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버스가 달릴때 버스안의 앞공기가 버스안의 뒤로 가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버스가 정지상태에서 출발하게 되면 몸이 뒤로 쏠리듯이 버스 안에 있는 공기도 관성에 의해 뒤로 쏠리게 됩니다. 그리고 버스가 일정한 속력으로 달리게 되면 공기는 다시 균일하게 퍼지게 되죠. 또한 정지할 때에는 공기가 앞으로 쏠립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16
0
0
니트 종류에 왜 정전기가 많이 일어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정전기는 건조한 늦가을이나 겨울에 잘 발생됩니다. 게다가 니트나 스웨터는 나일론이 포함된 혼합섬유인데 이러한 섬유는 전자(-)를 잘 끌어당기는 성질을 가진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니트나 스웨터의 정전기가 다른옷에 비해 유독 심한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16
0
0
아이스크림 포장지 내 얼음이 생기는 것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포장을 뜯지 않아도 아이스크림이 조금이라도 녹았다가 다시 얼게되면 아이스크림 표면에 하얀 얼음 조각(성에)이 생길 수 있습니다. 꼭 외부의 공기와 통하지 않아도 생기는 것이죠.
학문 /
화학
22.09.16
0
0
끓는 냄비에 나무 젓가락을 놓으면 안 넘치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끓는 냄비 위에 나무젓가락을 올리면 열전도율이 낮은 나무젓가락 때문에 닿는 부분의 온도가 내려가면서 넘치지 않는것이죠. 하지만 열전도율이 좋은 쇠젓가락을 사용하면 금방 흘러 넘칠것입니다. 나무 숟가락을 사용하면 넘치지 않는 효과를 보실 수 있겠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물리
22.09.16
0
0
암은 어떻게 발병하는건가요? 생명학관련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술, 담배를 하지 않더라도 암에 걸릴 수 있습니다. 부엌에 가스레인지, 공기 중에 오염물질, 공장의 오염물질 등으로부터 암이 유발될 수도 있습니다. 암은 암세포가 우리 몸 내에서 증식하여 커지게 되면서 건강한 세포를 죽이는 것입니다. 그래서 위험한 것이죠.
학문 /
생물·생명
22.09.16
0
0
다이어트 시 운동을 아주 힘들게 하지 않아도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다이어트시 과한 운동을 하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대신에 적절한 강도의 운동을 꾸준히 지속적으로 해주며 식단조절도 병행해주시면 건강한 다이어트가 될것입니다.
학문 /
물리
22.09.16
0
0
플라스틱 제품 뜨거운물로씼었을때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플라스틱의 경우 55~70도 정도에서 상태가 변형될 수 있으며, 이로인해 환경호르몬,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배출될 수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2.09.16
0
0
연금술이 과학이 많은 영향을 끼쳤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연금술은 화학의 발전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화학에서는 분자간의 반응에 대해 다룹니다. 연금술에서는 전혀 다른 두 물질로 새로운 물질을 만들려고 했기 때문에 여러 경우의 실험이 있었죠. 그리고 이러한 과정은 목적은 다르지만 화학에서의 연구 과정과 동일하다 볼 수 있습니다. 두 물질(분자)간의 결합을 통해 반응을 관찰함으로써 새로운 사실을 얻어낼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공학
22.09.16
0
0
지구에서 우주를 보면 대기 때문에 파랗게만 보이는잖아요? 질문이 길어 본문에 남깁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하늘이 파란 이유는 대기(공기)에 의해 태양 빛이 산란되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산란은 공기 분자에 의해 빛의 경로가 바뀌는 현상입니다. 이때 짧은 파장 영역대의 빛인 파란, 남색 ,보라 빛이 산란이 잘되는데, 이러한 빛이 우리 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이유입니다. 파란색 영역대의 빛이 사방으로 튀다가 우리 눈으로 들어오기 때문이죠.우주에서 지구를 본다면 지구 내에서 나오는 빛에 대해 알아야합니다. 지구에서 우주로 방출되는 빛은 바다에서 반사되어 나오는 빛, 육지에서 반사되어 나오는 빛, 구름에서 반사되어 나오는 빛이 있습니다. 이때 지구의 지면에서 반사되어 우주로 나가는 빛 중 파란색 영역대의 빛은 대기중에서 산란과정을 거칩니다. 산란된 빛이 사방으로 튀다가 우주밖으로 나갈 수 있죠. 햇빛의 파란 빛이 공기중에서 산란되다가 우리눈에 들어온것과 같은 원리입니다.정리하면 지구에서 반사된 빛 중 파란색 빛은 공기중에서 산란되다가 우주로 나가고, 붉은색 파장 영역대의 빛은 투과하여 우주로 나갑니다. 그래서 우주에서 지구를 볼때 파랗게 보이는것이 아닌 있는 그대로의 색을 볼 수 있는것이죠. (구름이나 바다에서 나오는 빛 또한 같은 원리로 우주로 나갑니다.)우주에서 지구의 대기층을 볼 수 있는데, 대기층은 푸르게 보임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6
0
0
입술만 겨울이 되면 딱딱해지고 굳어지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입술에는 수많은 주름이 존재하고 주름에 의해 수분의 증발이 잘 일어나는 부위입니다. 겨울에는 건조한 환경 때문에 입술의 수분이 금방 증발해 뻣뻣해지거나 굳어지죠. 입술을 뜯으면 세균 감염이 생길 수 있고 피가날 수 있으니 뜯지 않는게 좋습니다. 입술을 뜯을 경우에는 우리 피부가 가진 재생력 때문에 세포가 다시 자라나는것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16
0
0
451
452
453
454
455
456
457
458
4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