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소행성 충돌 성공??? 지구를 방어 할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이번 나사에서는 날아 오는 소행성에 우주선을 발사하는 시뮬레이션을 성공했습니다. 이 의미는 날아오는 소행성에 거의 정확하게 우주선을 발사할 수 있다는 의미이고, 핵 무기를 사용하거나, 다른 전략을 통해서 소행성에게 닿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습니다. 그리고 비록 시뮬레이션이지만 소행성에 닿게 된 우주선과 충돌로 어떤 변화가 일어날지 분석한다고 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7
0
0
머그컵으로 커피먹을 때 고주파음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음, 어떤 현상인지 정확하게 이해가 어렵네요... 머그컵에 커피를 따라마시는데 저는 들어본적이 없습니다. 조금 더 자세한 설명 추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학문 /
화학
22.09.27
0
0
Dna 합성을 통한 변종 생물 생성이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변종, 돌연변이는 온전한 동물이 아닐 수 있으며,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현재 존재하고 있는 사자와 호랑이를 교배해 태어난 라이거도 생식 능력이 없다는 부작용이 존재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27
0
0
번개와 전기 속도는 똑같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전기의 속력은 빛의 속도 300,000km/s 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번개의 속력은 대략 100,000km/s 입니다. 구름에서의 전하가 대기로 방전이 일어나게 되는데, 대기에 있는 원자와 이동하는 전하가 상호작용을 통해 이동하므로 전기의 속력보다 느립니다. (도선에는 자유전하가 분포, 대기에는 분포하지 않음)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27
0
0
천둥과 번개는 같은 말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음, 엄밀히는 다릅니다. 저도 최근에 처음 알았는데, 천둥이 번개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번개는 단순히 빛의 번쩍임 입니다. 소리가 없습니다. 천둥은 빛의 번쩍임과 소리를 둘 다 한번에 의미합니다.즉, 천둥이 치면 번쩍임(번개) 뒤에 뇌성(소리)이 들립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7
0
0
전기의 속도는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전기에너지가 전달되는 속력은 광속(빛의 속력)으로 30만 km/s 입니다. 전기의 속력은 전압의 크기와 관련이 없지만 전기장과 관련이 있습니다. 전압은 전기장이 단위 전하에 가한 일입니다. 이 때 전기장의 영향력이 곧 전기에너지의 전달 속력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전기장이 퍼져나가는 속력은 빛의 속력입니다. 왜냐하면 전기장, 자기장은 결국 빛(광자)이기 때문입니다. 전류는 시간 당 통과한 전하량으로 전류가 흐르는 도선 속 전하( 전자(-) )의 속력은 저항에 의해 1~10mm/s 초속 1~10mm로 매우 느립니다. 전하의 속력은 굉장히 느린데, 전류가 이동하는 속력이 빠른 이유는 앞서 말씀드린거처럼 전기장이 퍼져나가 도선 속에 있는 전자에게 영향력을 미치는 속력(빛의 속력)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27
5.0
1명 평가
0
0
지구의 탄생 때의 온도는 몇 도 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가 탄생하면서 1800도씨 까지 올라갔다는 추정이 있습니다.지구와 같은 행성들이 태양계 외부에서 날아와 태양 주위를 공전하는것이 아니라면 태양이 만들어지고 태양계 주변에 분포한 물질과 가스등이 중력에 의해 모여 각각의 행성을 형성하였을 것입니다. 이는 번쩍하는 동시가 아닌 오랜 시간에 거쳐 동시에 만들어졌다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질량을 가진 두 물체에 대해 운동을 하고 있을 경우 원, 타원 궤도 운동이 가능합니다. 물론 쌍곡선 포물선과 같은 운동도 가능합니다. 여기서는 태양계의 형성 과정에 초점을 두며 타원 궤도 운동을 하고 있었다고 생각할 수 있죠. 이 때 궤도 운동을 시작할 당시 가스, 먼지의 각운동량(회전)이 정해지면서 행성의 공전 방향과 속력이 정해졌을 것입니다. 그리고 현재까지 이어온 것이죠.생명체의 출현에 대해서는 아직 정확하게 밝혀진게 없고 많은 학자들이 연구를 통해 밝혀내려 노력중에 있습니다. 말해드릴 수 있는 것은 물과 유기물이 어떤 과정을 통해서인지는 모르겠지만 합성되면서 생명체가 출현했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7
0
0
하루커피는 몇잔이 적당할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풍은 태양 에너지를 많이 받는 적도부근의 바다에서 만들어집니다. 적도 부근에서 태양 에너지를 받아 물이 증발하여 상승하며 구름이 다수 만들어집니다. 여름이나 가을에 적도 부근에서는 이러한 구름이 거대한 저기압 시스템으로 발달하게 되는데 이를 태풍이라고합니다. 태풍은 바람의 흐름을 타 중위도, 고위도까지 올라옵니다. 올라올때 바다 위를 지나면서 오는데 바다로부터 증발한 수증기를 머금고 세력을 키우며 올라옵니다. 그래서 우리나라나 다른 나라를 강타하죠. 태풍은 육지내에서 더 이상 수증기를 공급 받지 못하기 때문에 세력이 약해지며 소멸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7
0
0
적린과 황린의 차이점이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분자식은 같습니다. 다만 특징이 다릅니다.적린(P4) : 적린은 황린을 260도씨 정도로 가열하면 생성되는 물질로 안정한 적색의 분말입니다. 또한, 브롬화인에 녹으며, 물, 이황화탄소, 에테르 등에 녹지 않는 특징이 있습니다. 공기중에 안정적인 상태이기 때문에 주로 성냥, 의약, 불꽃놀이, 농약 등에 사용되는 물질입니다. 황린(P4) : 백색 또는 황백색을 띠고 있어 백린이라고도 불립니다. 강한 마늘 냄새를 띠며, 가연성을 띠고 있으며 급성독성물질로 분류됩니다. 상온에 두면 서서히 산화하여 어두운 곳에서는 청백색의 인광을 띠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물 속에 보관합니다. 벤젠, 알코올에 조금 녹으며 이황화탄소에 잘 녹습니다. 위험물이기 때문에 군사적 용도로 연막탄, 예광탄, 조명탄, 소이탄의 원료로 사용됐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27
0
0
양파껍질을까면 왜 눈물이나오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양파를 썰거나 다지게 되면 최루성 물질을 만드는 효소가 활성화됩니다. 이 효소의 활성화로 최루성 물질인 프로페닐스르펜산이라는 휘발성 물질이 나오는데, 이 물질이 휘발하여 눈과 코의 점막에 닿아 맵게 만들고 눈물이 나게 만드는 것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09.27
0
0
397
398
399
400
401
402
403
404
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