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지구온난화와 이상기후에 대해서?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앞날을 예측하는 것은 무척 어려운 일입니다. 현재의 조금의 변화가 큰 변화를 만들 수도 있으며, 아무 변화도 만들어내지 못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입니다. 온난화가 지속된다고 가정을 하여 상상하면 확실히 봄과 가을이 짧아질 수 있습니다. 겨울, 여름의 극단적 계절이 만들어 질 수 있죠. 왜냐하면 지구에서 우주로 열을 방출해야하는데 온실효과로 인해 방출율이 줄어듭니다. 그러면 여름이 지나고 떨어져야 하는 온도인데 유지되고 있다가 갑작스레 겨울을 맞이하며 가을이 짧아지는 것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가을과 봄이 짧아지는 현상이 나타납니다.도움이 되셨을지 모르겠네요, 혹시나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30
0
0
지렁이가물속에서한덩어리로뭉쳐있는이유가왜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비가 오지 않으면 보통 지렁이는 땅 밖으로 나오지 않습니다. 특이한 현상이네요.만약 땅이 건조해지면서 지렁이의 수분이 부족해 물을 필요로하여 들어갔을 수도 있으며, 누군가 낚시를 하기 위해 지렁이를 잡아다가 물속에 넣어두었을 수도 있습니다. 왜냐하면 지렁이는 물속에서 살 수 없거든요.정확한 원인은 저도 궁금하네요 보기드문 현상인건 확실한 거 같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30
0
0
오존층 파괴되면 지구에 어떤일이 발생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오존층이 파괴되면 자외선량이 강해지게 됩니다. 자외선이 강해지면 사람의 피부에 있는 멜라닌세포를 죽여 검게 되고, 피부껍질이 벗겨질수도 있습니다. 또한 피부암에 걸릴수도 있습니다. 현재는 파괴되었던 오존층이 많이 회복되었다고 합니다. 오존층의 파괴는 1985년에 발견되었으며, 원인을 CFC 기체로 두었습니다. CFC 기체는 냉장고, 에어컨, 헤어스프레이 등에 주로 사용했던 인공화합물입니다. 오존층의 파괴 원인을 밝히고 이 때부터 CFC 사용을 전면 금지시키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곧 바로 오존층이 복구되는 현상은 보이지 않았지만 30~40년이 지나면서 오존층의 회복이 눈에 띠게 되었죠. 그래서 과거에 비해 현재는 오존층이 많이 회복되었습니다. 오존층 파괴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CFC기체가 분해되면서 광화학 반응이 일어나 염소 원자가 방출됩니다. 이 염소 원자는 오존 분자를 분해시키는데, 이 때 오존층이 파괴되는 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30
0
0
겨울철 각질이 많이 생기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여름에는 습한 기후에 의해 대기 중에 수증기량이 많아 피부가 촉촉하게 유지됩니다. 하지만 겨울에는 건조한 기후에 의해 대기 중에 수증기량이 적어 건조해지면서 푸석푸석해지죠. 그래서 겨울철만 되면 피부 표면에서 각질이 쉽게 갈라지고 일어나게 되는 것입니다. 이를 예방하기위해서는 수분크림이나 바디로션을 바르면 좋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30
0
0
주파수 별로 사람에 들을 수 있는 소리와 없는 소리가 왜 나뉘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가청 주파수가 사람마다 조금씩 다르고, 사람과 동물이 다른 이유는 달팽이관 속 유모세포(hair cell)의 길이가 사람마다 조금 씩 다르고 동물과 사람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이 유모세포의 길이에 의해 가청주파수의 범위가 달라집니다. 사람은 보통 20Hz~20,000Hz 까지 들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노화가 일어나면서 가청 주파수의 범위가 조금씩 바뀝니다.이렇게 가청 주파수가 제한적인 이유는 진화해 오면서 더 높은 주파수나 더 낮은 주파수를 들을 필요가 없었기 때문이죠.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30
0
0
전자기기의 프로세서나 기판등에 쓰이는 합금등의 재료는 재활용이 힘든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질문자님 생각이 맞습니다! 기판들에 사용되는 재료로는 금, 은, 구리, 주석 등을 포함하고 있어 재활용 대상이 맞습니다. 그리고 이에 대해 재활용하고 있으며, 재활용 기술을 개발시키려는 연구도 진행되고 있습니다. 금, 은, 구리 등은 반응성이 매우 적어 재활용에도 용이하죠! 그리고 오염이 됐을 경우에는 오염을 처리하여 재활용할 수 있으며, 오염 처리 기술도 지속적으로 개발 중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09.30
0
0
단풍이 잘 들려면 일조량이 많고 밤 낮의 기온차가 커야 한다고 하는데 왜 그런거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단풍이 지고 낙엽이 떨어지는 이유는 나무의 겨울나기(월동준비)준비를 하는것입니다. 겨울 동안 나무는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하고 나무 내에 있는 수분을 최소화(수분이 얼면 부피가 증가해 손상을 입기때문에)하는 작업을 시작합니다. 그 중 에너지 소모를 줄이기 위해 잎과 나뭇가지 사이에 떨켜층을 형성하여 나뭇잎에 수분 공급을 중단시키고, 나뭇잎에서 나무로 영양분이 전달되지 않게 됩니다. 이렇게 겨울나기를 준비하기 시작하는 시기는 온도가 떨어지고, 일교차가 커지는 시기입니다. 나무도 생물이기 때문에 주변 온도를 감지하고 변화를 시작하죠. 봄부터 여름까지 엽록소가 만들어지면서 초록 잎을 유지하였지만 가을이 되면서 이 엽록소가 더 이상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이유는 떨켜층에 의해 나뭇잎에 수분이 부족해지고 영양분이 쌓여 산성을 띠게 되면서 엽록소가 분해됩니다. 엽록소가 분해되며 노란, 주황, 빨강, 핑크 등으로 색이 바뀌어 단풍이 지는 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9
0
0
높이 올라갈수록 온도가 낮아지고 더 추울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음, 저두 태양과 가까워져 온도가 더 높아질줄 알았는데, 대류권에서는 지열의 영향을 많이 받아 올라갈수록 온도가 떨어진다고 합니다.대기권은 대류권, 성층권, 중간권, 열권으로 구성되며 대류권이 대기의 가장 아래 위치하며 지열을 가장 많이 받는 구간입니다. 대류권에 대기는 지면에 비해 태양열을 많이 못 품고 있기 때문에 지열의 영향력이 강해 지면이 뜨겁고 올라갈수록 지열을 받는 양이 줄어들어 추워집니다. 참고로 태양 에너지의 영향을 많이 받는 곳은 성층권과 열권이 되겠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9
0
0
대류현상이 생기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먼저 온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온도라는것은 정확한 개념(물리적인 정의)은 입자, 분자들의 평균 운동에너지(활발한 정도)입니다.즉, 기체의 운동이 활발하지 않고 정적이면 온도가 낮고, 활발하면 온도가 높습니다. 또한, 활발하면 기체간 거리가 멀어지므로 밀도가 낮아지고, 정적이면 기체간 거리가 가까워 밀도가 높습니다. 그래서 높은 온도의 기체는 가벼워 올라가고, 낮은 온도의 기체는 무거워 내려가죠. 이제 대류현상에 대해 알아보죠.우리 지면은 지열에의해 낮동안 뜨겁습니다. 하늘로 갈 수록 기온이 떨어지죠. 그러면 지면과 맞닿은 공기는 뜨겁게 달궈지고 하늘에 있는 공기는 차가워집니다. 뜨겁게 달궈진 공기는 밀도가 작아져 하늘로 오르고 하늘에 있는 찬공기는 지면으로 내려옵니다. 또 찬공기가 달궈지고, 뜨거운 공기는 차가운 하늘에서 식어 내려옵니다. 이를 반복하는 것이 대류현상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9
0
0
오로라는 어떤 원리로 생기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오로라는 우주에서 날아오는 우주선(하전입자)이 대기의 기체와 부딪혀 생겨나는 현상입니다. 무지개와는 다른 원리입니다!하전입자는 전하를 띠는 입자들을 의미합니다. 보통 우주선이라고도 합니다. 우주에서 날아오는 입자인 우주선이 지구로 들어오는데 이때 전하를 띠고 있으면 지구 자기장에의해 나선운동을 합니다. 그리고 자기장이 강한 고위도에서 나선운동이 강하게 일어나죠. 나선운동을 하며 대기에 있는 기체와 부딪히며 빛을 발하는데 이를 오로라라고합니다.빛이 나는 원리는 기체 분자에 존재하는 전자의 에너지 상태가 외부 우주선과의 충돌로 높은 에너지 상태가 됩니다. 그리고 다시 안정적인 상태로 돌아가려고 낮은 에너지 상태로 돌아가는데 이때 손실 되는 에너지가 빛으로 방출 되어 우리 눈에 들어오게 되는것이죠. 기체의 종류와 에너지의 차이에 따라 다른 파장의 빛을 방출하므로, 빛의 색도 달라지는 것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9
0
0
388
389
390
391
392
393
394
395
3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