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머리를 자르지 않고 머리만의 무게를 재는 방법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먼저, 양동이에 물을 담고 머리를 담가 빠진 물의 양을 구하는 것은 머리의 부피를 재는 것입니다. 사람의 머리의 무게를 재거나 추산하기 위해서는 2가지 방법을 고안할 수 있습니다. 첫째, 사람 몸의 밀도를 구해 머리의 부피를 측정하여 밀도를 곱함으로써 질량을 얻어낼 수 있습니다. 이는 사람 몸의 밀도가 균일하다는 가정을 해야 하기 때문에 정확한 무게는 얻지 못할 것입니다. 사람의 무게는 저울로 잴 수 있으며, 부피는 욕조에 물이 빠지거나 차오르는 정도를 통해 구해낼 수 있습니다. 이를 이용해 무게를 부피로 나눔으로써 밀도를 구하고, 질문자님께서 말씀하신 머리만 물에 담궈 머리의 부피를 구해 몸의 밀도를 곱함으로써 머리의 밀도를 찾아내는 방법이 있습니다.둘째, 저울에 머리만 올려놓는 방법이 있습니다. 사람이 저울과 같은 높이의 평상을 만들어 몸을 평상에 눕히고 머리만 저울에 올려놓는 식으로 하여 머리의 무게를 잴 수 있습니다. 또한, 사람을 비스듬하게 매달아 머리를 천천히 저울에 내리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 때 머리는 목과 몸통이 이어져 있으므로 몸통의 무게가 저울에 가해지지 않게끔 목에 힘을 최대한 빼고 천천히 내려야하며, 머리를 천천히 내리면서 저울의 눈금이 변하지 않을 때를 포착해 무게를 재면 머리의 무게가 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04
0
0
축구에서 무회전으로 공을 차면 흔들리는것은 어떤원리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공의 무회전에 의해 공주변에 난류가 발생하는데, 이 때 베르누이 원리가 적용되기 때문입니다.베르누이 원리란 유체(공기)의 속력이 빠르면 밀도가 낮아지고, 유체(공기)의 속력이 느리면 밀도가 높아지는 베르누이의 원리가 있습니다.무회전하며 날아가는 공은 공기를 가르며 날아가게 되는데, 공의 표면에 있는 홈과 공기의 흐름에 의해 공 주변으로 난류가 발생합니다. 난류가 발생하게 되면 공 주변으로 기압이 변화하는데, 이 기압 변화로 인해 공 주변으로 공기의 속도가 빠른 부분과 느린 부분이 생기면서 기압 차가 미묘하게 발생합니다. 기압차가 발생하면 힘의 차이를 만들어 내게 되는데, 이 때문에 무회전 공은 난류에 의한 힘을 받아 공이 흔들리며 날아가는 것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물리
22.10.04
0
0
벽에 못을 박을 때 못에 기름칠 하면 잘 들어가는 이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기름칠을 하게 되면, 벽과 못, 나사 사이에 마찰력이 줄어들기 때문에 기름칠을 하지 않았을 때보다 잘 박히는 것입니다. 마치, 손에 낀 반지가 안 빠질 때에도 기름의 미끌거림을 이용해 빼는 것과 같은 원리를 이용했다고 생각하시면 이해가 되실겁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0.04
0
0
일론 머스크가 지구인의 화성정착을 목표로 우주선을 개발하고 있는데 실현가능한 일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화성에 인류가 정착하여 살기는 현재로썬 불가능하다고 보시는게 맞습니다! 질문자님께서 말씀하신 것처럼 물도 산소도 없기 때문이죠. 일론 머스크는 화성 유인 탐사선을 보내 화성을 조사하고자 하는 것이며, 역사적으로 기록하고픈 일을 하고픈 것으로 판단됩니다. 마치 인류 최초로 달에 유인 우주선 아폴로 11호를 보내 발을 디딘 닐 암스트롱 처럼 말이죠. 그리고, 이러한 탐사는 과학적으로도 유의미한 일이기 때문에 계획중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04
0
0
젤라또가 안 어는 이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젤라또는 일반 아이스크림 보다 어는점이 더 낮기 때문에 잘 얼지 않습니다. 또한, 젤라또는 일부러 어는점을 낮춰 부드러움을 높인 아이스크림이기 때문에 완전히 얼리면 젤라또의 매력인 부드러움을 잃을 수 있습니다. 젤라또를 완전히 얼리고 싶으시다면 냉동고에 오래 둬야 얼게 됩니다. 대신, 상온에서는 아이스크림보다 빨리 녹게 되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04
0
0
포름알데히드 0.31 . 안티몬 0.0043 을 매일 섭취하면 인체에 어떤영향을 끼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질문자님께서 말씀하신 포름알데히드 0.31, 안티몬 0.0043의 단위를 모르겠으나, 포름알데히드의 치사량은 10 ~ 50g이며, 안티몬의 치사량은 240mg=0.24g 정도 됩니다. 포름알데히드, 안티몬은 pet병에서 발생할 수 있으므로 페트병 생수를 보관할 때에는 햇빛이 들지 않고 서늘한 곳에 두시길 바랍니다. 그러면 포름알데히드, 안티몬의 방출을 없앨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04
0
0
태양의 흑점은 태양의 어떤 영역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의 표면을 광구라고 하는데, 광구의 온도는 대략 6000도 이지만 이보다 낮은 온도인 4000도의 영역을 흑점이라고 합니다.흑점은 태양의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많이 나타납니다. 태양 표면인 광구는 쌀알무늬를 띱니다. 그런데 태양 활동으로 인해 온도가 높아지는 부분과 낮아지는 부분이 극명해지면서 흑점이 나타납니다. 흑점은 태양의 표면 온도인 6000도 보다 작은 4000도 정도가 됩니다. 주변보다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기 때문에 어둡게 보이죠. 흑점의 수가 많아지면 태양의 활동이 활발해지고, 이로인해 태양의 자기장, 태양풍(우주선, 방사선, 강한 빛 방출)이 강해져 지구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태양에서 발생한 강한 자기장과 태양풍으로 인해 지구 자기장 및 대기권 상층을 교란시킬 수 있습니다. 그러면 전파에 의존하는 GPS, 전파 사용 장비 등을 교란시킬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04
0
0
생물들의 눈은 얼굴면에 위치한 이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생물들은 걷고, 앞으로 나아가기 적합하도록 눈이 앞면에 위치하게 끔 진화했습니다. 하지만, 게, 가자미, 광어 등과 같이 일반 생물과 다르게 진화해온 생물의 눈은 앞면이 아닌 위나 양 옆으로 위치하기도 합니다. 즉, 생물이 진화해오면서 이점이 되는 방향으로 진화해 왔기 때문이라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04
0
0
바닷물이 짠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바닷물에는 Na+이온, Cl-이온 등 염분(소금)이 다수 존재하고, 또 다양한 이온과 미네랄 등의 성분도 있기 때문에 바닷물이 짜며 독특한 맛을 냅니다.바닷물의 염분 농도는 지역적으로는 비슷하나 전 세계 어느 바다에서나 같은것은 아닙니다. 바닷물의 농도가 짙은 바다인 사해가 대표적인 예가 되겠습니다. 바다의 염분은 바다 속 암석이나 광물로부터 발생합니다. 바다 속 암석, 광물에 함유된 나트륨이 바닷물에 용해되며 바다의 염분 농도가 올라가는 것이죠. 때문에 어느 바다에서나 염분 농도가 같지 않은 이유입니다. 또한, 암석이나 광물로부터 염분이 계속해서 유입되고 있어 바닷물의 염분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습니다. 만약 소금의 채취량이 광물로부터 유입되는 염분량보다 많을 경우에는 바닷물의 염분 농도가 낮아질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04
0
0
제임스웹으로 가까운 행성들은 못보나여?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제임스웹은 가까운 곳도 찍을 수 있습니다.아래는 제임스 웹이 찍은 목성의 사진이며, 제임스웹의 주황 청록 필터를 사용한 적외선 카메라로 찍어낸 아름다운 목성의 사진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04
0
0
361
362
363
364
365
366
367
368
3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