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태풍과 허리케인이 만들어지는 과정?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부르는 명칭 차이입니다. 태풍과 허리케인은 같은 것입니다. 이와 더불어 싸이클론도 같은 의미입니다. 북서태평양 근해에서 발생하는 태풍을 태풍이라 부르고, 대서양, 북태평양 동부 부근에서 발생한 태풍을 허리케인, 인도양에서 발생하면 사이클론이라고 부릅니다.태풍은 태양 에너지를 많이 받는 적도부근의 바다에서 만들어집니다. 적도 부근에서 태양 에너지를 받아 물이 증발하여 상승하며 구름이 다수 만들어집니다. 여름에 적도 부근에서는 이러한 구름이 거대한 저기압 시스템으로 발달하게 되는데 이를 태풍이라고합니다. 태풍은 바람의 흐름을 타 중위도, 고위도까지 올라옵니다. 올라올때 바다 위를 지나면서 오는데 바다로부터 증발한 수증기를 머금고 세력을 키우며 올라옵니다. 그래서 우리나라나 다른 나라를 강타하죠. 태풍은 육지내에서 더 이상 수증기를 공급 받지 못하기 때문에 세력이 약해지며 소멸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1
0
0
태풍의 이름이 있는데 어떻게 붙여 지는건지여~??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풍 이름은 그 국가에 영향을 미칠만한 태풍에 이름을 붙입니다. 그래서 우리나라를 지난 태풍들의 이름은 우리에게 친숙한 이름들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1
0
0
사람이나 동물들은 왜 잠을 자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사람이나 동물은 깨어있는 동안 생명 활동을 하는데 그 동안 근육, 뇌 등 육체적 정신적 피로도가 쌓입니다. 이러한 피로도를 회복해주기위해서 잠을 자는것이죠. 그리고 하루 적정 수면량은 7~8시간이 적당하며 이는 사람마다 조금씩은 다릅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01
0
0
눈과 우박의 차이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구름은 수증기, 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높은 상공에서 수증기가 물이 되고 이 물방울들이 모여 빗방울 크기가 되면 떨어집니다. 그런데 온도가 낮은 상공에서 이 빗방울이 급격히 얼게될때가 있는데, 이를 우박이라고 합니다.눈은 우박과 달리 수증기가 물이되고 작은 물 알갱이가 얼게 됩니다. 이 작은 눈 알갱이는 주변의 수증기나 물이 달라붙어 그 크기가 커져 눈이 됩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09.01
0
0
냉동인간의 가능성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냉동 기술은 과학적으로 가능한 기술입니다. 현재는 인간 전체는 아니지만, 난자, 정자 등 작은 세포 단위로 실현하는 수준입니다. 냉동인간은 얼려 놓았지만 먼 미래에 기술이 발달되면서 해동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면 그 때 해동하여 현재 치료할 수 없는 병을 치료하려는 목적입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01
0
0
다누리 달탐사선의 전송사진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달 탐사선은 지구에서 출발해 달을 향해 직선으로 가지 않습니다. 달까지 가는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달의 공전궤도를 계산하고 우주선이 날아가는 시간을 계산합니다. 우주선이 날아갈 동안 달이 어느 위치에 있을것인지를 예측하여 우주선을 보내죠. 그래서 달과 지구가 함께있는 사진을 찍을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1
0
0
태풍 이름은 어떻게 정해지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풍 이름은 그 국가에 영향을 미칠만한 태풍에 이름을 붙입니다. 그래서 우리나라를 지난 태풍들의 이름은 우리에게 친숙한 이름들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1
0
0
산성비를 맞으면 머리가 진짜 빠지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산성비를 맞는다고해서 머리가 빠지는것은 아닙니다. 머리카락에 비가 두피에 닿는것을 어느정도 막고 있고 설령 닿는다 하더라도 탈모가 되진 않죠. 하지만 산성비에 의해 생물이나 인간이 피해를 볼 순 있습니다. 산성비가 내리면 토양의 양분에 악영향을 주며 식물 잎을 갈색으로 변하게 만듭니다. 또한 나무를 말라죽게하는 원인이 되기도 하죠. 또한 산성비와 공기중 물질과 섞여 해로운 기체를 생성하며 산성 안개등을 만들어 잎의 기공에 악영향을 끼칩니다. 이러한 것들은 사람에게도 해가 됩니다.
학문 /
화학
22.09.01
0
0
핫팩, 주머니 난로의 원리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핫팩은 철가루로 제작을 합니다. 철가루는 산소와 반응을 잘하며 철가루가 산소와 반응하는 산화반응이 일어날 때 열이 발생하죠. 철의 산화반응을 이용해 핫팩을 따뜻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똑딱하는 액상 핫팩에는 아세트산나트륨 과포화 용액이 들어있습니다. 이 액체형 핫팩에는 아세트산나트륨이 너무 많이 녹아 있어 불안정한 상태이고 작은 충격에도 쉽게 과포화 상태가 깨지게 됩니다. 그래서 똑딱 해주게 되면 과포화 상태가 깨져 이 용액에 굳어지며 고체가 됩니다. 대부분의 물질은 액체 상태에서 고체 상태가 될 때 열을 방출합니다. 그래서 액상 핫팩은 고체가 되며 열을 내뿜어 따뜻하게 되는것이죠.
학문 /
전기·전자
22.09.01
0
0
왜 암흑에너지의 증거가 중력렌즈현상이 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암흑에너지가 아닌 암흑물질의 증거가 됩니다. 먼저 중력렌즈현상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중력렌즈현상은 거대한 중력을 행사하는 별이나 블랙홀에 의해 그 별 뒤에서 나온 빛이 휘어져 우리 눈에 들어오는 현상입니다. 이때 거대한 중력을 행사하는 별이나 블랙홀 주변으로 띠를 형성합니다. 이를 중력렌즈 현상이라합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거대한 중력을 행사하는 블랙홀이나 별 뒤에 가보지도 않았는데, 거기서 나온 빛이라고 말할 수 있나? 라는 의문이 들수도있습니다. 우리는 중력렌즈효과로부터 거대한 블랙홀 주변에 생기는 띠를 관측할 수 있는데, 이 띠에 빛들을 분석해보면 모두 같은 빛임을 알 수 있습니다. 즉, 한 점에서 나누어진 빛이 띠를 이루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는 것이죠.그리고 이 중력렌즈효과는 암흑물질의 증거가 됩니다. 중력렌즈효과를 만드는 원인은 거대한 중력을 행사하는 별이나 블랙홀이 되는데, 거대한 중력을 행사하는것이 별일 경우 우리는 별의 질량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 별의 질량을 이용하여 중력 렌즈 효과의 정도, 곡률등을 계산할 수 있죠. 그런데, 이 별의 질량을 가지고 중력렌즈효과의 정도와 곡률을 계산하면 예상과 다른 값을 가집니다. 만약 보이지 않는 중력을 가진 물질인 암흑물질이 거대한 별을 중심으로 분포해 있다면 중력렌즈효과의 정도와 곡률을 설명할 수 있죠. 그래서 중력렌즈효과는 암흑물질의 증거가 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1
0
0
523
524
525
526
527
528
529
530
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