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오줌을 싸면 변기에 거품이 나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물만으로는 막이 형성되지 않습니다. 소변에는 노폐물이 섞여 있는데, 여기에 단백질이 섞여 있는 경우 거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거품이 심할 경우에는 단백뇨를 의심할 필요도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09.18
0
0
히스톤 단백질이 유전체에 포함하는 것이라고 해도 맞는 말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유전체가 염색체를 포함한다면 당연히 히스톤 단백질이 유전체에 포함됩니다. 왜냐하면 히스톤 단백질이 염색체에 포함되기 때문이죠.
학문 /
생물·생명
22.09.18
0
0
물속에서 총을 쏘면 총알이 잘 날아갈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물속에서는 공기의 밀도의 800배 정도 밀도가 더 높고, 총알이 날아가는데 있어 저항력이 강하기 때문에 안전하게 살 수 있습니다. 만약 사람이 물의 표면에 있고 총알이 물 밖에서 날아오는 경우라면 큰 부상이나 사망에 이를 수 있지만, 물속 1~3m정도만 들어가도 총알이 힘을 발휘하지 못하여 죽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물속에서 총을 쏴 아주 가까운 목표물을 맞출 수 있습니다. 멀리 있는 목표물은 못맞춘다고 보시면 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8
0
0
벌레도 근육이 있는건가요? 발달도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벌레는 근육이 없으며 관절에서 작용하는 힘으로 움직입니다. 곤충은 근육을 가진 동물과는 다른 메커니즘으로 움직이죠.
학문 /
생물·생명
22.09.18
0
0
보온병의 원리가 궁금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보온병의 보온 보냉 효과는 보온병 외부와 내부의 열교환을 차단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효과입니다. 보온병을 툭툭 쳐보시면 안이 비어있다는 느낌이 드실겁니다. 그 부분을 진공으로 두거나 열 전도성이 낮은 물체를 채워 넣음으로써 내외부의 열교환을 거의 0으로 만들죠. 그래서 보온, 보냉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18
0
0
지구에 떨어지는 소행성이 많다고 하는데?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소행성은 보통 크기가 작고 중력이 작습니다. 크기가 커야 몇 백km입니다. 소행성은 우주의 먼지와 가스들이 뭉쳐 중력에 의해 만들어졌거나 행성의 파편으로 만들어졌거나 두 천체의 충돌 과정에서 형성되었을 수 있습니다. 이 소행성이 소행성대에서 공전하며 다른 소행성과 충돌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경로를 틀어 지구로 올 수 있죠. 또한 소행성이 궤도 운동을 하다가 지구 중력에 이끌려 떨어질 수도 있습니다.지구에 떨어진 소행성은 굉음과 구덩이를 만들며 파편, 화재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또한 강한 충격파를 만들 수 있죠. 작은 소행성이라도 지구로 떨어지며 대기와의 마찰에 의해 뜨거운 상태이며 굉장히 빠른 상태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러한 소행성이 도심지에 떨어지면 충격파로인해 진동과 굉음이 발생하며 유리창이 전부 깨질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8
0
0
정전기를 모아서 사용할 수는 없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정전기는 마찰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 마찰을 이용하여 정전기를 모을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미 발명을 하였고 기술을 계속 성장시키고 있습니다. 이를 이용한 기술이 마찰전기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입니다.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를 에너지로 충전시키는 기술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18
0
0
기후위기 시한폭탄으로 평가되는 영구동토층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영구동토층은 보통 북극의 고위도에 위치하며, 1년 내내 얼어 붙어 있는 퇴적물, 토양, 기반암 등을 의미합니다. 영구동토층의 면적은 지구 육지 표면적의 14%이며 약 2100만 km² 입니다. 이 영구동토층은 탄소, 메탄 가스를 포함하고 있으며 녹게되면 탄소와 메탄가스가 대기로 나올 수 있습니다. 즉, 지구온난화를 가속하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시한폭탄이라는 표현을 하고있죠. 온난화로 지구가 따뜻해지면서 영구동토층이 녹을 수 있는데, 영구동토층이 녹으면서 온실가스인 탄소, 메탄가스가 대기로 흘러나오니 온난화가 더욱 가속화될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8
0
0
양자컴퓨터는 사기 일까요? 아님 진짜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양자컴퓨터는 사기가 아닌 양자역학의 원리를 기반으로한 체계를 가진 컴퓨터입니다.양자 컴퓨터는 기존 컴퓨터를 초월하는 연산 속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양자 컴퓨터는 양자 중첩의 원리를 기반으로 큐빗(qubit) 체계를 사용합니다. 기존 컴퓨터는 bit 이진법 체계를 사용하죠. 기존 비트 체계로 2자리를 표현하는 방법은 00, 01, 10, 11 로 0, 1, 2, 3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큐빗은 2자리를 동시에 중첩으로 표현하기 때문에 a l00>+b l01>+c l10>+d l11> 한번에 표현합니다. a, b, c, d는 lal^2+lbl^2+lcl^2+ldl^2=1이라는 관계가 있습니다. 또한 자릿수가 높아지면 높아질수록 비트체계보다 큐빗의 체계가 더욱 빠른 연산이 가능하죠. 왜냐하면 비트 체계가 각각을 하나하나 표현하여 연산할 때, 큐빗 체계는 한번에 연산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양자 컴퓨터는 기존 컴퓨터를 초월하는 연산 속도를 가지고 있는것입니다.이러한 특징 때문에 양자컴퓨터의 장점은 암호해독에 아주 능하다는 것이죠. 그런데 코인과 같은 암호화폐는 기존 컴퓨터로 풀기 어렵게 되어있습니다. 하지만 양자컴퓨터가 등장하면 암호해독이 쉽게 가능하기 때문에 그런 이야기 나오는것입니다.하지만 우리 실생활에 들어온다고해서 크게 달라질건 없습니다. 왜냐하면 우리 생활 속의 대부분의 연산은 양자 컴퓨터나 기존 컴퓨터에게 있어 간단한 문제며, 두 컴퓨터 모두 빠르게 연산이 가능하기 때문이죠. 그래도 연구원들에게는 복잡하거나 오래걸리는 계산을 해결하는데 있어 굉장히 큰 도움이 될것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18
0
0
원래 태풍이 가을철에 많이 발생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풍의 강도는 수증기량과 저기압 시스템의 발달과 관련이 있습니다. 여름이나 가을에 강한 태풍이 올 수 있으며, 태풍이 만들어질 때의 환경이 수증기량이 많고 강한 저기압을 만들게 될때 강한태풍이 됩니다. 그런데 9월 경에는 해수의 온도가 가장 높은 시기이고 이로인해 물의 증발량이 올라가기 때문에 수증기량이 많아져 강한 태풍이 만들어 지는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8
0
0
442
443
444
445
446
447
448
449
4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