg 이상이면 저독성 이라고 합니다.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공학
22.10.05
0
0
해가 동쪽에서 뜨고 서쪽으로 지는건 전세계에서 동일한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지구에서 동서남북 방향에 대해 세계 어디든 동일하게 적용되기 때문에, 지구 어디에서도 해는 동쪽에서 뜨고 서쪽에서 집니다.대신, 지구의 자전에 의해 태풍의 회전 방향은 남반구와 북반구는 반대 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05
0
0
기후변화에 따른 지구 해안지역과 섬지역 침수현상?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 온난화로 남극과 북극의 눈과 얼음이 계속해서 녹고 있습니다. 북극의 경우 대륙이 없고 빙하로 이루어져있습니다. 남극은 대륙 위에 눈과 얼음이 뒤덮고 있죠. 북극의 빙하가 녹게 될 경우 해수면의 상승은 없다고 보시는게 맞습니다. 왜냐하면 물 위에 얼음이 둥둥 떠있다가 얼음이 녹아도 수위가 안 올라가는 이유와 같습니다. 물은 얼음이 되면서 부피가 커지는데, 그 부피가 커지는 만큼 수면 위로 뜨기 때문이죠. 하지만 남극의 경우는 다릅니다. 남극은 대륙이며 대륙위에 눈과 얼음이 뒤덮고 있죠. 이 눈과 얼음이 녹으면서 바다로 유입되면 해수면의 상승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구 전체 면적의 70퍼 정도가 바다이며 일부 남극의 얼음이 전부 녹지 않는 이상 해수위의 상승은 미미합니다.눈과 얼음이 녹아 바다로 유입되고 태양 에너지를 받아 수온이 상승하게 되면 해수위가 상승하는 또 다른 조건입니다. 바닷물에 열이 가해지면 운동성이 활발해져 부피가 팽창하기 때문이죠.그러나, 온난화로 인해 영구동토층이 녹아 온난화를 가속시킬 위험도 있습니다.영구동토층은 보통 북극의 고위도에 위치하며, 1년 내내 얼어 붙어 있는 퇴적물, 토양, 기반암 등을 의미합니다. 영구동토층의 면적은 지구 육지 표면적의 14%이며 약 2100만 km² 입니다. 이 영구동토층은 탄소, 메탄 가스를 포함하고 있으며 녹게되면 탄소와 메탄가스가 대기로 나올 수 있습니다. 즉, 지구온난화를 가속하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시한폭탄이라는 표현을 하고있죠. 온난화로 지구가 따뜻해지면서 영구동토층이 녹을 수 있는데, 영구동토층이 녹으면서 온실가스인 탄소, 메탄가스가 대기로 흘러나오니 온난화가 더욱 가속화될 수 있습니다.모든 빙하가 녹는다면 해수위가 60~80m 정도 올라간다는 추산이 있습니다. 만약, 모든 빙하가 녹아 섬이나 침수지역이 발생한다면, 자연 현상으로 막기에는 어려운 부분이며 과감히 침수지역을 포기하고 이전하는 작업을 수행해야 할 것입니다. 또한 육지, 섬이 줄어드는 만큼 인구 밀도는 높아집니다. 개인적인 생각을 한 번 적어보았습니다.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05
0
0
모기는 왜 밤만대면 활동할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모기는 야행성입니다. 모기는 생존을 위해 동물이나 사람의 피를 흡혈하여 필요한 영양분을 채웁니다. 그런데, 오전이나 오후 중 해가 밝을 때 활동하면 흡혈의 성공을 못하거나 죽게되죠. 그래서 동물이나 사람이 잠에 든 밤에 활동하도록 진화해 왔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05
0
0
태양의 온도는 몇도정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의 표면 온도는 6000도씨 정도 되며 태양의 중심 부분의 온도는 1천 5백만도씨 정도 됩니다. 태양의 중심부터 표면까지 위치마다 온도가 달라지며, 태양 근처의 온도는 물질의 밀도가 상당히 낮기 때문에 태양의 대기온도는 100만~500만 도씨 정도로 상당히 높아집니다. 태양 근처만가도 웬만한 물질이 다 녹거나 증발해버릴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05
0
0
361
362
363
364
365
366
367
368
3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