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지구의 자전괴 공전을 이용한 기술질문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맞습니다. 질문자님께서 생각하신걸 과거부터 현재까지 우주선, 인공위성등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물론, 지구의 중력이나 달의 중력, 다른 행성의 중력을 이용하여 추진력을 얻는 방법도 있으며, 행성이 시간에 따라 이동하는 경로를 파악하여 최단거리를 계산하여 로켓, 인공위성을 쏘아올리고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2
0
0
안개가 끼는 원리에 대해 알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고기압 지대에서 새벽에 안개가 낄 수 있습니다. 밤부터 새벽까지는 식물의 광합성은 없고 호흡만 일어납니다. 그리고 호흡을 통해 수분 생성되며, 잎의 기공을 통해 나와 잎의 표면에 물이나 수증기의 형태로 존재하게 되죠. 그리고 고기압의 영향으로 수증기가 증발하지 못하고 지표면에 쌓이게 되는데, 기온이 낮은 새벽에 수증기가 쌓이며 포화수증기량을 넘어서 안개를 형성하게 됩니다. 그리고 안개 낀 날의 낮에는 대부분 날씨가 맑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고기압 지대이기 때문이죠.풀숲이 아닌, 저수지가 있는곳이나 해안가, 호숫가에서는 물의 증발로 인해 안개가 발생 가능합니다.다른 경우는 비가 오고 난 뒤 습해진 공기와 풀잎이나 나뭇잎에서 물의 증발이 일어납니다. 증발된 수증기가 산을 오르는 기류를 만나 천천히 올라가게 되면 팽창되고 기온이 떨어지게되죠. 그러면서 수증기는 물로 변하게 되는데 이때 안개나 구름이 되는것입니다. 그래서 습한날 산에 보면 작은 안개와 구름이 많이 보이는 이유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2
0
0
과학적으로 캔이 찌그러지는순간 환경호르몬이 나오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캔이 찌그러진다고 쉽게 환경호르몬이 나오지 않습니다. 만약 캔이 찌그러지면서 순간적인 미세한 열이 발생할 수 있지만, 이 미세한 열은 캔을 녹이거나 변형시키지 않기 때문에 환경호르몬이 안 나온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혹시나 나왔더라도 정말 미세한 양이고 인체해 무해할 정도이니 걱정 안하고 드셔도 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22
0
0
태양이 열이 나는 이유가 무엇인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에서 빛(열)이 나는 이유는 핵융합 반응에 의한 것입니다.태양은 별 중에 하나로, 별은 주로 핵융합 반응에 의해 빛과 에너지를 방출합니다. 태양에서 일어나는 핵융합 반응은 원자(원자핵) 2개가 더 큰 원자(원자핵)이 되는 반응입니다. 이 과정에서 반응전 원자(원자핵) 2개의 질량을 더하면 반응 후 원자(원자핵) 질량보다 큰 것을 알 수 있는데, 반응 과정에서 질량 손실이 에너지(빛, 열)로 변한 것이죠. 이를 핵융합반응이라고합니다. 이 때 손실된 질량이 에너지로 변하는 과정은 E=mc^2을 통해 계산할 수있습니다.태양의 수명은 100억년 정도이고, 현재 태양의 나이는 46억년 이라고 밝혀져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2
0
0
물속에서 물고기들이 빠르게 유영하는 이유가?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물고기의 몸의 형태에 따라 조금씩 다른데, 물고기가 물속에서 빠르게 유영할 수 있는 이유는 몸의 형태에 있습니다. 몸은 유선형으로 물속을 헤쳐나갈 때 저항을 최소로 받을 수 있죠. 그래서 순간적으로 방향을 틀거나 이동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집단으로 다니는 물고기도 있는데, 집단으로 이동할 경우 물살의 저항을 덜 받는다고 합니다.물고기는 비늘을 통해 외부의 진동, 소리를 감지합니다. 또한 외부의 공격이나 병균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해주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22
0
0
이 생물이 무엇인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큰 갈색 나방 애벌레 같기도하는데 뚜렷히는 모르겠네요, 큰나방과의 애벌레인거처럼 보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22
0
0
과학적으로 ph농도가 산성일때 짜장면에 물이 생기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짜장면에 물이 생기는 이유는 침 속에 있는 아밀라아제(아밀레이스)라는 소화효소와 짜장면에 있는 전분이 만나 액체 상태로 변하는 것입니다. 아밀라아제는 약간의 산성을 띠지만 거의 중성이라고 보셔도 무방합니다. 그리고 아밀라아제는 산성의 조건에서 활성화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22
0
0
온도의 측정과 표시를 위하여 사용되는 단위인 섭씨와 화씨는 어떤 장점을 가지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큰 장점은 따로 없습니다. 화씨와 섭씨는 관례적인것이며 사용하기 편한 온도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섭씨가 익숙하고 사용하기도 편하죠.화씨는 물의 끓는점을 212(화씨)도, 물의 어는점을 32(화씨)도로 기준잡아 180등분한 온도체계입니다.섭씨는 물의 끓는점을 100(섭씨)도, 물의 어는점을 0(섭씨)도로 기준잡아 100등분한 온도체계입니다.온도라는 것은 사실 기준잡기 나름이고 새로운 체계를 얼마든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참고로 섭씨와 화씨의 변환관계는 다음과 같습니다.화씨=섭씨*9/5+32 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22
0
0
최근에 우리나라를 포함한 국제사회가 원자력발전을 녹색분류 체계에 넣기로 결정한 근거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녹색분류체계의 기준에 부합하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녹색분류체계의 기준에는 온실가스 감축, 기후변화 적응, 물의 지속 가능한 보전, 자원 순환, 오염방지 및 관리, 생물다양성 보전이 있습니다. 원자력발전은 이러한 기준에 부합이 가능합니다. 단순히 원자력 발전만 본다면 오염, 생물 다양성 보전 등에 위반돼 보이지만, 원자력 폐기 시설 등을 설치하여 기준을 맞출 수 있습니다. 그리고 엄격하게 심사하고 판단한 결과 녹색분류체계에 넣은것이죠.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22
0
0
지구 온난화를 막을수 있는 탄소배출권이란 무엇인가요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온난화의 문제는 연료를 태울 때나, 기타 사람이 만든 물질이 부패나 연소 과정을 거칠 때 나오는 가스 중 온실가스의 배출로 심해지고있습니다. 온실가스에는 이산화탄소, 메탄, 이산화 질소 등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탄소배출권은 이산화탄소, 메탄 등 온실가스의 일정량을 배출할 수 있는 권리를 의미합니다. 유엔기후변화협약에서 발급합니다. 또한 주식, 채권처럼 거래소나 장외에서 매매가 가능합니다. 탄소배출권을 만든 이유가 온실가스의 무분별한 배출을 막기위해서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22
0
0
424
425
426
427
428
429
430
431
4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