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너울현상은 왜 발생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파도는 조수간만의 차에 의해 발생합니다.조수간만의 차는 태양, 달의 만유인력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지구는 태양주위를 공전하고 달은 지구 주위를 공전합니다. 그리고 지구는 자전을 하고 있죠. 그래서 지구가 자전하면서 우리나라가 달과 가까워지거나 태양과 가까운 위치에 놓일때가 있습니다. 이때 만유인력이 작용해 해수면이 상승하고, 태양이나 달과 가장 멀어지는 시기에 해수면이 하강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조수간만의 차가 나타나죠. 바다와 호수에 작용하므로 물결이 이는걸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넓고 깊은 바다에 비해 호수는 좁고 얕으므로 파도가 크게 일렁이지 않습니다.또한, 파도는 바람에 영향도 받으며 바람이 불면서 물결이 일렁이며 파도가 될 수 있습니다. 만약 큰 태풍이나 바람이 분다면 호수에도 파도가 칠것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1
0
0
선풍기는 어떤원리로돌아가는지 궁금하네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선풍기는 전기 에너지를 이용해 모터를 회전시킵니다. 이 때 모터에는 코일(전선 다발)과 자석이 존재합니다. 자석에 의해 자기장이 형성되어있고 이 자기장 내에서 코일에 전류를 흘려보내주면 전자기력이 발생합니다. 자기장 내에서 흐르는 전류가 힘을 받게 되죠.[조금 더 이해를 돕기위해 설명드리자면 흐르는 전류는 자기장을 만듭니다. 즉, 흐르는 전류는 하나의 자석이 되는것이죠. 그러면 외부 자석과 이 전류가 흐름에 따라 만들어진 자석은 서로 밀어내거나 가까워지게 되죠. 자석끼리는 상호작용을 하기 때문이죠.]다시 돌아와 힘을 받은 코일은 돌아가기 시작합니다. 이게 모터가 되는것이죠. 전기에너지를 사용하여 동력에너지를 만들어낸것이죠. 그래서 이 모터에 톱니바퀴를 연결하여 선풍기가 돌아가면서 방향도 바꾸게끔 설계한 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11
0
0
햇빛을 받지않고 살 수 있는 식물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Q : 단순하게 생각해보면 식물은 햇빛을 보지않고 광합성을 하지 않으면 못 살거같은데 햇빛없이 살 수 있는 식물이 있나요?A : 모든 식물은 햇빛이 필요합니다. 이끼도 햇빛이 필요하죠.
학문 /
생물·생명
22.09.11
0
0
기존 앱서버는 클라이언트 방식이라고 합니다. 쉽게 설명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클라이언트 서버 방식은 중앙 서버가 존재하고 여기서 사용자의 아이디, 암호가 관리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유저가 이를 변경하거나 접근하기 위해서는 접근 허가가 필요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2.09.11
0
0
불빛을 오래 쳐다보고있을 때 잔상이 남는 이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잔상효과는 시각 세포 중 원추세포의 자극에의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강한 빛을 보거나 색깔이 있는 물체를 오래 볼때에 시각 세포들이 자극을 받게 됩니다. 이 때 원추세포가 자극을 받아 신경이 길게 남아 있기 때문에 눈을 감거나 다른곳을 보아도 잔상이 남아 있는것입니다. 물체에서 눈을 떼어도 우리 눈에 있는 원추세포가 뇌로 신호를 계속해서 보내고 있기 때문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11
0
0
알콜에 대해 궁금한점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먹는 술은 알코올, 에탄올의 농도를 낮게하고 기타 첨가물을 넣어 향을 나게합니다.공업용 알코올, 에탄올은 농도가 95퍼이상으로 매우 높게 사용하며, 메탄올을 사용하기도합니다. 메탄올의 경우 섭취가 불가하며 인체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화학물질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11
0
0
냄비에 세제를 좀 탄 물을 담아놨는데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거품은 세제가 기포를 감싸면서 발생한 것입니다. 이 거품은 시간이 지나면 사라지죠. 왜냐하면 중력에 의한 영향이 있기 때문입니다. 거품이 위로 봉긋하게 형성되어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기포를 감싼 세제가 중력에의해 서서히 밑으로 내려옵니다. 그렇게 되면 윗부분의 거품 두께가 얇아져 터지게 되죠. 그래서 시간이 지나면 거품은 사라지고 세제섞인 물만 남게 되는것입니다.과일 세척이나 옷 세탁시 세척 세제가 제대로 사라지게끔 확실히 헹구시는게 좋습니다. 세제는 눈으로 분간하기 힘들어 언제든 옷이나 과일에 들러붙어 있을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11
0
0
지구온난화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온난화의 원인은 지구 대기중에 존재하는 이산화탄소, 메탄 등의 온실기체의 증가로 인해 지열을 우주로 방출하지못하고 지구의 온도가 계속해서 올라가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온실 기체는 자동차, 화석 연료 사용, 에어컨, 생물의 부패, 공장 등에서 발생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미 방출 된 온실 가스는 지구 전체의 대기중에 분포하기 때문에 우리가 다시 회수하기는 어렵습니다. 또한, 현재 온난화가 많이 진행된 상황이구요. 이러한 이유로 해결하기가 어렵죠. 그래서 온난화를 막고자 친환경 에너지, 수소 자동차, 전기 자동차, 일회용품 사용 최소화, 텀블러 사용, 플라스틱 사용 최소화 등 여러 방면으로 노력중에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1
0
0
토네이도가 생기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토네이도는 기체나 유체의 흐름 중 난류에 의해 생길 수 있습니다. 보통 우리 주변에서도 난류가 흔히 발생하지만 상승기류와 강한 바람을 만나지 않는 이상 토네이도가 쉽게 생기지 않습니다. 미국에서는 강한 바람이 부는 상황에서 난류가 발생해 상승기류를 거대한 토네이도가 자주 생기죠. 우리나라는 상승기류는 있지만 바람이 강하지 않아 토네이도가 거의 발생 안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또한, 지형적인 이유도 있습니다. 산이 많아 토네이도가 유지되기에 적합한 환경이 아닙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1
0
0
에너지는 낭비될 수 있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에너지가 낭비된다는것은 전기, 화학, 풍력, 석유 등의 에너지를 사용할 경우 대부분이 열 에너지로 전환되기 때문입니다. 열 에너지는 우리가 다루기 어려운 에너지이며, 에너지 사용으로부터 방출된 열 에너지를 활용하여 새로운 에너지로 변환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이 경우에도 여전히 에너지가 보존되는것은 맞습니다. 식으로 나타내면 활용할수 있는 에너지(전기, 화학, 석유, ...)=열 에너지+일(우리의 목적에 부합한 용도로 사용)입니다. 여기서 발생한 열 에너지는 에너지 활용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으며 반드시 나타나는 에너지의 형태입니다.예시로, 전기에너지를 사용하여 선풍기를 돌린다고 할 때 선풍기 본체가 뜨거워지는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열 에너지로 일부가 소모되고 있기 때문이죠.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11
0
0
478
479
480
481
482
483
484
485
4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