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표준단위에 대한 궁금증이 있습니다. 왜 미국만 다른지. 항송은 왜 표준이 피트 마일인지?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관습이기 때문입니다. 단위라는것은 자유롭게 만들어서 사용할 수 있는 약속과 같은것입니다. 과거부터 피트나 마일을 써왔기 때문에 친숙하여 그러한 단위를 계속적으로 사용하는 것이죠. 다른 이유 없이 단순히 익숙하기 때문에 사용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화씨보다 섭씨가 익숙하고, 피트보다 cm나 m가 익숙하듯이 말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01
0
0
레코드판은 동그란 원판에 홈만 나였는데 어떻게 소리가 날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레코드판의 원리는 레코드 판의 핀이 레코드의 울퉁불퉁한 곳을 지나면서 진동하게 되는데, 이 진동으로 소리를 내는 원리입니다. 레코드판을 자세히 보시면 홈이 나있는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레코드판이 돌아가면서 레코드판의 핀이 이 홈을 치면서 진동하게 됩니다. 이 진동을 전기신호로 전달하여 소리로 변환해 우리에게 음악을 들을 수 있는것이죠. 이 레코드판의 원리를 이용한 예시로 고속도로에서 차가 지나갈 때 노랫소리가 나는 것을 들어본적이 있으실텐데 레코드판과 같은 원리로 제작한 것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0.01
0
0
맛을 느끼는 감각은 다를 것 같은데…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사람들마다 맛을 느끼는 정도와 좋아하는 맛이 다를 수 있습니다. 경험과 취향의 차이죠. 보통 맛있다고하는 음식들은 향이 좋으며, 좋은 풍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것들은 대부분의 사람들을 만족시키죠. 그리고 맛있는 음식을 만드려 여러 시도들이 있었을 것입니다. 인류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좋아하는 음식을 찾아낸것이죠. 그래서 맛있게 느끼는 것입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01
0
0
반딧불이는 어떻게 스스로 빛을 내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반딧불이는 몸에서 루시페린이라는 물질을 내뿜는데 이 루시페린이 공기중 산소와 만나 화학반응을 하며 빛을 냅니다. 그리고 반딧불이는 공기가 맑은 지역에 서식하고 있어서 도심에서 보기가 힘든게 아쉬운 점입니다. 논이 많은 곳이나 숲이 우거진곳, 산이 많은곳에 가야 볼 수 있게되었습니다. 반딧불의 밝기는 3 [㏓](럭스) 정도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집의 밝기는 300~400 [㏓] 정도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01
0
0
사랑이라는 감정은 과학 계열에서 어떻게 설명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사랑이라는 감정은 도파민이 만드는 감정으로 낭만적 사랑, 구애하고 싶은 욕망 등의 감정을 느끼게 됩니다. 호르몬을 강제적으로 이용할 수는 없지만, 만약 처음에 별 감정이 없던 사람이더라도 같이 자극을 받는 활동을 함으로써 도파민이 분비된다면 사랑의 감정을 느낄 수 있을것으로 판단됩니다. 동물에게서는 본능으로 짝짓기를하거나 새끼를 돌보는 책임의식 같은것은 있다고 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01
0
0
태양과 달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초기 우주에 가스와 먼지, 입자들이 운동을 하고 있었을 것이며, 중력에의해 집단을 형성해가며 태양과 같은 별이나 행성이 만들어졌습니다. 이 과정에서 질량을 가진 두 물체에 대해 운동을 하고 있을 경우 원, 타원 궤도 운동이 가능합니다. 물론 쌍곡선 포물선과 같은 운동도 가능합니다. 여기서는 태양계의 형성과정에 초점을 두며 타원 궤도 운동을 하고 있었다고 생각할 수 있죠. 이 때 궤도 운동을 시작할 당시 가스, 먼지의 각운동량(회전)이 정해졌을 것입니다. 각운동량은 천체 운동에서 보존되는 물리량 중 하나입니다. 이 각운동량(회전)의 방향이 반시계 방향이었기 때문에 대부분의 행성이 반시계방향으로 공전과 자전을 하는것이죠. 달의 생성 과정을 정확하게 알 수는 없으나 거대 충돌설이 가장 유력한 후보로 뽑힙니다. 지구가 만들어질 시기에 외부 소행성과 지구가 충돌하고 난 뒤 파편이 지구 주위를 돌게 됐는데, 이 파편 주위로 가스와 물질이 중력에 이끌려 붙어 달이 탄생했다는 설입니다. 이 설을 근거하는 증거로는 염소 동위원소 분석이 있습니다. 달에서 가져온 암석에서 염소 분자와 지구에서의 염소와 비교를 통해 분석한 결과, 무거운 동위원소는 달에 남고, 가벼운 동위원소가 지구 중력에 이끌렸음을 보고 충돌설을 뒷받침 하고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01
0
0
가솔린과 디젤의 정제 과정, 성분 구성은 어떻게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원유를 끓게되면 끓는점별로 기름을 추출해낼 수 있습니다.휘발유는 30~150도 정도에서 기화가 일어나며 이 기체를 수집하여 액화함으로써 추출이 가능합니다.등유는 150~200도 정도, 경유는 230~350도 정도에서 추출이 가능합니다.원유를 가열함으로써 원유의 온도를 측정하고, 이 원유의 온도가 30~150일때는 휘발유가 기화되므로 휘발류가 추출되어 나오는 관을 열어 추출을 하죠. 이 때 경유나 등유의 관은 닫혀있습니다.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끓는점에 맞게 각각의 추출물이 연결된 관을 여는 식으로 추출을 합니다. 그리고 원유에서는 중유가 30~50%정도로 가장 많이 추출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01
0
0
동해바다도 썰물과 밑물이 작용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동해바다에도 밀물과 썰물이 있습니다. 밀물과 썰물은 조수간만의 차로 동해, 서해, 남해에서 모두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다만, 동해의 경우 수심이 깊고 서해와 같이 갯벌이 형성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눈으로 분간이 잘 안될 뿐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01
0
0
달고 지구사이가 점점 멀어진다는데 그럼 지구는 어떻게 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달이 지구로부터 멀어지고 있습니다. 만약 달이 멀어질 경우에는 지구의 자전이 더뎌지고 하루가 길어질 수 있으며, 조수간만의 차가 약해져 밀물 썰물의 영향이 줄어들 것입니다. 하지만 여전히 태양에 의한 조수간만의 차는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밤에 달이 없어 캄캄한 밤을 맞이해야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01
0
0
얼음을 얼리면 불투명하게 되는 이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얼음이 얼기전에 물 내에 기체가 많이 함유된 경우에 얼게 될 시 뿌옇게(불투명하게)될 수 있습니다.기체는 높은 온도의 액체에서 잘 녹지 않으며 낮은 온도의 액체에서 잘 녹습니다. 탄산 음료를 시원하게 먹는 이유도 이 때문이죠.그래서 시원한 물의 경우나 수돗물의 경우에 이산화탄소나 다른 종류의 기체가 녹아 있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 기체가 포함된 물을 얼리게 되면, 물은 얼지만 기체는 얼지 않고 얼음에 갇히게 되는 것이죠. 그래서 얼음이 불투명하게 될 수 있습니다.만약, 투명한 얼음을 만들고 싶으시다면 정제된 순수한 물을 사용하여 얼리시거나, 물을 한 번 끓인 뒤(기체가 다 날아감) 따뜻한 물을 얼리시게 되면 투명한 얼음을 만드실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01
0
0
379
380
381
382
383
384
385
386
3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