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왜 콜라에 멘토스를 넣으면 폭발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멘토스는 껌처럼 질긴 성질과 끈적한 성질이 있는데 이는 아라비아 고무성분 때문입니다. 그리고 콜라에는 탄산염이 있어서 청량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멘토스의 아라비아 고무성분과 탄산염이 반응하여 급속도로 탄산(이산화탄소)을 만들어내는 원리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23
0
0
가을이면 나무잎들이 단풍으로 물드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겨울을 지난 봄에 잎이 돋아나기 시작하고 잎에 있는 엽록소가 만들어지면서 초록 잎을 유지합니다. 가을이 되면서 이 엽록소가 더 이상 만들어지지 않고 엽록소가 분해되어 노란, 주황, 빨강, 핑크 등으로 색이 바뀌어 단풍이 지는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23
0
0
공룡의 나이를 측정한다는 방사성 탄소 연대측정법은 어떠한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방사성동위원소 연대측정법은 무겁고 불안정한 원소의 반감기를 이용하여 연대를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우리는 다양한 종류의 원소를 발견하였고, 이들의 특징을 탐구하였습니다. 그 특징 중 하나는 방사성 동위원소의 반감기 입니다. 즉, 반감기는 원소의 양이 반으로 줄어드는데 까지 걸리는 시간이며 방사성 동위원소의 수명이 있다는 것을 밝혔죠. 이 사실을 통해 연대 측정을 하는것이죠.방사성 동위원소란 안정적인 원자(주기율표의 원자)내는 양성자, 중성자, 전자가 동일한 비율로 있지만, 이 안정적인 원자에 중성자가 더 붙어 불안정한 원소가 되는데 이를 의미합니다. 이 방사성 동위원소(모 원소, parent atoms)는 다른 불안정한 원소를 만들거나 안정적인 원소를 만들어내며 붕괴합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원소를 딸 원소, 자 원소(daughter atoms)라고 합니다. 반감기는 초기에 모 원소의 수의 반이 줄어든 시간이며 이 때 딸 원소의 수는 모 원소의 붕괴된 양만큼 생성됩니다.(참고로, 중요한 부분은 알아 내고자 하는 연대(과거 의 그 시점)에서의 딸 원소의 양을 알고 있어야 정확한 연대 측정이 가능하다는점입니다. 이러한 점을 보정하는 방법이 아이소크론 연대측정 법입니다.)공룡의 화석이나 유물과 같은 것을 발견하였을 때 그 주변의 원소를 조사합니다. 그 중 무겁고 불안정한 원소인 방사성 동위원소를 찾아 수를 조사하고, 딸 원소의 수도 조사함으로써 연대를 측정하는 것입니다.방사성 동위원소로는 탄소-14(딸 원소 질소-14, 반감기-5730년 정도), 칼륨-40(딸 원소 아르곤-40, 반감기-12억 5000만 년 정도), 우라늄-238(딸 원소 토륨-234 ,반감기-44억 6800만 년)가 있습니다.연대를 측정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열발광연대측정법이 있습니다. 토기, 도자기와 같은 것의 만들어진 시기를 측정하는데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광물에 방서선을 쬐어 누적된 에너지를 발광하게 되는데, 이 누적된 에너지와 발광하는 정도를 가지고 연대를 측정하는 방법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3
0
0
PC 모니터를 촬영하면 이상한 이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pc의 화면에서 나오는 빛의 주파수가 있을 것이고, 카메라가 인식할 수 있는 주파수가 있을것인데 둘의 차이가 발생하면 눈으로 보는것과 다르게 찍힐 수 있습니다. 또한, 모니터의 빛은 빛의 삼원색(빨,초,파)로 모든 색을 표현하게 되는데, 이 때 광원이 픽셀 하나하나를 차지하는 모니터가 있기 때문에 회절, 간섭 현상이 일어나 눈으로 보는것과 다르게 보일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23
0
0
가장 안정적인 모양은 삼각형이 맞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가장 안정적인 모형을 이야기할 때, 무엇에 대해 안정적인지 명확한 표현이 필요합니다. 외부(표면 전체)에서 가해지는 힘(압력)을 가장 덜 받기 위해서 가장 안정적인 모양은 원형입니다. 구조물을 지을 때 힘을 가장 잘 분산시키며 튼튼하게 지을 수 있는 구조는 삼각형의 형태로 이어 붙인 구조물이 안정적입니다. 이처럼 경우에 따라 안정적인 모양이 다를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09.23
0
0
햇빛을 쳐다보면 눈이 부시다고 느끼면서 눈을 못 뜨는 이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 빛은 시신경에 강한 자극을 주고, 자외선에 의해 세포가 파괴될 위험도 있으며, 열에 의해 손상도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계속 강제적으로 쳐다보면 실명할 수 있습니다.태양을 1분 정도만 바라보게 되도 망막이 손상되며 시력이 감소되고, 잔상, 눈부심등의 증상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또한 사물이 모두 붉게 보이거나, 사물이 삐뚤어져 보일 수 있습니다. 눈을 감는것은 무조건 반사에 의한 반응입니다. 눈을 보호하기 위한 반사 반응이 되겠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3
0
0
핵무기의 과학적인 원리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핵무기의 과학적 원리는 핵분열 반응에 있습니다.핵분열은 불안정한 원자(우라늄-235과 같은)에 중성자를 충돌시켜 불안정한 원자가 다른 원자로 변하며 결손되는 질량이 발생하는데, 이 결손된 질량이 에너지로 전환됨에 따라 에너지를 얻어지는 것입니다. 불안정한 원자에 중성자를 충돌 시킴으로써 붕괴를 시키는데, 이 반응이 연쇄적으로 일어나 많은 양에 에너지를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연쇄 반응이 끝나면 에너지는 더 이상 나오지 않기 때문에 불안정한 원자(우라늄-235과 같은)가 원료로 필요합니다.핵무기의 종류로는 핵탄두 미사일, 전략 폭격기, 핵잠수함 등이 있습니다. 핵 잠수함의 경우 원자로를 이용하여 핵분열 에너지를 동력으로 사용하는 잠수함이며, 공격 무기는 일반 미사일, 폭격기입니다. 핵탄두 미사일은 핵무기를 탄두에 장착하여 미사일로 장거리의 공격이 가능한 핵 무기입니다. 전략 폭격기는 핵 무기를 전투기에 싣고 높은 지대에서 핵 폭탄을 떨어뜨려 공격하는 전투기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23
0
0
게르마늄 팔찌는 몸에 도움이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게르마늄이 건강이나 몸에 있어 효능이 있다는 의학적인 근거는 없다고 합니다. 이에 대해 연구하시는 분들도 계시겠지만 아직 뚜렷한 근거는 찾기가 어렵네요.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물리
22.09.23
0
0
지구궤도에 우주쓰레기가 그렇게 많다던데 인공위성이랑 충돌 안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에는 가스와 입자, 물질등이 있으며 작은 암석부터 큰 암석까지 다양하게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물질들은 강한 중력에 의해 특정 궤도에 머물러 궤도 운동을 하거나 특정한 궤도 없이 움직이는 것들까지 다양하게 있습니다. 또한 지구를 중심으로 공전하고 있거나, 유영하고 있는 쓰레기도 많다고 들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지구를 중심으로 공전하고 있는 인공위성과 우주에 있는 쓰레기나 물질이 충돌하지 않을 보장은 없기 때문에 충돌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 충돌이 강하냐 약하냐가 문제가 되겠습니다. 작은 입자나, 물질에 의한 약한 충돌일 경우 인공위성의 성능에 문제가 없을 수 있지만, 강한 충돌의 경우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고장의 위험도 있죠. 고장이 날 경우 새로 쏘아 올리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그리고 우주의 쓰레기나, 고장난 인공위성을 회수하기 위한 계획, 노력도 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3
0
0
순수 나트륨은 물을 만나면 왜 폭발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나트륨 (알칼리)금속이 물과 만나게 되면 빠른 속도로 산화반응이 일어납니다. 마치 철의 녹이스는(산화되는) 현상이 재빠르게 일어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산화 반응은 발열 반응으로 열을 내기 때문에 주변을 뜨겁게 만듭니다.2Na + 2H₂O → 2NaOH + H₂게다가 나트륨과 물이 만나 수산화 나트륨이 되며 수소 기체가 발생하는데, 산화반응에 의한 열로 인해 수소 기체가 연소하여 폭발이 일어나는것이죠. 그래서 물이 퍽퍽 튀고 난리가 날 수 있습니다. 또한 주변에 있으면 다칠 수 있으니 언제나 안전장비와 화재위험에 대비해 안전하게 실험을 하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물리
22.09.23
0
0
415
416
417
418
419
420
421
422
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