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브레인 이니셔티브 프로젝트는 어떤 과학기술로 수행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뇌파를 감지하는 기술을 이용해 뇌 지도를 그리려고하는 원리입니다. 우리가 어떤 행동이나 사고를 할때 뇌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감지하고 이를 지도로 옮겨 그리려고하는것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06
0
0
실험용 쥐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쥐는 사람과 유전자가 80퍼 이상 동일한 것으로 밝혀졌으며 19퍼 정도는 비슷한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인간과 가장 유사한 유전자를 갖는 동물은 고릴라로 97퍼 정도 동일합니다. 그런데 왜 고릴라를 사용하지 않고 쥐를 쓰는 이유는 번식력이 좋고 다루기가 쉽기 때문입니다. 쥐는 번식을 빠르게 하고 질병을 빠르게 전파하기 때문에 여러가지 약물에 대한 결과를 빠르게 파악하기 쉽습니다. 쥐는 임신기간이 3주이며 5~15정도의 새끼를 낳을 수 있습니다. 또한 쥐에게 투여한 병과 약물로부터 나타나는 효과가 사람에게도 비슷하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죠. 그래서 쥐를 쓰는 이유입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06
0
0
쥬라기 시대 공룡이 모기에 미량 혈흔에 DNA로 유전자 재조합기술로 만들어질 기술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혈흔만으로 공룡을 탄생시킨다는것은 현재의 과학 기술에 근거해 공상과학이며 영화라 가능한 일입니다. 현재 혈흔 속 DNA 정보만 인체의 특징과 얼굴의 형상 등 여러 정보를 찾아내는 연구결과는 아직 없습니다. DNA가 다양한 유전 정보를 담고있긴 하지만 현재의 과학으로 DNA를 보고 뚜렷하게 파악할 수 있진 않죠. 그래서 모기에 남은 혈흔만으로 공룡을 만들어내는것은 공상과학적인 이야기입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06
0
0
온실가스 포집기술의 현주소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실현 가능성을 넘어 실현 중에 있습니다. 이산화탄소, 메탄 등 탄소 포집을 목적으로 둔 공장을 가동하여 대기에 있는 탄소를 포집하고 있죠.
학문 /
화학
22.09.06
0
0
지구가 온난화 이슈가 큰데, 지구공학의 대표적 예를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공학에 아주 다양한 예시들이 있는데 몇가지 예시를 소개드리면 인공강우, 탄소 포집, 인공 화산재, 우주 거울 설치 등이 있습니다. 인공강우는 말그대로 인공적으로 비가 오개 만드는것이며, 탄소 포집은 공장을 설비하여 대기의 이산화탄소를 포집하는것을 의미합니다. 인공 화산재는 대류권 위인 성층권에 인공 화산재를 뿌려 햇빛을 차단하여 지구를 식히고자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우주 거울 설치 역시 인공 화산재와 비슷한 목적으로 우주에 거대한 거울을 설치하여 태양 빛을 가려 지구의 온도를 낮추려는 생각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6
0
0
제로콜라가 다이어트 음식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제로콜라에는 설탕이 없어 당이 올라가지않습니다. 다이어트에 있어서 의지가 강하셔서 강한 식단 관리를 하실거면 제로콜라보다는 물을 드시는것을 추천하며, 닭가슴살, 고구마, 계란 등과 같은 건강한 다이어트 식품을 드시길 추천드립니다. 그런데 의지가 강한편이 아니고 단걸 꼭 먹어야겠다고 하시면 운동을 병행 하면서 제로콜라를 드셔도 괜찮을듯합니다.
학문 /
화학
22.09.06
0
0
지방의 세포호흡과 아미노산 세포호흡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세포호흡 과정은 동일하게 산소를 소비하여 이산화탄소나 물과 같은 노폐물을 생성하는 과정입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06
0
0
용접기 정격방지기 미 작동이라는데 맞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생활 꿀팁 분야에 질문을 올려보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 아니면 다른 직원에게 도움을 요청하여 해결하는것이 안전하고 가장 효율적이라고 판단됩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09.06
0
0
사람마다 체온이 다른 걸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사람들마다 체온은 거의 비슷합니다. 하지만 몸에 지방이 많으면 열손실을 적게할 수 있어 추위에 강할 수 있습니다. 또한 추위나 더위를 느끼는것은 피부에 있는 세포인 온점, 냉점을 통해 느낍니다. 사람마다 온점, 냉점을 통해 느끼는 추위나 더위가 다를 수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2.09.06
0
0
토네이도 태풍 기상AI 로켓 비행기 만들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기상 현상, 기후, 자연에서 발생하는 현상을 실시간으로 관측하여 그 데이터를 전송 받아 수치모델링이나 AI를 이용해 예측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질문자님께서 생각하신 아이디어도 충분히 가능할것이라 생각이듭니다. 뭐든 안되는건 없습니다. 단순히 행동을 하냐 마냐의 문제죠. 그리고 실천을 하려고할때 발생할 수 있는 단점, 장점등이 있으니 그점을 보완하거나 강화하는 방향으로 진행하시면 좋을거 같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6
0
0
496
497
498
499
500
501
502
503
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