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단전과 정전의 차이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전기가 끊어지는 점에서 두 단어는 큰 의미차이는 없습니다. 단전은 보통 전기의 공급을 중단 하는것을 의미합니다. 통제하에 중단하는것이죠. 정전은 보통 갑작스럽게 전기 공급이 끊긴것을 의미합니다. 정격전류나 정격전력을 초과하여 과도하게 사용하거나 기상악화, 지진 등 외부적인 요인으로 전기 공급이 끊긴것을 의미하여 사용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06
0
0
렘수면?깊은수면?얕은수면? 잠잘자는법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얕은 수면에 깨어나기 위해서는 먼저 수면 시간을 정해두고 최대한 같은 시간에 자는 습관을 들이는게 좋습니다. 그리고 어플이나 스마트 와치 등을 통해 수면 분석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정확한 방법은 수면 클리닉과 같은 병원에 찾아서 본인의 수면 패턴을 알아내는것이 가장 정확하죠. 이를 통해 충분한 수면을 취한 뒤 얕은 수면을 자는 시간을 파악하여 기억해두고 알람을 설정해 깨어나시면 좋을듯 합니다.또 다른 방법으로는 실험적이지만 20분 단위로 알람을 맞추면서 가장 개운하게 일어나는 시간을 기억해서 깨어나는 방법도 있습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09.06
0
0
현재 이동통신과 같은 무선통신은 언제부터 시작 됐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1984년 우리나라 통신사인 SK telecom의 전신인 한국이동통신에서 안날로그 이동통신 서비스를 최초로 선보였습니다. 초기에는 차량전화 및 무선호출 서비스를 개시하였으며, 88서울올림픽 개막 2개월 전에 휴대용 이동전화서비스를 제공하였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06
0
0
태풍의 이름은 어떻게 정해지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풍 이름은 그 국가에 영향을 미칠만한 태풍에 이름을 붙입니다. 그래서 우리나라를 지난 태풍들의 이름은 우리에게 친숙한 이름들이죠. 태풍 이름은 각 국가별로 10개씩 제출한 총 140개가 각 조 28개씩 5개조로 구성되고, 1조부터 5조까지 순차적으로 사용합니다. 140개를 모두 사용하고 나면 1번부터 다시 사용하죠. 태풍이 보통 연간 약 25개 정도 발생하므로 전체의 이름이 다 사용되려면 약 4∼5년이 소요되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5
0
0
바닷속 희귀광물 물리브데넘??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바닷속의 희귀 광물의 총량을 파악하는것은 간단한 일이 아닙니다. 바다를 전부 조사하는것이 불가능할뿐더러 희귀한 광물이라면 말그대로 잘 발견조차 안되고 광물을 찾다가 발견하면 회수해가기 때문이죠. 그래서 총량과 금액을 산출하는 일은 어려운 일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5
0
0
우렁이를 키우고있는데 물위에 떠서 수영하네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물에는 표면장력이라는 물 분자간 서로 끌어당기는 힘이 존재합니다. 전기력을 기반으로 한 힘이죠. 컵에 물을 가득 따르고 난 뒤 조금 씩 물을 따라도 물이 바로 쏟아지지 않는 이유입니다. 이런 표면장력에 의해 물수제비도 가능한것입니다. 비스듬히 날아가는 돌멩이 입장에서 물표면이 마치 땅바닥처럼 결합력 있기 때문에 돌멩이가 물표면에 부딪혀 다시 튀어오를 수 있는 이유입니다. 소금쟁이도 물위에서 떠다닐수 있는 이유죠. 이런 원리로 우렁이도 물위에 거꾸로 기어가는듯 합니다. 신기한 광경이네요 저두 처음 알았습니다. 혹시 사진이 있으시면 첨부 해주셨으면 더 좋았을거 같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05
0
0
폭설이 내릴 때 번개가 안 치는 이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천둥 번개는 두꺼운 구름이 형성 됐을 때 그 안에 분포하는 물과 수증기의 음전하가 강해지면서 치게됩니다. 하지만 겨울에 눈이 올때에는 보통 두꺼운 구름은 형성되지 않고 중간 정도의 두께나 얇은 두께의 구름을 형성하고 수증가와 물보다 눈, 얼음 알갱이가 많아 음전하로 대전 되는 정도가 비가 올때에 비해 적습니다. 그래서 번개가 잘 치지 않죠. 하지만 겨울에도 드물게 두껍운 구름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구름 속에 수증기와 물이 분포할 수도 있습니다. 이럴 경우에는 번개가 칠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5
0
0
우주 공간은 3D로 생각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가 느끼는것은 3차원 공간으로 이해가 되고 시간까지 생각하면 4차원입니다. 빈 공간을 어떻게 정의하냐에 따라 다른데, 블랙홀은 모든 물질을 빨아들이고 있어서 비어있지는 않습니다. 비어있다는것을 아무 물질과 에너지도 없다고 정의 내리면, 블랙홀 주변엔 중력 에너지가 존재하며, 물질이 빨려 들어가고 있어서 물질도 존재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5
0
0
태풍이 세상에 없어지면 어떻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풍은 적조나 녹조를 제거해주며 바닷물을 뒤섞어 정화 작용을 일어나게 하고, 대기중의 먼지나 안좋은 물질을 가라앉게하여 깨끗하게 만들어줍니다. 태풍이 없다면 이러한 일들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녹조나 적조 현상에 의해 해양 생물에게 악영향을 끼치며, 정화 작용이 크게 일어나지는 않을 것입니다. 그리고 태풍이 없다는것은 대류작용이 없거나 기압차나 온도차가 없다는 의미이며 대류작용이 없다면 기상현상이 일어나지 않을것입니다. 그러면 물의 순환이 없고 모든 식물이 말라버릴것입니다. 기압차, 온도차가 없다면 바람이 불지 않을 것이며, 대류현상은 있을 수 있지만 구름의 흐름이 없어 여전히 식물이 말라버릴것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5
0
0
뜨거운 물로 샤워한후 환기를 시키라고 하는데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환기를 시키는 이유는 습한 환경에서 곰팡이가 잘 번식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화장실과 같은 습한 곳의 환기가 중요합니다. 곰팡이는 피부에도 안좋고 기관지에도 좋지 않습니다.
학문 /
화학
22.09.05
0
0
505
506
507
508
509
510
511
512
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