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바다물의 밀물과 썰물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밀물과 썰물은 태양, 달의 만유인력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질량을 가진 두 물체는 서로 끌어당기는데 이 힘이 만유인력이죠. 달과 태양은 거대한 질량체이기 때문에 만유인력을 행사합니다.지구는 태양주위를 공전하고 달은 지구 주위를 공전합니다. 그리고 지구는 자전을 하고 있죠. 그래서 지구가 자전하면서 우리나라가 달과 가까워지거나 태양과 가까운 위치에 놓일때가 있습니다. 이때 만유인력이 작용해 해수면이 상승하고, 태양이나 달과 가장 멀어지는 시기에 해수면이 하강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조수간만의 차가 나타나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8
0
0
2개 국어를 하는 사람은 꿈을 어떻게 꾸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주변에 2개국어를 하는 친구가 있는데, 영어를 말하는 꿈을 꾸기도 한답니다. 또한 한국말을 하는 꿈을 꿀때도 있고요. 따로 과학적인 이유보다는 머릿속으로 생각할때 영어로 하거나 한국어로 하는거처럼, 꿈에서도 영어를 사용할때도 있고, 한국어를 사용할 때도 있는것 같네요.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8
0
0
별의 각도를 이등분하는 선이 태양을 지나지 않을 수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지구의 공전 궤도는 정확한 원 궤도가 아닌 타원 궤도이며 대부분의 행성들은 별을 중심으로 타원 궤도로 공전하죠. 특별히 쌍곡선, 포물선으로 이동하는 천체도 존재하며, 혜성이 대부분 포물선 운동을 합니다. 원의 경우도 천체의 공전 궤도에 있어 특별한 경우입니다. 그래서 타원 궤도에서 6개월 기준으로 별의 각을 재고 이등분을 한다면 중심에 태양이 있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타원의 장축선상이 아닌 단축선상을 기준으로 잰다면 별의 각 이등분선에 태양이 놓일 수 있죠. 그리고 천체의 계산은 근사적인 계산이 많기 때문에 어느정도 허용하고 계산하기도 한답니다.이해가 가셨다면 추천 꾸욱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8
0
0
삼투압으로 쭈글거리는 손, 발 빠르게 원복하는 방법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손이 쭈글해지는 이유는 삼투압 때문이라는 말도 있지만, 자율신경계의 반응에 의해 물이 닿으면서 혈관이 수축해 쭈글해진다는 연구결과도있습니다. 이때 연구자는 손이 마비된 사람의 손이 물에 한참 있어도 쭈글해지지 않는것을 보고 연구를 하여 얻어낸 결과입니다. 삼투압에 의해서라면 마비되든 되지않았든 삼투압에 의해 쭈글해져야 하지만 결과는 그렇지 않았습니다.인위적으로 빠르게 원상복귀 시키는 방법은 잘 모르겠습니다.
학문 /
물리
22.09.08
0
0
인간의 장기 중 간을 이식 가능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간을 구성하는 세포는 안정 세포로 외부 자극, 상처에 대해 재생하는 능력이 뛰어납니다. 그래서 수술을 하는 절개에 대해 반응하여 간이 다시 자라나며 재생하기 때문이죠.
학문 /
생물·생명
22.09.08
0
0
고무에 전기가 통하지 않는 과학적인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전류가 잘 흐르기 위해서는 저항이 작아야하고, 물질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자유전자가 많이 존재해야합니다. 금속류의 경우 대부분 전류가 잘 통하는데, 이유는 저항이 작고 자유전자가 많기 때문입니다.그런데, 고무는 저항이 매우 클 뿐더러 자유전자가 거의 없습니다. 그래서 고무는 전류가 잘 흐르지 않는 절연물질로 나뉘죠.
학문 /
전기·전자
22.09.08
0
0
휴대폰 배터리 수명이 줄어드는 원리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베터리를 충전하고 방전하는 과정을 반복하고 베터리를 사용한 시간이 지나게 되면 베터리 구매 초기의 충전량보다 줄어들게됩니다. 즉, 더 이상 완충이 아닌게되죠. 또한 베터리를 사용하다보면 노후되어 베터리 내부적으로 화학반응이 느려집니다. 그래서 시간이 지나면서 베터리의 효율을 완전히 못내게 되죠. 85퍼정도 충전하여 방전될때까지 사용하면서 충전 방전을 원활하게 하는데, 이렇게하면 베터리의 수명을 늘리는데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학문 /
화학
22.09.08
0
0
빙하기와 간빙기가 있는데 지금은 어느 시기라고 보는게 맞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현재는 간빙기가 1만 2000년 정도 지속되는 상황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빙하기는 현재의 평균 기온보다 4~6도 낮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8
0
0
전깃줄에 새가 앉아있어도 감전되지 않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새가 감전되지 않는 이유는 새가 전선에 착지하게 되면 전선과 병렬로 연결된 셈이기 때문입니다. 병렬로 연결 된 회로에서는 한쪽 저항이 크게되면 저항이 작은 쪽으로 전류가 흐릅니다. 새의 몸은 하나의 저항체로 저항이 매우 큰 전선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새와 병렬로 연결된 전선은 저항이 매우 작은 전선이기 때문에 병렬연결된 상태에서 저항이 작은 전선 쪽으로 전류가 흐르고 새쪽으로는 전류가 흐르지 않습니다. 그래서 새가 감전되지않고 전선에 착지할 수 있는 이유죠.
학문 /
전기·전자
22.09.08
0
0
구름을 모아 물로 바꿀수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재밌는 질문입니다. 구름은 마치 솜사탕 처럼 부피는 크지만 아주 가볍고 대부분이 비어있습니다. 하지만 구름은 수증기나 물로 이루어져 있죠. 구름은 밀도가 대략 1kg/m^3 입니다. 1m, 1m, 1m의 정육면체에 1kg의 수증기가 들어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런데 물의 밀도는 대략 1000kg/m^3 입니다. 1m, 1m, 1m의 정육면체에 1000kg이 들어가죠. 즉 같은 부피속에 구름은 물의 1/1000만큼 존재합니다. 그래서 구름을 가로, 세로, 높이부분을 각각 10m씩 압축하면 부피를 1000배 압축한셈이 되는데, 그래야 물이 될 수 있습니다. 정리하면 구름의 부피를 1000배 압축, 즉 부피를 1/1000만큼으로 만들면 물을 얻을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8
0
0
496
497
498
499
500
501
502
503
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