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발포비타민은 어떤원리로 물에서 화학작용이 일어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발포 비타민에는 탄산수소나트륨이 첨가되어있습니다. 이 발포 비타민을 물에 넣게 되면 탄산수소나트륨이 물에 녹으며 탄산이 발생되면서 비타민이 물에 더 잘 녹아들며 퍼지게 됩니다. 그리고 탄산에 의해 청량감을 더해주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04
0
0
똑같은 건물인데 아파트보다 원룸이 더 습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원룸의 경우 보통 환기가 잘 되지 않아 아파트 보다 습한면이 있습니다. 원룸은 보통 창문이 하나이기 때문에 바람이 잘 통하지 않아 습기가 방안에 머물러 있기 때문에 습하죠. 창문이 앞 뒤로나 앞 옆으로 놓여있을 경우에는 환풍이 잘 돼 쾌적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0.04
0
0
발전소에서 말하는 컴프레셔는 어떤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같은 원리의 컴프레셔입니다. 컴프레셔를 작동시키면 주변의 공기를 흡입합니다. 그리고 내부에서는 피스톤 작용으로 공기의 압축이 일어나죠. 그리고 용량만큼 공기가 찬다면 피스톤 작용이 멈추며 저장을 완료합니다. 그러면 컴프레셔 내부는 압력이 높은 상태로 존재하는데, 이 때 공기 분사기를 눌러 원하는곳에 공기를 분사할 수 있게 되는 원리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04
0
0
가을 단풍 색이 나무마다 다른 이유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겨울을 지난 봄에 잎이 돋아나기 시작하고 잎에 있는 엽록소가 만들어지면서 초록 잎을 유지합니다. 가을이 되면서 이 엽록소가 더 이상 만들어지지 않고 엽록소가 분해되어 노란, 주황, 빨강, 핑크 등으로 색이 바뀌어 단풍이 지는 것입니다.자세한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단풍이 지고 낙엽이 떨어지는 이유는 나무의 겨울나기(월동준비)준비를 하는것입니다. 겨울 동안 나무는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하고 나무 내에 있는 수분을 최소화(수분이 얼면 부피가 증가해 손상을 입기때문에)하는 작업을 시작합니다. 그 중 에너지 소모를 줄이기 위해 잎과 나뭇가지 사이에 떨켜층을 형성하여 나뭇잎에 수분 공급을 중단시키고, 나뭇잎에서 나무로 영양분이 전달되지 않게 됩니다. 이렇게 겨울나기를 준비하기 시작하는 시기는 온도가 떨어지고, 일교차가 커지는 시기입니다. 나무도 생물이기 때문에 주변 온도를 감지하고 변화를 시작하죠.봄부터 여름까지 엽록소가 만들어지면서 초록 잎을 유지하였지만 가을이 되면서 이 엽록소가 더 이상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이유는 떨켜층에 의해 나뭇잎에 수분이 부족해지고 영양분이 쌓여 산성을 띠게 되면서 엽록소가 분해됩니다. 엽록소가 분해되며 노란, 주황, 빨강, 핑크 등으로 색이 바뀌어 단풍이 지는 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04
0
0
밤하늘에 빛나는 별을 보면서 이런 궁금증이 생기네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나사에서 이온 엔진을 개발하여, 가속하는데 시간은 오래걸리지만 굉장히 빠른 속도를 낼 수 있는 추진 엔진을 발명했다고 합니다. 또한, 먼 훗날에는 빛의 속도에 근접한 속도를 낼 수 있는 엔진으로 거듭날 가능성이 있습니다. 하지만 아쉽게도 빛의 속도가 되거나, 빛의 속도는 초과할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상대성 이론을 따르면 질량을 가진 물체는 아무리 빨라도 빛의 속도가 될 수 없음을 보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현재까지 빛 보다 빠른 물질을 발견하지도 못했습니다. 만약, 빛 보다 빠른 물질이 발견 된다면 이는 상대성 이론을 엎을 만한 발견이 됩니다. 그리고, 과학계에 아주 큰 영향을 줄 것이죠.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04
0
0
엘리베이터가 추락할 가능성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과거 엘리베이터의 추락 사고, 추락 가능성이 높았고 사고 또한 많았습니다. 그렇지만 현재의 승강기는 낙하할 경우가 잘 없습니다. 대부분 안전 장치가 되어있고 낙하하는 경우의 사고는 잘 일어나지 않아 안심하시고 타셔도 됩니다. 낙하의 사고는 없지만, 정전 또는 내부 시스템 문제로 문이 안열리는 경우가 있긴 합니다. 이 경우에는 비상 호출 버튼을 누르시면 신속하게 구조될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04
0
0
지금껏 가장 강한 태풍의 풍속은 얼마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1961년 태풍 낸시(Typhoon Nancy)는 에 북서 태평양에서 발생한 태풍으로 1분 최대 풍속이 345 km/h 였습니다. 이 정도 풍속이면 KTX보다 빠르므로 버스는 거뜬히 날아갈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04
0
0
핵무기은 어떻게 개발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핵무기를 만든 이유는 당시는 전쟁을 염두하고 있는 상황이고, 강한 무기를 가지고 있어야 강국이 되기 때문에 핵무기를 개발한 것입니다. 핵무기 개발에 있어 아인슈타인, 오펜하이머, 페르미 등 여러 과학자가 관여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핵무기의 과학적 원리는 핵분열 반응에 있습니다.핵분열은 불안정한 원자(우라늄-235과 같은)에 중성자를 충돌시켜 불안정한 원자가 다른 원자로 변하며 결손되는 질량이 발생하는데, 이 결손된 질량이 에너지로 전환됨에 따라 에너지를 얻어지는 것입니다. 불안정한 원자에 중성자를 충돌 시킴으로써 붕괴를 시키는데, 이 반응이 연쇄적으로 일어나 많은 양에 에너지를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연쇄 반응이 끝나면 에너지는 더 이상 나오지 않기 때문에 불안정한 원자(우라늄-235과 같은)가 원료로 필요합니다.핵무기의 종류로는 핵탄두 미사일, 전략 폭격기, 핵잠수함 등이 있습니다. 핵 잠수함의 경우 원자로를 이용하여 핵분열 에너지를 동력으로 사용하는 잠수함이며, 공격 무기는 일반 미사일, 폭격기입니다. 핵탄두 미사일은 핵무기를 탄두에 장착하여 미사일로 장거리의 공격이 가능한 핵 무기입니다. 전략 폭격기는 핵 무기를 전투기에 싣고 높은 지대에서 핵 폭탄을 떨어뜨려 공격하는 전투기입니다.핵무기의 개발은 핵분열 반응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핵분열 반응을 사용한 산업인 원자력 발전이 상당히 발전하였고, 원자로를 이용한 연료의 사용으로 우주선 등에도 영향을 주었습니다.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10.04
0
0
긴급질문!! 토성의 위성 앤셀라두스에서 인이발견된게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엔셀라두스에는 얼음, 수증기, 메탄 등이 존재한다는 결과가 있으며, 생명체의 가능성도 염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 생명체를 발견하진 못하였고 탐사를 통해 차차 밝혀낼 것으로 봅니다. 엔셀라두스에 대한 탐사선은 아직 보낸적이 없어 생명체의 가능성을 열어둘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아래 논문의 초록 부분을 읽어보시면 학자들도 생명체에 대해 논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https://link.springer.com/article/10.1007/s11084-008-9135-4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04
0
0
술을 많이 마시면 왜 몸을 가누지 못하고 비틀거리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알코올이 체내에 흡수되면 신경계에 있는 세포막에 도달하게 됩니다. 세포막에 도달한 알코올이 세포막 유동성을 증가시키며 세포의 기능을 파괴하게되죠. 또한, 알코올이 분해되며 아세트알데히드가 되는데, 이는 상당한 독성을 지닌 물질로 몸 안에 쌓이면 정신이 몽롱해지거나 어지럼증이 생겨나게 합니다. 그래서 취하면 비틀거리게 되는 것이죠. 지나친 음주는 해로울 수 있으니 언제나 적당량을 드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04
0
0
361
362
363
364
365
366
367
368
3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