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밥을 먹고나서 디저트를 먹을 때 정말 배가 늘어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 몸에 있는 장기중 가장 잘 늘어나는 장기는 위장입니다. 위장은 다른 장기를 짓누를 만큼 계속해서 늘어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장을 천천히 꾸준히 먹는 양을 늘리며 늘려야 부담이 안가며, 위장은 많이 늘어나는 장기라며 안먹던 양을 억지로 먹으면 잘 늘어나지 않아 구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2.09.04
0
0
하늘은 원래 파란색인데 왜 분홍색으로 보일 때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먼저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이유부터 이해하시면 좋을거같습니다. 하늘이 파란 이유는 대기(공기)에 의해 태양 빛이 산란되기 때문입니다. 이때 짧은 파장 영역대의 빛인 파란, 남색 ,보라 빛이 산란이 잘되는 이러한 빛이 우리 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이유입니다.밤에는 산란 되는 빛이 없기 때문에 어둡게 보이죠. 노을은 해질 무렵, 태양이 지평선에 놓일 때 태양 빛이 지구의 두꺼운 대기층을 뚫고 우리눈에 들어온 빛을 보게됩니다. 이때 짧은 파장 영역대의 빛은 우리눈에 도달하기전에 산란되어 흩어져 버리고, 파장이 긴 빛들 빨강, 주황, 노랑 등의 빛은 산란되지않고 두꺼운 대기층을 뚫고 우리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노을이 노랗고 붉게 보이는것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4
0
0
물은 100도씨에서 수증기로 변해 기체가 되는데 공기중에 있는 수증기는 100도가 안되는데 어떻게 존재가 가능하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물이라는 액체를 기체로 상태변화시키기 위해서는 100도의 온도가 되어야합니다. 이 의미를 정확하게 이해하셔야합니다. 일단, 고체와 액체, 기체로 구분하는것은 분자들의 배열과 관련이 있습니다. 물을 기준으로 H2O 분자가 6각형 모양으로 규칙적으로 배열하게 되면 고체가 됩니다. 6각형으로 규칙적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분자의 운동에너지를 줄여야하죠. 그게 온도를 낮추는 방법입니다. 또한, 물리적으로 온도라는것은 분자, 입자들의 평균 운동에너지라고 정의합니다. 즉, 온도는 운동하는정도이다 라고 생각하시면 이해하기 쉬울것입니다. 다시 돌아와 액체 상태는 6각형 모양의 규칙적인 모양이 깨져 H2O분자들이 어느정도 자유로운 상태입니다. 하지만 전기력으로인해 서로를 끌어 당기고 있고 집단을 이루고 있습니다. 여기서 H2O분자들이 훨씬 더 자유로워지게 되면 기체가 됩니다. 액체에서 기체가 되려면 운동에너지인 온도를 높여주어 서로를 끌어당기는 전기력 극복할 정도로 활발하게 만들어주는것입니다. 그런데 질문자님께서 질문하신 왜 100도의 온도도 아닌데 공기중에 수증기가 존재할 수 있는지 궁금해하시고 있습니다. 이는 물 분자가 100도가 아니라도 자유로워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액체인 물에서 일부의 물분자가 공기분자에 더 끌려 공기중으로 날아갈 수 있습니다. 액체라는 상태는 H2O끼리 집단을 이뤄 전기력으로 조밀히 붙어 있는 상태지만, H2O 집단(액체)에서 떨어지게 되면 바로 기체가 될 수 있습니다. 이때 온도가 100도가 아닌 상온이라도 발생할 수 있는 현상입니다. 액체와 기체의 차이를 정확하게 이해하면 되는것이죠. 반대로 물을 100도 이상의 온도로 만들 수 있습니다. 물을 외형이 변하지 않는 밀폐된 상자에 가득 담은 후 열을 가하게 되면 H2O분자가 자유로워질 공간이 없어 온도만 계속 올라가게됩니다. 이러한 상황에는 100도를 훨씬 넘을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4
0
0
헬륨가스를 흡입하면 목소리가 변하잖아요 이건 어떤 원리에 의해서 변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일단 헬륨은 공기보다 밀도가 낮습니다. 가볍죠. 그래서 헬륨을 주입한 풍선은 둥둥 잘 뜨는것을 확인하실수 있습니다. 헬륨가스를 먹게되면 폐에 헬륨이 차게되는데, 헬륨은 체내로 흡수되지않고 입 밖으로 다시 나옵니다. 그리고 우리가 말을 하거나 소리를 내는것은 성대의 진동에 의해나는것입니다. 그런데 평소 공기를 마시고 공기가 입 밖으로 나오면서 성대를 진동시켜 목소리를 내는데, 헬륨을 마시게 되면 헬륨이 우리의 성대를 떨리게합니다. 헬륨은 공기보다 가벼워 성대를 지나는 속력도 공기에 비해 훨씬 빠릅니다. 그래서 헬륨을 마셨을때 성대가 더 빨리 진동하게 되는것이고 빨라진 진동수는 높은 소리를 나게 하는 것입니다.
학문 /
화학
22.09.04
0
0
흰머리는 왜 앞 머리부터 생기는걸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사람마다 나는 부위의 순서는 다르며 노화가 빨리 찾아오는 부위부터 생깁니다. 새치의 경우는 어디서부터 생길지 모르며 유전적인 영향이 큽니다. 검은색 머리가 나려면 색소세포가 온전해야하는데 새치는 그렇지 못한 경우이기에 어릴 때부터 흰머리가 나는것이죠. 나이가 들면 신체의 노화로 인해 흰머리가 많아집니다.
학문 /
화학
22.09.04
0
0
부패와 발효에 대해 문의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발효와 부패는 모두 미생물이 음식물을 분해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우리에게 유익하고 유용하게 사용되는 음식물이나 물질이 만들어지면 발효라고 말하며, 우리에게 해롭고 악취가 나며 별로 좋지않은 물질이나 음식물이 만들어지면 부패라고합니다.
학문 /
화학
22.09.04
0
0
이온 음료의 원리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이온음료는 나트륨 이온, 칼슘 이온, 마그네슘 이온, 염화 이온 등을 포함한 음료이며 체내에 흡수되어 손실된 수분, 전해질, 미네랄등을 공급해줍니다. 이온음료가 이온화 상태로 존재할 수 있는 이유는, 이러한 이온들이 물에 잘 녹아 있기 때문입니다. 물은 H2O로 전기적으로 극성을 가진 액체입니다. 그래서 어릴적 마찰시킨 빗으로 흐르는 물에 가져다 대면 물이 휘는것을 볼 수 있었을 것입니다. 물은 +, - 극으로 나누어져있고 위에서 언급한 이온들이 물과 전기력으로 잘 녹아들 수 있는것이죠.
학문 /
화학
22.09.04
0
0
화상통화는 언제 처음 시작하였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독일에서 1930년대 말 베를린, 뮌헨, 라이프치히를 연결하는 영상 전화 서비스를 최초로 선보였습니다. 하지만 2차 세계대전 때문에 독일에서의 영상통화 발전은 멈춰지게 되었죠.
학문 /
전기·전자
22.09.04
0
0
엘니뇨현상에 해수면 높이변화의 원리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적도 부근 열대 태평양은 지구상에서 가장 많은 태양에너지가 유입되는 곳입니다. 평소 태평양의 서쪽은 해수면 온도는 상대적으로 높고 태평양의 동쪽은 낮은 해수면온도 분포를 보입니다. 엘리뇨가 나타나는 이유는 무역풍이 약화됨에 따라 평상시 바다 밑에서 올라오던 차가운 물이 상승하지 못하게 되어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차가운 물이 상승하지 못하여 태평양의 동쪽 해수면 온도가 평상시보다 높은 상태로 지속되는 현상이 바로 엘니뇨입니다.무역풍의 약화로 인해 동태평양의 해수가 서태평양으로의 유입이 줄어듭니다. 또한 평상시 상대적으로 서태평양의 해수위가 높은데 물은 수위가 높은데에서 낮은곳으로 이동하려는 성질 때문에 동태평양으로 해수의 유입이 발생하죠. 그래서 엘니뇨가 발생하면 동태평양의 해수면이 높아집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4
0
0
태풍이 올 때 유리창에 테이프를 엑스자로 붙이는 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창문에 테이프를 X자로 붙이는 것보다 창문틀에 테이프를 붙여 창문이 흔들리는것을 방지하는게 더 도움이 됩니다. 우리가 잘못알고있는 상식중에 하나죠. 그래서 이번에 태풍이 오기전에 바람이 강할것으로 예상된다면 창문틀쪽에 테이프를 붙여 창문이 흔들리는것을 방지하여 창문이 깨지는것을 방지하시길 바랍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3
0
0
514
515
516
517
518
519
520
521
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