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구름은 왜 떨어지지않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구름이 생기는 원리는 공기가 상승하는 기류를 만나 상승하면서 부피가 커지고 온도가 떨어집니다. 때문에 공기중 수증기가 물이되면서 구름이 형성됩니다. 이 때 구름은 증가된 부피로 밀도가 작고 상승 기류를 타고 있어서 떨어지지 않는것이죠.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5
0
0
하늘은 왜 파란색이고 구름은 왜 흰색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하늘이 파란 이유는 대기(공기)에 의해 태양 빛이 산란되기 때문입니다. 공기(기체)에 의해 태양 빛이 산란 될 때 짧은 파장 영역대의 빛인 파란, 남색 ,보라 빛이 산란이 잘되는데, 이렇게 짧은 파장의 빛이 하늘에서 산란 되다가 우리 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이유입니다. 구름은 수증기와 물 분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또한 작은 물분자부터 큰 물분자까지 다양한 크기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다양한 크기의 입자가 존재하면 특정 파장의 빛만 산란 되지 않고 모든 파장 영역대의 빛이 산란할 수 있습니다. 빨간색 빛, 노란색 빛, 초록색 빛, 파란색 빛 등 모든 빛이 구름내에 존재하는 물 분자로부터 산란이 가능하죠. 모든 색의 빛이 산란되고 빛의 합성으로 인해 하얀색 빛으로 우리눈에 들어오게 되어 구름이 하얗게 보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리겠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5
0
0
예상키가 유사과학 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예상키는 예상일 뿐이며 유전적인 요소와 외부 환경적인 요소에 의해 언제든 바뀔 수 있습니다. 예상은 예상일 뿐이며 과학적인것은 아닙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15
0
0
오늘 우연히 신문을 보다가 궁금한게 있어서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땅속에 많진 않지만 원유가 존재하면 산유국이 될 수 있습니다. 원유나 폐 비닐, 플라스틱을 통해 기름을 얻는 방법은 기름에 종류에 따라 끓는 점이 다른 특징을 이용하여 기름을 얻어낼 수 있습니다.휘발유는 30~150도 정도에서 기화가 일어나며 이 기체를 수집하여 액화함으로써 추출이 가능합니다.등유는 150~200도 정도, 경유는 230~350도 정도에서 추출이 가능합니다. 이처럼 다른 종류의 기름에 대해 끓는점을 찾아 추출이 가능합니다.원유를 가열함으로써 원유의 온도를 측정하고, 이 원유의 온도가 30~150일때는 휘발유가 기화되므로 휘발류가 추출되어 나오는 관을 열어 추출을 하죠. 이 때 경유나 등유의 관은 닫혀있습니다.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끓는점에 맞게 각각의 추출물이 연결된 관을 여는 식으로 추출을 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15
0
0
흑연이라는 물질은 인공적으로 만들어 낼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흑연(탄소)을 인공적으로 제조하여 그래핀이나 탄소 나노 튜브를 만들 수 있습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물질의 특성은 전기 전도성이 매우 높다는 것과 강도가 매우 높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을 가진 그래핀은 반도체나 태양 전지 등에 사용되고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15
0
0
KTX 및 지하철 열차에는 안전벨트가 왜 없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기차, 지하철, ktx는 출발이나 정지시 천천히 시간을 두고 속력을 변화시킵니다. 즉, 급발진 급정거의 위험이 없죠. 그리고 기차간 충돌이 없고, 외부의 거대한 물체와 충돌할 확률이 없기 때문에 안전벨트가 필요하지 않아 설치하지 않죠. 또한 전방에 물체가 놓이면 미리 보고를 받거나 멀리서 식별하여 천천히 제동을 걸기 때문에 안전벨트가 필요하지 않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09.15
0
0
활동전위 발생 시 빠르게 다시 분극 상태로 돌아가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전위가 빠르게 바뀌는 이유는 Na+의 유입과 배출 즉, 이동이 빠르기 때문입니다. 전위는 막을 기준으로 +, -가 나누어진 정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납니다. +, -가 나누어진 정도가 크면 전위가 높고, 거의 나누어지지 않았다면 전위가 0에 가깝게 되죠. 그런데 여기서 Na+가 이동하면서 전극이 +, - 나누어지는 정도가 확연해지는데, Na+의 유입과 배출의 속도에 따라 전위가 바뀌는 속도가 달라지는 것이죠.
학문 /
화학
22.09.15
0
0
오늘 가족들과 놀이공원에 놀러왔는데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바이킹이 제일 높은 지점에서 방향을 전환하는데 이 때 바이킹의 속력이 순간적으로 0이되며 아래로 낙하하기 시작합니다. 이 때 관성이 작용하는데, 사람은 바이킹이 높은 지점으로 올라감에 따라 계속 올라가려는 속력을 갖게 됩니다. 바이킹이 방향을 틀어 하강하려해도 우리 몸은 계속 공중으로 올라가려하죠. 그래서 바이킹이 고점을 찍고 내려갈 때 우리 몸은 계속 올라가려고해서 내부 장기가 전부 위로 올라가는 느낌을 받게 됩니다. 그리고 이 때에는 순간적으로 무중력 상태를 경험하게 되서 붕 뜬 기분도 들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5
0
0
일상 생활에서 불이 없다면 상상 할수도 없는데 불은 왜 뜨거울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불이 붙기위한 조건은 열(불)과 산소와 연료(종이, 나무 등)가 있어야 합니다. 이 때 연료에 따라 발화점(발화 온도)이 존재하는데, 대부분의 물체의 발화점은 100도 이상으로 사람의 피부가 견디기 어려운 온도입니다. 그래서 불은 온도가 높으며 뜨겁죠.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15
0
0
인공위성(로켓)은 3단으로 구성되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로켓이 지구를 떠나 우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중력에너지를 이겨낼 수 있는 추진력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추진력을 얻기위해서는 사용되는 연료의 양도 만만치 않죠. 그래서 많은 추진력을 얻고자 로켓의 부피에 50퍼 이상을 채워넣는데요. 만약 연료를 전부 사용하고 나면 로켓의 이동에 불필요한 부분이 많아지기 때문에 단계에 걸쳐 구성을 해놓은 것입니다. 로켓의 머리부분에는 인공위성, 탐사선과 같이 우주에 보낼 주요 목적이 포함되어 있고 나머지는 전부 추진력을 얻기 위한 연료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분리되어 떨어지는 로켓의 일부는 전부 안전한 지대에 떨어지게끔 계산을 해두며 수거를 해갑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09.15
0
0
460
461
462
463
464
465
466
467
4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