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뇌의 크기와 지능과의 연관성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뇌의 크기나 무게가 지능과 연관이 있다는 과학적인 근거는 없으며, 크기와 지능은 상관이 없다는 학자의 말도 있습니다. 진화해오면서 몸집과 뇌의 크기가 같이 커졌을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29
0
0
한반도의 구석기시대를 약 3만 5천년 전을 시점으로 구분하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구석기 신석기 등의 시대를 구분하는 기준은 도구의 사용입니다. 신석기에는 토기, 간석기를 사용한 반면, 구석기 시대에는 토기를 사용하지 않았으며, 뗀석기를 사용하였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9
0
0
대한민국 지역별 공기 청정도가 않좋은 지역들은 어디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 공기청정도가 나쁜 순위나 좋은 순위는 미세먼지, 황사, 오존 등이 높은 지역순이나 낮은 지역순으로 순위를 매겨 찾아낼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공기청정하다는 의미는 대기에 미세먼지, 황사, 오존 등의 물질이 적다는 의미이기 때문이죠.오늘을 예로 들면 서울, 울산, 경기 순으로 오염도가 높습니다. 강원, 제주, 경북 순으로 청정도가 높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9
0
0
대한민국에서 가장 낮은 기온은 몇도였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의 역대 최저 기온은 1981년 1월 5일 경기도 양평 -32.6℃를 찍은 기록이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9
0
0
요오드에 대해서 방사능을 배출시켜준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핵무기에서 방출되는 방사선, 방사선 물질(세슘, 요오드) 등이 체내에 유입되면 요오드에 의해 갑상선 암에 걸릴 수 있습니다. 그런데, 방사선에 노출되기 전 요오드제를 미리 복용하면 갑상선 암에 걸릴 확률이 낮아집니다. 이유는, 갑상선에 모이는 요오드의 양이 제한적인데 있습니다. 미리 요오드제를 복용해 제한된 양을 채워 놓으면 방사선 물질(요오드)이 유입되어도 갑상선에 악영향을 끼치지 못하고 빠져나갈 수 있기 때문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29
0
0
머리카락이 너무 빨리 자라네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보통 한 달에 한번 정도 이발을 합니다. 그리고 머리를 짧게 자르신다면 더 긴 주기로 머리를 자를 수 있습니다. 머리카락이 자라는 속도는 하루 평균 0.3mm, 한달 평균 1cm 정도 자라납니다. 그리고 사람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을 수는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29
0
0
대륙붕의 수심이 약 130m 정도에서 일정하게 나타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대륙붕은 해수면의 상승과 파도의 침식작용에 의해 형성되었으며, 파도나 해수의 상승으로 운반된 퇴적물이 쌓여서 만들어진 지형으로 수심이 거의 일정하고 완만한 경사를 갖는 지형을 말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09.29
0
0
비행기 날개 구부린 이유를 윙렛이라 하던데.. 아래로 구부린 것은 어떠한 효과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비행기의 날개의 윗부분은 곡선이고 아랫부분은 평평한 이유는 양력을 만들어내기 위함입니다.비행기의 양력을 얻는 원리는 압력차에 의한 힘에 의한 것입니다. 비행체의 날개에서 주로 얻게되는데, 날개의 윗부분은 곡면으로, 아랫부분은 평평한 면으로 하여 윗부분에서 공기의 흐름, 유속을 빠르게 해줌으로써 압력을 낮추는 것입니다. 그러면 날개의 아랫부분에서 윗부분으로 힘을 받게 되어 뜰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물리
22.09.29
0
0
백두산이 화산이기에 언제든 폭발할수 있다고 하는데 마지막으로 폭발이 언제였나요? 주기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화산, 지진을 연구하는 전문가의 연구 결과와 역사에 따르면 백두산은 1925년에 마지막으로 분화했으며 대략 100년에 한번 씩(1세기에 한번) 분화했다고 합니다. 화산 폭발의 전조 증상은 지진이 발생하거나, 화산의 수온 변화, 화산에서 발생되는 가스의 성분 변화 등이 있습니다. 이를 분석해 화산 폭발에 대한 대비를 할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9
0
0
네스호 같은 곳에 아직 고대 생물체가 살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아직, 인류가 깊은 호수나 바다에 대해서 완전히 밝혀내 정복한것이 아니므로 고대 생물체가 살 수 있을 가능성이 0%라고 말씀드리긴 어려울 듯 합니다. 그래서, 심해나 깊은 호수를 탐사하고 연구하는 학자들은 우리가 여태 알지 못했던 새로운 생물체의 가능성을 열어두며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그렇다고 아직 밝혀진게 있는것도 아니며 계속 밝혀내려 노력하고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29
0
0
388
389
390
391
392
393
394
395
3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