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레이저 온도계(측정기)의 원리는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레이저 온도계, 적외선 온도계라고도 불립니다. 자연에 존재하는 모든 물체는 온도를 가지고 있으며, 이 온도가 빛으로 방출이 됩니다. 온도에 따라 특정한 파장의 빛으로 방출이 되죠. 그래서 레이저 온도계를 통해 물체에서 나오는 빛의 파장을 감지하여 온도를 계산해 내는 것입니다. 레이저 온도계에서 나오는 빛은 물체를 잘 조준하기 위한 빛으로 온도 측정을 위한 빛이 아닌 온도 측정에 도움을 주는 빛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14
0
0
고향 촌집 지붕에 태양광 설치를 검토중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 에너지를 얻어 전기로 전환하는것은 태양광, 태양열 발전기의 제품 사양에 따라 미묘하게 다릅니다. 평균적인 값이라 질문자님 제품에 맞을진 모르겠지만 햇빛이 잘 비출 때 대략 시간당 3kW의 에너지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를 이용하여 계산하면 월 5만원 정도의 전기를 절약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설치 검토중인 제품이 전기에너지를 얼마나 얻는지 알려주신다면 조금 더 정확하게 계산이 가능할 듯 합니다.잘 고려해서 설치할지 결정하시면 좋겠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09.14
0
0
잡초만 죽일 수 있는 제초 방법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잡초를 제거하기위해 제초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제초제 없이도 볏짚이나 우드칩과 같은 식물성 재료를 작물 사이 또는 바닥에 깔아 잡초 발생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잡초 싹이 나오면 뿌리채 뽑아 잡초의 재발률을 줄일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14
0
0
책꽃이에 꽃아논 책 표지 색상이변경 됐어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색이 변하는 이유는 햇빛에는 가시광선, 자외선, 적외선이 포함되어있는데 자외선에 의해 주로 변색이 됩니다. 자외선은 에너지가 강해 색을 발하는 물질(분자, 원자)의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이로인해 물질의 상태가 변하며 발하는 색이 달라져 바래는 현상이 일어나느것이죠.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14
0
0
인공 위성은 지구 주위를 돌고 있습니다. 정지 위성은 어떻게 해서 그렇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정지위성은 우주에 정지상태로 있는것이 아닌 지구와 같은 자전 주기로 지구 주위를 공전하고있는 위성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지구에서 관측할 때에는 상대적인 각속도차가 없어서 정지해 있는거처럼 보이게 되는것이죠.그리고 위성은 꼭 지구 주위를 공전해야합니다. 그래야 공전 속도를 가지면서 지구의 중력에 이끌려 떨어지지 않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4
0
0
한국의 우주 개발은 어디까지 왔습니까? 세계 몇 번째 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우리나라의 우주 개발은 이제 첫걸음을 시작했다고 보아도 괜찮습니다. 시작이 성공적이고 좋기 때문에 앞으로도 더욱 성장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4
0
0
냉장고 내부의 상하 위치에 따라 냉장상태가 달라지기도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냉장고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냉동고가 아닌 냉장고의 윗부분이나 아랫부분에서 냉기가 방출되는데 이로인해 음식이 얼 수 있습니다. 그래서 냉장고 내에 보시면 냉기조절이 있을텐데 그 부분을 적절히 조절하여 냉장되는 부분이 얼지 않게 하는것이 좋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14
0
0
약지를 단독으로 움직이기 어려운 이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이는 근육과 신경이 약지와 새끼 손가락간 연결되어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주먹 쥔 상태에서 약지만 펴려고하면 새끼 손가락이 같이 올라가며, 반대로 새끼 손가락을 내리려하면 약지가 같이 내려가게 되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물리
22.09.14
0
0
전깃줄에 사람이 손으로 매달려도 감전이 안될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전선이 튼튼하고 높게 위치하고 있다면 매달려도 감전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이는 새가 감전되지 않는 이유와 같은 이유입니다.새가 감전되지 않는 이유는 새가 전선에 착지하게 되면 전선과 병렬로 연결된 셈이기 때문입니다. 병렬로 연결 된 회로에서는 한쪽 저항이 크게되면 저항이 작은 쪽으로 전류가 흐릅니다. 새의 몸은 하나의 저항체로 저항이 매우 큰 전선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새와 병렬로 연결된 전선은 저항이 매우 작은 전선이기 때문에 병렬연결된 상태에서 저항이 작은 전선 쪽으로 전류가 흐르고 새쪽으로는 전류가 흐르지 않습니다. 이러한 현상 때문에 사람도 매달려 있으면 감전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14
0
0
노이즈캔슬링 기술은 어떤 원리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파동에 간섭에 대해 이해를 하시면 좋을거 같습니다.파동이란 에너지의 흐름이고, 특정한 주파수나 파장을 가지고 있습니다. 흔히 기타줄을 튕기는것도 파동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고, 빛이나 소리도 파동입니다.우리는 어릴적 줄넘기를 가지고 막 흔들면서 웨이브를 준적이 있을겁니다. 그런데 이 웨이브를 만약 반대편에서 같은 흔들림을 주면 더욱 증폭됩니다. 하지만 반대편에서 반대의 흔들림을 주면 웨이브는 상쇄되고 말것입니다. 이렇게 증폭되고 상쇄되는것을 두 파동의 간섭 현상이라고 합니다.그러면 본론으로 돌아와 노이즈 캔슬링 기술은 파동의 간섭 중 상쇄를 이용한 것입니다. 소리는 공기를 진동시키는 파동이고 외부의 소음은 전부 파동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 파동을 이어폰이 감지하여 반대로 진동을 시켜 상쇄시켜주는것입니다. 이러한 원리가 적용된 이어폰이 노이즈 캔슬링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14
0
0
469
470
471
472
473
474
475
476
4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