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용존산소량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강에 화학폐기물이나 유기물을 버리는 행위는 불법적인 행위이고 분리하여 따로 처리해야합니다. 법률이 있기 때문에 강에 폐기물이 버려지는 일이 없죠.
학문 /
생물·생명
22.09.13
0
0
먹구름의 색이 어두운 색(회색빛)을 띄는 과학적인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먹구름은 비가 내릴 수 있는 구름이고, 일반구름과 달리 수증기, 물의 함량이 높고 물의 크기도 큰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빛이 이를 산란하지 못하고 흡수되어 어둡게 보이는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3
0
0
화성에서 인간이 생존할 수 있는가?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화성의 대기는 지구의 대기 기압, 대기 성분이 달라 현재로썬 살기 어렵다고 보시면 됩니다. 또한 화성에는 물이라는 자원이 풍부하지 않아 사람이나 식물이 살기에 좋은 환경이 아닙니다. 마션에서는 2H₂+O₂->2H₂O 를 이용하여 물을 만들어 냈습니다. 식물을 기르는 하우스에 산소를 가득 채우고 수소 연료를 가져와 수소를 공급하였습니다. 그리고 여기에 열에너지나 촉매를 가하면 물이 만들어 집니다. 마션에서는 수소를 많이 공급한 상태에서 불을 붙였기 때문에 폭발이 일어났었죠.Q. 최근에 뭐가 개발되서 화성에 물자가 많이 안가도 만들수있다고 하던데 그것도 뭔지알려주세요?이 부분은 자세히 모르겠네요... 조금 더 상세한 정보를 주시면 답변이 가능할 듯 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3
0
0
이차전지와 삼차전지 차이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2차 전지는 충전, 방전이 가능한 화학적인 전지를 의미합니다.3차 전지는 연료를 넣어 전기를 만들어내 충전, 방전이 가능한 전지를 의미합니다.3차 전지는 자동차, 비행기 등에 사용될 수 있으며 수소 연료를 기반으로 하여 친환경 적인 전지를 개발하고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주목받고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13
0
0
왜 모기나 벌래들은 불빛으로 모여드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주광성 벌레들이라고 하죠. 흔히 나방 같은 종류의 벌레들은 빛을 보면 마구 달려듭니다. 이들은 어두움 밤에 먹이를 찾거나 길을 찾을 때 빛을 이용하는데, 이 빛이 하나의 방향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3
0
0
생체시계라는게 뭔가요? 인간에게만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모든 동물은 체내 근육, 신경, 뇌 등이 활동함으로써 생체시계 역할을 합니다. 생체시계는 햇빛의 영향이 큰데, 햇빛이 있을 때에는 몸에서도 활동할 시기라고 판단을 하게되며 이에 맞는 호르몬이 분비됩니다. 또한 해가 저물고 저녁이 되면서 휴식할 시기라고 판단하여 그에 맞는 호르몬이 분비되죠.
학문 /
생물·생명
22.09.13
0
0
매직미러의 원리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취조실에서 나온 빛이 매직미러에서 일부 반사되고 일부는 통과하며 일부는 흡수됩니다. 취조실 밖에서는 취조실 내부에서 통과해 나온 빛을 보게 되는데, 이 때문에 내부 상황을 밖에서도 볼 수 있고 매직미러를 투명한 유리처럼 느낌니다. 반면에 취조실 내부에서는 매직미러에서 반사된 빛을 강하게 보는데 이 때문에 거울처럼 보이는 것이죠.
학문 /
전기·전자
22.09.13
0
0
인간은 꼬리와 날개가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날개뼈는 사람이 팔을 움직일 때 축을 잡아주고 힘을 지탱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꼬리뼈는 꼬리가 퇴화 되었다는 이야기도 있지만 사람이 서있거나 할 때 중심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는 연구결과도 존재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13
0
0
비건 가죽은 어떤 종류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비건가죽은 합성소재를 사용하여 만든 가죽도 있으며, 식물성 섬유를 이용하여 만든 가죽도 존재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13
0
0
추석날 보름달은 왜 평소보다 크게 보이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달의 크기가 차이나는 것은 달의 공전 궤도가 정확한 원이 아니고 타원 형이며, 지구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질때가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번 추석에 100년 만에 가장 둥근 보름달인 이유는, 태양-지구-달 순으로 놓이게 되면 보름달을 관측할 수 있는데 정확하게 태양-지구-달이 일직선상에 놓일 때 우리나라가 달과 가장 가까운 위치에 놓이게 되어 100년만에 가장 둥근 보름달을 관측할 수 있는것이죠. 보름달을 관측할 수 있을 때 항상 태양-지구-달 순으로 놓이지만 우리나라가 달과 가장 가까운 위치에 놓이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100년만에 가장 둥근 보름달을 맞이한 것입니다. 그리고 재미있는것은 거의 매해 추석이나 설날에 특별한 날임을 강조하기위해 몇 십년 만에 찾아온 날이다 라는 문구를 많이 사용합니다. 이렇게 매년 특별한 날이 될 수 있는것은 과학적인 해석이 다양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또한 달의 크기가 착시적으로 크게 보일 수도 있습니다.지구가 자전하고 달이 공전하며 달이 떠오르는 거처럼 보이는데, 이때 달과의 거리가 미묘하게 달라지기도 하지만 떠오를 때의 주변 건물, 산 등과 가까운 상태에 놓여 주변 환경에 의해 우리의 인지능력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마치 착시효과 같다고 생각하시면 되고, 인지의 문제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예시로 에빙하우스의 착시를 검색해보시면 쉽게 이해하실 수 있을것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3
0
0
469
470
471
472
473
474
475
476
4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