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새가 후진으로 날지 못하는 원인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새가 후진하지 못하는 이유는 날개의 모양이 직진할 때 양력을 받게끔 생겼기 때문입니다. 즉, 후진할 경우 양력을 받지 못하여 날지 못하죠. 또한, 깃털의 결의 방향도 직질할 때 저항을 적게 받으며, 후진시 저항을 크게 받을 수 있습니다.새가나는 원리는 비행기가 양력을 이용해 날아가는 원리와 비슷하지만, 추진력을 얻는데 있어 작용-반작용을 사용합니다.비행을 하는데 크게 두 가지 원리가 있습니다. 첫째, 양력을 얻는 원리가 있으며 둘째론 작용-반작용이 있습니다.양력을 얻는 원리는 압력차에 의한 힘에 의한 것입니다. 이는 비행체가 추진력(속력)을 얻고 난 뒤부터 지속적으로 하늘에 떠있을 수 있는 원리입니다. 비행체의 날개에서 주로 얻게되는데, 날개의 윗부분은 곡면으로, 아랫부분은 평평한 면으로 하여 윗부분에서 공기의 흐름, 유속을 빠르게 해줌으로써 압력을 낮추는 것입니다. 그러면 날개의 아랫부분에서 윗부분으로 힘을 받게되어 뜰 수 있습니다. 비행기나 새의 날개의 경우 양력을 얻기에 적합한 구조로 되어있습니다. 날개의 윗부분은 곡면, 아랫부분은 평평합니다.작용-반작용은 새의 날개짓을 통해 공기를 지면으로 밀어내는 힘(작용-반작용)으로 새가 뜰 수 있는 추진력을 얻는 것을 의미합니다. 비행하기 위해 초반에 강한 날개짓을 통해 공기를 지면으로 수직하게 튕겨내면서 새의 몸체가 위로 뜰 수 있는 것이죠. 그리고 날개짓으로 추진력을 얻고 양력을 통해 비행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죠.
학문 /
생물·생명
23.07.25
0
0
지렁이는 왜 아스팔트 위로 올라오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렁이는 보통 흙, 토양 밑에서 양분을 먹으며 살아갑니다. 그런데 비가오게되면 흙과 토양이 젖게 되어 지렁이가 숨을 쉬지 못하게 되죠. 그래서 지렁이는 비가 오거나 습함을 감지하면 땅 밖으로 나오는 것이죠. 이는 지렁이가 살기위해 나오는 것이며, 다시 나온 지렁이가 땅에 들어가지 못하여 말라죽은 것입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7.25
0
0
극저온(절대영도)을 만드는 방식이나 기술은 어떤 원리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먼저, 온도의 정의를 말씀드리겠습니다. 물리적으로 온도라는 것은 입자, 분자의 평균 운동에너지(운동의 활발성)입니다. 온도가 낮다는 것은 입자, 분자의 운동에너지가 적어 거의 정지상태임을 의미합니다.사실 -273도까지 극저온을 만들기는 굉장히 어려운 일입니다. 분자보다 작은 원자 그리고 원자내 입자도 컨트롤해야 가능합니다. 모든 입자의 움직임을 멈춰야하죠. 현재 우리의 기술력으로는 원자 단위를 잘 조절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그래서 -273도를 만들기는 거의 불가능합니다. 하지만, 어떤 계(system)에 존재하는 입자나 원자수를 적게하고, 이 입자나 원자의 운동을 최대한 멈추게 함으로써 극저온에 도달할 수 있는 것입니다. 물론 이 또한 간단한 일은 아니며 빛 에너지를 통해 원자의 운동을 멈추게 하거나 하는 방법을 사용하죠.
학문 /
전기·전자
23.07.24
0
0
30g짜리 철제부속이 50미터 위에서 떨어졌을 때 충격량은?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0.03kg짜리가 50m위에서 추락한다면 공기저항을 무시했을 때 지상 지점에서의 속력은 31m/s정도 됩니다. 이 때 가지고 있는 운동량이 0.93 kg m/s 이고, 이 물체가 부딪혀서 멈추거나 튕겨져 나온다면 적어도 충격량은 0.93N*s가 됩니다. 충격이 가해지는 시간이 아주 짧은 순간인 0.001초만에 일어나는 일이라면 충격력은 930N이 됩니다. 이는 90kg짜리를 들어올리는 힘이나 다름없죠.
학문 /
물리
23.07.24
0
0
무지개 색깔이 왜 7가지 색깔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다른색도 볼 수 있습니다.무지개는 물방울에 통과된 태양빛이 굴절하면서 파장별로 색깔이 분해되어 우리눈으로 들어오면서 생기는 현상입니다. 이때 물방울을 통과한 빛이 파장별로 색깔이 분해되는데, 빨주노초파남보 뿐만아니라 빨간색과 주황색 사이의 색도 포함 될뿐더러 문자로 표현할 수 없는 연속적인 가시광선 영역의 색상이 전부 포함되어있습니다. 우리가 빨주노초파남보라 7개로 나눈 이유는 편의상 나눈것입니다. 무지개에 딱 7개의 색만 있는것은 아닙니다. 다른색도 빨주노초파남보와 같은 세기로 보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24
0
0
오로라 현상은 어떤 원리로 발생하는 현상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오로라는 우주에서 날아오는 우주선(하전입자)이 대기의 기체와 부딪혀 생겨나는 현상입니다.하전입자는 전하를 띠는 입자들을 의미합니다. 보통 우주선이라고도 합니다. 우주에서 날아오는 입자인 우주선이 행성으로 들어오는데 이때 전하를 띠고 있으면 행성 자기장에 의해 나선 운동을 합니다. 우주선은 나선 운동을 하며 극지방으로 이동합니다. 그리고 자기장이 강한 고위도에서 나선 운동이 강하게 일어나죠. 나선운동을 하며 대기에 있는 기체와 부딪히며 빛을 발하는데 이를 오로라라고 부르죠.빛이 나는 원리는 기체 분자에 존재하는 전자의 에너지 상태가 외부 우주선과의 충돌로 높은 에너지 상태가 됩니다. 그리고 다시 안정적인 상태로 돌아가려고 낮은 에너지 상태로 돌아가는데 이때 손실 되는 에너지가 빛으로 방출 되어 우리 눈에 들어오게 되는것이죠. 기체의 종류와 에너지의 차이에 따라 다른 파장의 빛을 방출하므로, 빛의 색도 달라지며 오로라의 색을 결정하는 요소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24
0
0
금성의 자전 방향이 다른 행성과 다른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이는 초기 우주에서 태양의 생성 과정, 태양계의 생성과정을 조금 이해하시면 해결됩니다.초기 우주에 가스와 먼지, 입자들이 운동을 하고 있었을 것이며, 중력에 의해 집단을 형성해가며 은하계, 태양계, 태양과 같은 별이나 행성이 만들어졌습니다. 이 과정에서 질량을 가진 두 물체에 대해 운동을 하고 있을 경우 원, 타원 궤도 운동이 가능합니다. 물론 쌍곡선 포물선과 같은 운동도 가능합니다. 여기서는 은하계의 형성과정에 초점을 두며 은하 중심의 거대한 중력을 가진 블랙홀, 거대한 별을 중심으로 은하계의 행성, 별, 위성, 물질들이 궤도 운동을 하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 때 궤도 운동을 시작할 당시 가스, 먼지의 각운동량(회전)이 정해졌을 것입니다. 각운동량은 천체 운동에서 보존되는 물리량 중 하나입니다. 이 각운동량(회전)의 방향이 반시계 방향이었다면 대부분의 은하계 내 물질들이 반시계방향으로 공전과 자전을 하는것이죠. 만약 초기의 각운동량이 모든 물질이 제각각이었다면 시계방향,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행성이 여럿 있었을 것이며, 초기 각운동량의 방향이 시계방향이었다면 대부분의 행성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었을 것입니다. 이처럼 금성의 경우는 초기에 형성될 때 지구나 다른 행성과는 반대로 회전하는 질량체에 우주의 가스나 먼지가 달라붙어 형성되었기 때문에 자전 방향이 다른 것이라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24
0
0
전자파 많이 노출되면 딸 놓는다는 얘기가 맞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유언비어입니다. 전자파에 노출된다고해서 아이의 성을 판별하는 염색체가 달라지거나 하진 않습니다. 전자파는 성이 판별되기 보다는 오히려 악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7.24
0
0
절대영도 273도와 영상 273도의 물을 같은 질량으로 섞으면 순식간에 0도가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만약, -273도물과 +273도의 물이 같은 양이 만난다면 처음에는 급격한 온도를 보여주다가 서서히 0도에 가까워질 것입니다.영하 273도가 되면 보통 얼음이 됩니다. 하지만, 또한, 물은 100도가 넘으면 끓어 기체가 되지만 고압 액체의 경우 100도 이상이 되어도 기체가 되지않을 수 있죠.이 두 물질의 질량이 같을 경우 영하 273도의 얼음과 영상 273도의 물이 만나면 서서히 열 평형을 이룹니다. 이 때 얼음의 경우 비열이 0.5kcal/kg℃ 이며, 물의 경우 비열이 1kcal/kg℃입니다. 즉, 같은 질량이라 하더라도 비열이 다르기 때문에 열 평형점이 달라지죠. 물과 얼음의 경우 0도보다 큰 지점에서 평형을 이룰 수 있습니다. 또한, 얼음의 경우 녹으면서 잠열을 흡수하여 상태가 변화하기 때문에 이도 고려해주어야합니다.
학문 /
화학
23.07.24
0
0
지구과학 용어 중에 겉보기등급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별에는 절대등급과 겉보기 등급이 있습니다. 절대등급은 별의 실제 밝기이며, 겉보기 등급은 지구에서 볼 때 밝기 등급입니다. 만약 지구에서 별을 보았는데, 실제보다 밝다면 가까이 있는것이고, 실제보다 어둡다면 멀리 있는 것입니다. 그리고, 별의 절대등급은 관측을 통해 알 수 있으며, 겉보기 등급 또한 관측을 통해 알아낼 수 있습니다. 빛의 밝기가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여 줄어드는 원리를 이용하면 별까지 거리를 찾아낼 수도 있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24
0
0
46
47
48
49
50
51
52
53
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