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지구가 스스로 회전하는 원리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천체 운동에는 보존되는 물리량이 존재합니다. 에너지가 보존되며, 각운동량(회전)이 보존됩니다. 지구의 자전은 각운동량이 보존되는 경우로 지구의 질량중심축을 기준으로 초기에 생긴 회전 에너지로인해 계속해서 자전할 수 있는것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0
0
0
현재 지구의 산소 농도는 얼마인가요? 산소 농도가 높아지면 인간의 수명도 늘어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산소 농도가 높다고 단점이 있는것은 아닙니다. 자연에 주어진 환경이 그러한것이며 우리는 이미 만들어진 자연에 적응하여 살아가고 있는것입니다. 물론 산소가 존재하지 않는 환경이었다면 우리도 없었을 것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0
0
0
수소차보다 전기차 수요가 더높은 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전기차의 공급이 훨씬 많으며 수요도 훨씬 많습니다. 아직 수소차는 자동차 시장에서 많이 등장하지 않습니다.
학문 /
화학
22.09.10
0
0
전기차 배터리 추후 자원 고갈?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자원은 고갈시점이 반드시 존재합니다. 왜냐하면 자원의 양이 제한 되어있기 때문이죠. 그래서 우리는 최대한 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감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합니다.
학문 /
화학
22.09.10
0
0
번개 치는거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천둥 번개는 두꺼운 구름이 형성 됐을 때 그 안에 분포하는 물과 수증기의 음전하가 강해지면서 치게됩니다. 음전하가 강해지면 구름과 지면 사이에 전위차(전압)가 생기는데요. 이 전위차는 마치 거대한 전극 역할을 하며 전류의 흐름을 만들 수 있습니다. 강한 전위차로인해 전자가 지면을 향해 이동을 하려고 하는데, 이 때 전자는 공기를 타고 이동을 하면서 방전이 일어납니다. 이 방전이 천둥, 번개가 되는것이죠. 전자가 공기중을 이동할 때 공기에 존재하는 원자들을 타고 이동합니다. 전자가 이동하며 원자와 충돌을 하게 되는데, 이 때 원자 내부에 존재하는 전자들의 에너지 상태가 순간적으로 높아지게되고 다시 에너지가 낮은 안정적인 상태로 되돌아가면서 빛을 발하게 되는것이죠. 그래서 번개가 칠 때 빛으로 볼 수 있는것입니다. 그리고 이 번개의 경로가 전자가 이동한 경로가 되는것이구요.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10
0
0
물 수제비는 어떤 원리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물에는 표면장력이라는 물 분자간 서로 끌어당기는 힘이 존재합니다. 전기력을 기반으로 한 힘이죠. 컵에 물을 가득 따르고 난 뒤 조금 씩 물을 따라도 물이 바로 쏟아지지 않는 이유입니다. 이런 표면장력에 의해 물수제비가 가능한것입니다. 비스듬히 날아가는 돌멩이 입장에서 물표면이 마치 땅바닥처럼 결합력 있기 때문에 돌멩이가 물표면에 부딪혀 다시 튀어오를 수 있는 이유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물리
22.09.10
0
0
곰팡이가 발생하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곰팡이는 포자를 퍼뜨려 번식을 합니다. 그래서 번식이 빠릅니다. 또한 곰팡이는 습한 환경에서 번식이 활발해집니다. 곰팡이가 포자를 퍼뜨리면 주변에 안착되어 곰팡이가 자라나고 또 자라난 곰팡이가 각각 포자를 퍼뜨리기 때문에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납니다. 그리고 포자는 공기를 타고 이동이 가능하여 먼 거리까지도 이동할수도있습니다. 포자가 공기를 타고 벽이나 바닥에 안착하여 곰팡이로 자라나기 시작하는 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10
0
0
전투기의 비행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비행을 하는데 크게 두 가지 원리가 있습니다. 첫째, 양력을 얻는 원리가 있으며 둘째론 작용-반작용이 있습니다.양력을 얻는 원리는 압력차에 의한 힘에 의한 것입니다. 비행체의 날개에서 주로 얻게되는데, 날개의 윗부분은 곡면으로, 아랫부분은 평평한 면으로 하여 윗부분에서 공기의 흐름, 유속을 빠르게 해줌으로써 압력을 낮추는 것입니다. 그러면 날개의 아랫부분에서 윗부분으로 힘을 받게되어 뜰 수 있습니다. 예시로 우리가 흔히 타는 비행기가 있습니다.작용-반작용은 프로펠러에서 공기들을 지면으로 밀어내는 힘으로 비행체가 뜨는것을 의미합니다. 프로펠러를 회전시켜 공기를 지면으로 수직하게 튕겨내면서 비행체가 뜨는것이죠. 예시로 드론이나 헬리콥터가 있습니다.스텔스기는 눈으로는 관측이 되지만, 레이더 망에는 포착이 되지않습니다. 보통 비행기의 위치를 파악할 때 레이더를 사용하며, 이는 비행체에 전파를 보내 반사되어나오는 전파를 다시 받는 식으로 감지를 합니다. 그런데 비행체가 없다면 당연히 전파는 반사되지않고 되돌아오지도 않지요. 스텔스기는 이 원리를 역이용하여 스텔스기로 들어오는 전파를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여 전파망에 포착되지 않게합니다. 그래서 레이더망에 포착되지않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10
0
0
핸드폰 터치는 어떻게 동작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보통 스마트폰 터치는 정전기를 이용한 원리입니다. 터치 스크린 내부에는 정전용량이 변화하는 감지 센서가 달려있습니다. 그리고 사람의 몸에는 미미하지만 전자가 존재합니다. 그래서 손가락으로 터치를 하면 전자가 이동해 정전용량에 변화를 줍니다. 스마트폰에서는 이러한 반응을 인지하여 작동을 하는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10
0
0
현재까지 발달된 과학기술로 외계인의 존재나 흔적을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아직 미지인 영역이라 정확하게 과학적인 증거를 대며 답변이 어렵습니다. 우리는 아직 태양계도 제대로 파악한적이 없고 외부 은하나 외부 행성에 대해 망원경으로 관측한 사실만 있을뿐 행성 내부에 어떤 원소나 존재가 있는지는 무지합니다. 그래서 외계생명체로 발견된 흔적은 아직 없죠. 혹시나 이 드넓은 우주에 생명체가 존재하고 우리가 닿을 수 있는 거리에 있다면 가까운 미래에 발견할 확률도 존재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0
0
0
487
488
489
490
491
492
493
494
4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