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낙타 혹에 들어있는 것은 지방이라고 하는데, 물 구하기 힘든 사막에서 낙타가 어떻게 생존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낙타 혹에 저장되어 지방을 연소시켜 물과 에너지를 얻을 수 있습니다. 혹에 있는 지방이 연소되면 물과 이산화탄소가 발생되며 에너지도 얻을 수 있습니다. 여기서 나온 물 때문에 물을 마시지 않고 오래 버틸 수 있는 것이죠. 그리고 연소되는 지방은 크기가 작아지므로 혹의 크기가 줄어들게 되죠.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26
0
0
전자기기를 사용하는데 볼륨 조절을 어떻 원리 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볼륨을 조절하는 원리는 앰프의 진폭을 줄여 소리의 세기를 줄이는 원리입니다. 소리의 세기는 소리 진동의 진폭과 관련이 있습니다. 전자기기에서 소리가 나는 것은 전자기 유도 현상으로 인해 앰프를 진동 시킵니다.전자기 유도 현상이란 코일(도선)이 있고, 코일 주변에 자석(또는 전자석)이 움직이거나 자기력이 변화하고 있을 때 코일(도선)에 유도 전류가 흐르는 현상을 말합니다.즉, 앰프를 뜯어보시면 더 잘 아시겠지만 앰프에는 자석과 코일이 감겨있음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진동하는 앰프와 떨어진 내부(스피커 내부)에도 코일과 자석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스피커 내부의 코일에 전류를 흘려 보내주어 변화하는 자기장을 만듭니다. 이 변화하는 자기장은 앰프에 붙어 있는 코일에 전자기 유도 현상을 발생시켜 진동을 만들어 줍니다. 그리고 스피커 내부 코일에 전류의 세기에 따라 떨림의 진폭의 강도가 결정됩니다. 즉, 전류가 강하면 진폭이 세져 소리가 크고, 전류가 약하면 진폭이 약해져 소리가 작아집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26
0
0
바다에서 용오름현상이일어나는원인은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용오름 현상은 토네이도와 같은 원리이며 바다에서의 토네이도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토네이도(용오름)은 기체나 유체(액체)의 흐름 중 난류에 의해 생길 수 있습니다. 강한 상승기류(저기압)와 강한 바람(난류)가 동시에 일어나며 토네이도, 용오름을 만들어 냅니다. 바다의 경우 이 토네이도에 물이 끌려 함께 회전하며 올라가 용오름을 만들어 냅니다. 용오름은 토네이도로 저기압을 형성해 빨려들어가는 힘이 작용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6
0
0
지구의 자전 주기는 24시간이라고 하는데 실제로는 4분 모자라다고 하는데 나머지 4분의 행방?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가 태양 주위를 공전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대략 365.2422일 입니다. 그리고 지구의 자전 또한 23시간 56분으로 정확하게 24시간이 아닙니다. 즉, 이렇게 비어 있는 시간은 양력의 윤달을 통해 4년에 한 번씩 조정해주며 주기를 맞춥니다.양력은 1년(365일) 동안 태양 주위를 공전하는 지구의 계절성을 나타낼 수 있는 달력이며 태양 주위를 공전하는것을 기준으로 하여 만든 달력입니다. 4년에 한 번씩 지구의 자전, 공전 주기를 맞추기 위해 윤달(2월 29일 까지)을 사용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6
0
0
지구 자전방향이 남반구와 북반구는 다른데 왜 다르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의 자전방향은 일정하지만 어떻게 보냐 관점의 차이입니다.지구의 북반구에서 북극을 위쪽으로 기준잡고 남반구를 아래를 기준하여 자전방향을 논하면 지구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합니다.하지만 지구의 남반구에서 남극을 위쪽으로 기준잡고 북반구를 아래로 기준한다면 자전 방향은 시계방향입니다. 뱅뱅 돌아가는 것을 쳐다볼때 바로 쳐다보냐 물구나무를 서서 쳐다 보냐의 차이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6
0
0
12V 8A 아답터를 32인치 모니터에 연결중 퍽소리와 누전차단기 떨어짐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어뎁터의 불량일 수도 있습니다.어뎁터의 정격 전류, 정격 전력이 모니터와 맞지 않을 수 있을 확률이 높네요. 정격 전류, 정격 전력과 맞지 않은 제품을 사용하면 과전류를 유발할 수 있어 차단기가 내려갑니다. 그리고 이는 제품의 고장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또한, 어뎁터에 여러 제품을 연결하였을 경우에는 전체 저항이 줄어 과전류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어뎁터는 병렬 연결 구조로 제품을 연결하면 할 수록 저항이 줄어들어 전류량이 높아집니다. 이러한 경우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먼저, 어뎁터를 사용하지 마시고 불량인지 확인이 필요합니다.다행히 tv에는 문제없어 다행이네요!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26
0
0
차량 운전시 운전 습관에 따라 연료 소모량이 다르다던데 어떻게 운전하는게 연료 절약이 될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연비를 높이는 운전 습관으로는 다음과 같이 있습니다.특별한 위기 상황이 아닐 경우에는 급출발, 급가속, 급제동을 삼가는 것입니다. 고속 주행시 창문을 열지 않는것이 좋습니다. 창문을 열면 차에 가해지는 저항이 강해져 연비가 떨어집니다. 차에 불필요한 짐을 줄이는것이 좋습니다. 장시간 정차시에는 시동을 끄거나 중립에 놓는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타이어의 공기압을 유지하는것이 좋습니다.이러한 것들은 습관이 되면 좋기 때문에 조금씩이라도 습관을 들여 연비를 조금이라도 높여 안전 운행을 하시길 바랍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26
0
0
구름은 어떻게 안흩어질수 있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구름이 형성될 때 공기의 한 부분이 상승기류를 만나 상승하여 구름이 되었고, 바람이나 다른 기류를 통해 이동하기 때문에 집단을 흩어지지 않고 움직입니다. 하지만, 아주 강한 바람이 분다면 구름도 나눠질 수 있으며, 흩어질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6
0
0
인간의 기억은 어떻게 저장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기억은 뇌에 있는 시냅스의 물리적인 변형을 통해 저장되는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뇌에는 시냅스가 존재하는데, 뇌의 자극을 통해 시냅스가 변형되어 기억으로 저장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26
0
0
12V 8A 신품을 사서 모니터여 연결후 멀티스위치를 켜자마자 바로 누전 차단기 떨어짐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어뎁터의 불량일 수도 있습니다.어뎁터의 정격 전류, 정격 전력이 모니터와 맞지 않을 수 있을 확률이 높네요. 정격 전류, 정격 전력과 맞지 않은 제품을 사용하면 과전류를 유발할 수 있어 차단기가 내려갑니다. 그리고 이는 제품의 고장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어뎁터에 여러 제품을 연결하였을 경우에는 전체 저항이 줄어 과전류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어뎁터는 병렬 연결 구조로 제품을 연결하면 할 수록 저항이 줄어들어 전류량이 높아집니다. 이러한 경우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먼저, 어뎁터를 사용하지 마시고 불량인지 확인이 필요하며, tv가 고장났는지 직원을 불러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무사히 큰일없이 잘 작동하였으면 좋겠네요...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26
0
0
406
407
408
409
410
411
412
413
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