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높은 곳에 올라가면 왜 귀가 멍멍해지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높이 올라가게 되면 외부의 공기가 희박해져 공기 압력이 감소합니다. 이 때 체내의 압력과 외부 환경의 압력을 맞춰주기 위해 귀가 먹먹해지는것입니다. 귀의 역할은 크게 3가지가 있습니다. 소리를 감지하는 역할, 평형을 유지하는 역할, 압력을 유지하는 역할이 있습니다. 소리는 고막과 달팽이관을 거쳐 울리고 소리를 확성하여 우리가 받아들입니다. 평형은 반고리관을 통해 우리가 중심을 잡고 쓰러지지 않게 유지할 수 있죠. 압력은 높은 지대에 올라가거나 빨리 달리는 차에서 귀가 먹먹해진다는 느낌을 받으셨을 겁니다. 이는 유스타키오관에서 외부 압력과 내부압력이 평형을 이루게끔 조절을 하기 때문입니다.저도 문수산을 다녀온 경험이 있는데, 등산하기 좋은날이라 다시한번 찾아가봐야겠네요 ㅎㅎ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6
0
0
우리나라 향후 기후는 어떻게 변화될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 온난화로 남극과 북극의 눈과 얼음이 계속해서 녹고 있습니다. 북극의 경우 대륙이 없고 빙하로 이루어져있습니다. 남극은 대륙 위에 눈과 얼음이 뒤덮고 있죠. 북극의 빙하가 녹게 될 경우 해수면의 상승은 없다고 보시는게 맞습니다. 왜냐하면 물 위에 얼음이 둥둥 떠있다가 얼음이 녹아도 수위가 안 올라가는 이유와 같습니다. 물은 얼음이 되면서 부피가 커지는데, 그 부피가 커지는 만큼 수면 위로 뜨기 때문이죠. 하지만 남극의 경우는 다릅니다. 남극은 대륙이며 대륙위에 눈과 얼음이 뒤덮고 있죠. 이 눈과 얼음이 녹으면서 바다로 유입되면 해수면의 상승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구 전체 면적의 70퍼 정도가 바다이며 일부 남극의 얼음이 전부 녹지 않는 이상 해수위의 상승은 미미합니다.눈과 얼음이 녹아 바다로 유입되고 태양 에너지를 받아 수온이 상승하게 되면 해수위가 상승하는 또 다른 조건입니다. 바닷물에 열이 가해지면 운동성이 활발해져 부피가 팽창하기 때문이죠.그러나, 온난화로 인해 영구동토층이 녹아 온난화를 가속시킬 위험도 있습니다.영구동토층은 보통 북극의 고위도에 위치하며, 1년 내내 얼어 붙어 있는 퇴적물, 토양, 기반암 등을 의미합니다. 영구동토층의 면적은 지구 육지 표면적의 14%이며 약 2100만 km² 입니다. 이 영구동토층은 탄소, 메탄 가스를 포함하고 있으며 녹게되면 탄소와 메탄가스가 대기로 나올 수 있습니다. 즉, 지구온난화를 가속하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시한폭탄이라는 표현을 하고있죠. 온난화로 지구가 따뜻해지면서 영구동토층이 녹을 수 있는데, 영구동토층이 녹으면서 온실가스인 탄소, 메탄가스가 대기로 흘러나오니 온난화가 더욱 가속화될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26
0
0
가을 하늘이 눈에 띄게 파란색으로 보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가을에는 다른 계절에 비해 대기가 깨끗한 상태입니다. 왜냐하면 차고 건조한 기단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대기 중에 수증기량도 적고 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맑은 기후이죠. 또한 미세먼지도 적은 시기입니다. 그래서 높은 곳에서부터 대기와 충돌해 빛의 산란이 일어나는데 이 때문에 가을 하늘이 높이 보이는 것이죠.참고로 하늘이 파란 이유는 대기(공기)에 의해 태양 빛이 산란되기 때문입니다. 이때 짧은 파장 영역대의 빛인 파란, 남색 ,보라 빛이 산란이 잘되는데, 이러한 빛이 우리 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이유입니다.산란이란 쉽게 생각해 빛의 경로가 바뀐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하늘에서 파란색의 파장 영역대의 빛이 공기와 산란하여 여기저기 튀다 우리 눈으로 들어온 것이죠. 반면에 다른 빛은 모두 공기를 투과하여 지면에 닿기 때문에 하늘의 색에는 기여하지 않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6
0
0
과학적으로 두발자전거가 가만히있을때는 쓰러지는데 달릴때는 왜 안쓰러질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바퀴 회전력에 의해 쓰러지지 않는 것이죠. 회전하는 물체에 대해 중력 방향으로 기울어지면 이를 복원하는 회전력이 작용합니다. 이 회전력은 물체의 회전속도와 관계가 있는데 빠를 수록 회전력이 강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속력을 내면 자전거가 잘 쓰러지지 않습니다.마치 팽이가 쓰러지지 않는것도 유사한 원리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물리
22.09.26
0
0
구름이 어떻게 사람눈에 보이는 원리?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구름은 수증기와 물 분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또한 작은 물분자부터 큰 물분자까지 다양한 크기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다양한 크기의 입자가 존재하면 특정 파장의 빛만 산란 되지 않고 모든 파장 영역대의 빛이 산란할 수 있습니다. 빨간색 빛, 노란색 빛, 초록색 빛, 파란색 빛 등 모든 빛이 구름내에 존재하는 물 분자로부터 산란이 가능하죠. 모든 색의 빛이 산란되고 빛의 합성으로 인해 하얀색 빛으로 우리눈에 들어오게 되어 구름이 하얗게 보입니다.산란이란 쉽게 생각해 빛의 경로가 바뀐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구름이 생기는 원리는 공기가 상승하는 기류를 만나 상승하면서 부피가 커지고 온도가 떨어집니다. 때문에 공기중 수증기가 물이되면서 구름이 형성됩니다. 그런데, 구름이 형성될 때 지형, 기압, 수증기량, 수증기량의 분포도 등 아주 다양한 변수에 의해 모양이 결정되기 때문에 각기 다른 모양의 구름이 형성됩니다.하지만 크게 보면 얇은 구름, 두꺼운 구름 등 어느정도 형태가 잡힐 수 있습니다. 이는 지형이나 기류의 조건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6
0
0
삭물들의 피톤치드는 어떤 원리로 발산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피톤치드 효과는 삼림욕을 통해 많이 경험할 수 있으며, 심신의 안정 및 진정 효과를 볼 수 있으며 스트레스를 완화, 해소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신체적으로 면역기능 강화, 폐 기능 강화, 혈압 조절 및 콜레스테롤 개선등의 효과를 보실 수 있습니다.자연(나무)의 향으로 통해 안정되고 편안함을 느끼며, 건강한 정신을 찾음으로써 질좋은 수면과 호흡을 통해 신체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원리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26
0
0
태권도 기술들 가운데 회전 돌려차기의 타격 위력이 강력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회전발차기는 사람의 회전력을 토대로, 회전하는 힘을 발에 전달하여 발차기를 함으로써 강력한 파괴력을 가질 수 있습니다. 그냥 발차기의 경우는 허리를 트는 힘과 다리를 뻗는힘이지만, 회전발차기는, 회전 속도가 허리를 트는 속력에 비해 굉장히 빨라 더욱 강한 발차기로 이어지는 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물리
22.09.26
0
0
노화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활성산소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가 호흡을 통해 산소를 얻게 되는데, 이 산소의 90~95%는 에너지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쓰이고 나머지 1~2%의 활성산소가 됩니다. 이는 세포에 독성을 일으키는 물질로 세포의 노화를 촉진 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운동시에도 활성 산소가 만들어질 수 있으며, 과일의 갈변한 부분을 섭취시에도 활성산소가 만들어질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26
0
0
같은 온도인데 겨울 여름에 느끼는 정도가 다른 이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그러한 이유는 온도의 영향도 크지만 습도의 영향도 크기 때문입니다.인간에게는 온도를 감지하는 세포가 존재합니다. 이 세포는 상대적인 온도를 감지하여 덥다 춥다를 판단하죠. 보통 21~26도의 온도와 40~50% 정도의 습도에서 쾌적함을 느낍니다. 기온이 30도가 되면 신체는 더위를 느끼고, 우리나라 기후적으로 습도가 높아집니다. 그래서 쾌적함을 느끼지 못하고 불쾌함을 느끼는 경우가 많습니다. 온도도 쾌적한 환경에 주요한 요소지는 습도도 중요한 요소중 하나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26
0
0
딸기는 겉에 붙은 작은 깨같은게 다 자라날 수 있는 씨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딸기의 표면에 있는 것은 씨앗이 아닌 열매입니다. 그리고 딸기는 씨방이외의 부분이 자라난 헛열매라고 합니다.이러한 헛열매는 딸기, 무화과, 파인애플, 석류등이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26
0
0
397
398
399
400
401
402
403
404
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