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지구와 달의 관계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지구와 달이 화성과 달 사이 거리보다 가깝고, 지구 중력이 더 강하기 때문에 달이 지구 주위를 공전하고 있는것입니다. 만약 화성이 중력이 더 강해져 지구가 달에 행사하는 중력보다 쎄진다면 그 때는 달이 화성에 이끌릴 수 있습니다.우리 지구에서 달을 볼때 달의 한 면만 볼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달의 자전 주기와 공전주기가 동일하여 한 면만을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달의 모양이 변하지 않고 항상 같은 모습을 띠고 있는 이유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2
0
0
심장이 온몸으로 피를 내보내주는데 그 힘은 얼마정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보통 혈압이라고 합니다. 대부분의 사람의 혈압의 기준은 80 mmHg 이상, 120mmHg 이하 입니다. 이를 대기압과 비교하면 0.11~0.16atm(기압) 정도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물리
22.09.22
0
0
인공적으로 비나 눈을 내리게 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가능합니다. 인공강우 장치를 개발했기 때문이죠.인공강우는 흔히 구름 씨앗, 즉 빙결핵이 될 만한 화학물질을 대기 중에 살포하여 수증기를 응축시켜 비를 내리게하는 원리입니다. 해외에도 있으며, 우리나라에도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09.22
0
0
혜성은 왜 타원형으로 궤도를 그리며 다닐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은 거대한 질량체이며, 행성이나 혜성 또한 질량을 가지고 있어 서로간에 만유인력(중력)이 작용합니다. 그리고 물리학(고전역학)에서 태양과 행성, 태양과 혜성과 같이 두 질량체 사이에서의 운동을 기술할 수 있습니다. 이 때 운동 초기(생성 초기)에 갖고 있는 에너지(회전 에너지), 각운동량(회전 운동량) 등에 의해 물체의 운동이 결정됩니다. 두 물체 사이에 각운동량(회전량)이 있을 경우에 가능한 궤도 운동으로는 원 궤도, 타원 궤도, 쌍곡선 궤도, 포물선 궤도 운동이 있습니다. 그래서 대부분의 행성들이 타원 궤도 운동을 하는것이죠. 혜성 또한 타원 궤도 인데 긴 궤도(긴 장반경)의 운동을 하는것입니다. 물론 쌍곡선 궤도나 포물선 궤도를 가지고 있는 물체도 존재하며 태양 근처로 한번 왔다면 그 뒤로는 영원히 볼 수 없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2
0
0
전류가 통하면 왜 뜨거워 지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전류라는것은 전하(-, +극)의 흐름입니다. 보통 물체 내에서 전류가 흐른다는것은 전자(-)의 흐름입니다. 그리고 물체는 저항을 가지고 있죠. 저항은 물체 내에서 전자의 흐름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원자나 원자핵이 될 수 있습니다. 전자가 물체 내에서 흐르면서 원자와 원자핵과 충돌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즉, 전류의 흐름으로 전자가 저항체와 충돌을 하면서 마찰열이 발생하는것이죠. 그래서 전류가 통하면 물체의 저항에의해 뜨겁게 열이 발생하는것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22
0
0
육중한 항공기가 중력을 극복하고 비행할 수 있도록 하는 힘들 가운데 양력이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비행을 하는데 크게 두 가지 원리가 있습니다. 첫째, 양력을 얻는 원리가 있으며 둘째론 작용-반작용이 있습니다.양력을 얻는 원리는 압력차에 의한 힘에 의한 것입니다. 비행체의 날개에서 주로 얻게되는데, 날개의 윗부분은 곡면으로, 아랫부분은 평평한 면으로 하여 윗부분에서 공기의 흐름, 유속을 빠르게 해줌으로써 압력을 낮추는 것입니다. 그러면 날개의 아랫부분에서 윗부분으로 힘을 받게되어 뜰 수 있습니다.작용-반작용은 프로펠러에서 공기들을 지면으로 밀어내는 힘으로 비행체가 뜨는것을 의미합니다. 프로펠러를 회전시켜 공기를 지면으로 수직하게 튕겨내면서 비행체가 뜨는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물리
22.09.22
0
0
깨진 유리의 고온을 가하면 찰흙처럼 다시 합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가능합니다. 유리는 750도 이상의 온도에서 녹게 되어 말랑말랑해지는데, 이 때 녹아 있는 깨진 유리 조각들을 뭉쳐 새로운 유리로 탄생시킬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22
0
0
우리나라에는 왜 석유가 나오지 않는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에도 작은 양이지만 석유를 보유하고 있어서 산유국으로 분류됩니다.우리나라 울산광역시에서 동해바다로 58km정도 나가면 시추를 통해 원유를 캐는 원유생산기지가 존재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2
0
0
광산을 개발할때 어떤 사항들을 근거로 채굴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지질학적인 정보를 사전에 파악하여 가능성을 보고, 시추 작업, 초음파 분석, 레이저 측량 분석, 교류전류 분석 법 등을 통해 광물이 있는지 확인하여 광산을 찾아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09.22
0
0
압력에 따라 기체의 부피가 변하는건 왜그런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주사기를 이용하면 설명이 쉽습니다. 주사기의 앞 부분(바늘 꼽는 부분)을 꽉 막고 피스톤을 누르는 행위는 압력(힘)을 가하는 행위입니다. 그리고 피스톤을 누르면 주사기 내부의 부피가 줄어드는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반대로, 피스톤을 당기면 주사기 내부의 압력을 낮추는 행위입니다. 그리고 부피가 늘어나는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주사기가 있다면 이것을 통해 아이에게 보여주시면 될거 같습니다! 만약 없으시다면 페트병에 풍선을 끼워서 페트병을 누르면서 설명해주셔도 좋을거 같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22
0
0
424
425
426
427
428
429
430
431
4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