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머피의 법칙은 우연일까요? 과학적 근거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머피의 법칙은 심리, 통계, 경험적 현상이 복합되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머피는 이 법칙을 발표함으로써 노벨상이 아닌 이그 노벨상을 받게 되었죠. 이 법칙은 통계적 우연이 작용해 일상에서 경험한 것들을 통계적으로 정리해 놓은 것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물리
22.10.04
0
0
인덕션과 하이라이트 차이점이 무엇이고 원리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인덕션의 경우 전자기 유도로 인덕션에서 자기장을 만들어 인덕션 전용 용기(자성 냄비)에 유도 전류를 흐르게해 가열 시키는 원리입니다. 전자기 유도 현상이란 코일(도선)이 있고, 코일 주변에 자석(또는 전자석)이 움직이거나 자기력이 변화하고 있을 때 코일(도선)에 유도 전류가 흐르는 현상을 말합니다. 자성이 없는 냄비는 사용하지 못하죠. 인덕션에 손을 대도 뜨겁지 않습니다. 하지만 냄비는 뜨거우니 조심하셔야합니다.하이라이트의 경우는 저항이 높은 코일, 열선에 전류를 흘려보내 저항과의 마찰에 의한 열을 만드는 방식입니다. 손을 대면 뜨겁습니다. 화상위험도 있고요.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0.03
0
0
해저 케이블은 설치할때 고정을 어떻게 시키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해저케이블을 고정시키는 고정장치가 따로 있기 때문에 바다 속의 해류에도 해저 케이블은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어 있습니다. 또한, 이 고정장치를 개발하려는 연구와 개발된 기술도 여럿 존재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0.03
0
0
정유회사나 시추장비 굴뚝에서 항상 불이 붙어있는 이유가 뭐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굴뚝 끝 부분에 불이 붙어 있는 이유는 방출되는 폐가스나 오염물질이 불에 연소하여 매연발생을 최소하하려는 것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03
0
0
지구에서 지진이 왜 일어나는걸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 지구의 지각 밑에 멘틀은 판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리고 이 판은 조금씩 움직이고 있죠.판과 판이 만나는 경계부에서 지진이 주로 발생합니다. 판과 판은 조금씩 이동하고 있는데, 판이 벌어지거나 판이 충돌하면 마찰과 충격에 의해 지진과 화산폭발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일본 바로 남쪽 부근에는 유라시아판과 필리핀판, 태평양판, 북아메리카판 등 판이 만나는 경계부가 다수 존재합니다. 그래서 특히 일본에서 지진과 해일, 쓰나미등이 자주 발생하는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03
0
0
만약 러시아가 진짜로 핵미사일 발사하게 된다면?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핵미사일을 발사하게 되면 환경 파괴는 물론 인명피해도 피할 수 없습니다. 핵폭탄으로인해 버섯구름이 형성되고 이게 퍼져나가 방사선 물질이 포함된 비가 내릴 수 있으며, 방사선 물질이 포함된 구름이 이동하여 여러 국가에 피해를 입힐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03
0
0
사용중인 비누에도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비누에는 계면활성제라는 성분이 함유되어있습니다. 이 계면활성제는 세균이나 바이러스의 겉 표면을 녹일 수 있으며 파괴할 수 있죠. 그래서 만약 비누나 비누거품에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있을 경우에는 이미 파괴되어 죽어버린 상태입니다.도움이 되었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03
0
0
뜨거운 냄비를 유리 식탁에 놓으면 스스로 움직이는데 그 까닭은?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뜨거운 냄비나 국그릇 아랫부분에 홈이 있을 경우에 그릇이 움직일 수 있습니다. 아랫부분에 홈이 있는 국그릇을 식탁에 두면 홈 부분에 공기가 가득 차 있게 됩니다. 그리고 국의 따뜻한 열기 때문에 홈안 부분에 공기가 뜨겁게 데워지죠. 기체는 온도가 높아지면 운동이 활발해져 부피가 팽창하려는 성질이 있습니다. 그래서 홈부분의 공기의 부피가 커지며 그릇을 띄우게 되는데, 이 때 그릇이 띄워지며 움직이게 되는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물리
22.10.03
0
0
금속의 고유 저항값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고유저항(비저항)구리 1.69x10^(-8)금 2.44x10^(-8)은 1.62x10^(-8)알루미늄 2.75x10^(-8)입니다.비저항은 저항값을 측정하여 물체의 면적을 곱하고 길이를 나누어 줌으로써 비저항 값을 얻을 수 있습니다. 단위는 mΩ 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물리
22.10.03
0
0
블랙홀의 생성과정과 소멸?에 대해서 알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1. 블랙홀은 어떻게 만들어졌고?블랙홀이 어떻게 생기는 지는 아직 정확하게 관측된 사실이 없습니다. 그래서 가설을 세우고 계산을 통해 이론적으로 생기는 과정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블랙홀은 태양 질량의 수백배가 되는 별의 죽음으로 생성될 수 있으며, 애초에 우주에 있는 성간물질이나 가스가 응축하여 만들어질 수 있습니다.별의 죽음으로 생기는 원리는, 거대한 별은 중력이 강합니다. 그래서 별이 살아 있을 때에는 핵융합 반응을 통해 열이 발생돼 별의 자체적인 중력과 평형을 이루며 별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별이 죽게되면서 더 이상 핵융합 반응을 못하고 결국 자체 중력을 이기지 못하고 별이 붕괴하여 블랙홀이 되는것이죠.애초에 우주에 있는 성간물질이나 가스가 응축하면서 만들어진 블랙홀은 물질이 뭉쳐 자체적으로 강한 중력을 이길만한 열, 에너지를 만들지 못하고 붕괴되어 블랙홀이 되는것입니다.2.어떤 작용을 하며 어떻게 그 큰 블랙홀이 주변을 빨아들인다고했는데 그럼 계속 우주가 줄어들어야하는거아닌가요?우주의 팽창은 공간의 팽창으로 블랙홀이 공간을 빨아들이진 않습니다. 그리고 블랙홀과 멀리 떨어져 있을 경우에는 빨려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우주가 수축하지 않고 팽창하고 있는 것이죠.3. 그리고 블랙홀은 소멸을 하지않나요?블랙홀의 증발에 대한 개념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양자 단위의 크기가 작은 블랙홀의 경우 소멸이 빠르게 가능하며, 태양 질량 이상의 블랙홀의 경우 블랙홀 증발로 굉장히 오랜시간 뒤에 증발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아직 관측된 블랙홀의 소멸은 없습니다. 또한, 증발보다 흡수가 많을 경우 소멸이 늦어질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03
0
0
370
371
372
373
374
375
376
377
3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