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요즘 내리는 비도 산성비 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산성비를 맞는다고해서 머리가 빠지는것은 아닙니다. 머리카락에 비가 두피에 닿는것을 어느정도 막고 있고 설령 닿는다 하더라도 탈모가 되진 않죠. 하지만 산성비에 의해 생물이나 인간이 피해를 볼 순 있습니다. 산성비가 내리면 토양의 양분에 악영향을 주며 식물 잎을 갈색으로 변하게 만듭니다. 또한 나무를 말라죽게하는 원인이 되기도 하죠. 또한 산성비와 공기중 물질과 섞여 해로운 기체를 생성하며 산성 안개등을 만들어 잎의 기공에 악영향을 끼칩니다. 이러한 것들은 사람에게도 해가 됩니다.
학문 /
화학
22.09.01
0
0
철물질의 부식은 왜 일어나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철은 알루미늄, 금, 은과 달리 반응성이 높은 물질입니다. 철이 녹이 스는것은 산화돼었다고 표현하죠. 철의 표면에 공기 중 산소와 맞닿으며 반응을 합니다. 산화철이 되면서 녹이 스는것이죠. 습할 경우에는 물이 철을 이온화시키는데 이로인해 철이 더욱 빨리 산화됩니다.
학문 /
화학
22.09.01
0
0
개미나 작은 동물들은 뇌나 심장이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곤충은 장기가 없습니다. 하지만 사람과 달리 다른 신경체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움직일 수 있습니다. 사람은 뇌로부터 명령을 받고 신호를 보내 움직입니다. 뇌가 없는 곤충들은 신경절이라는 부분에서 신호체계를 만들어 움직이게 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01
0
0
별똥별이 어떻게 생기는지에 대하여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에서 작은 운석이나 우주에 있는 쓰레기가 지구중력으로인해 지구로 떨어지게 됩니다. 이 때 이 물질들이 대기와 마찰을 일으키는데 이 때 마찰열에 의해 불에 타게되죠. 우리는 이를 보고 별똥별이라합니다. 마치 별이 꼬리를 달고 떨어지는 모습과 같아서 별똥별이라고 이름을 지었습니다. 우리가 별똥별을 보고 소원을 비는 이유는 별똥별을 흔히 볼 수 있지 않기 때문이죠. 별똥별은 특정 시기나 아주 우연히 관측할 수 있는데, 이때 우연히 본 별똥별을 보고 행운이 찾아왔다고 하고 소원을 빌기 시작한것입니다. 물론 소원을 들어주진 않지만 한번 빌어보는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1
0
0
관찰자 효과가 왜 생기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전자의 이중슬릿 실험을 물어보시는거 같네요. 이중슬릿 실험은 스크린-이중슬릿-전자총 순으로 설치하여 전자총을 쏴 스크린에 어떤 모양으로 무늬가 생기는지에 대한 실험이고, 전자의 입자성과 파동성에 관한 실험입니다. 이중슬릿에 전자총을 쏴 통과시키면 이 전자들은 파동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스크린상에 간섭무늬를 만들어냅니다. 빛의 이중슬릿의 결과와 같은 무늬를 얻습니다. 하지만 이중슬릿의 하나의 구멍에 전자가 통과하는지를 관측할 수 있는 장비를 두겠습니다. 그렇게 되면 전자는 더 이상 파동성을 띄지 않고 입자성을 띱니다. 관측으로인해 더 이상 전자는 두 개의 슬릿 구멍으로 통과하지않고 하나의 구멍으로만 통과합니다. 즉 파동성을 잃고 입자성을 띠는것이죠. 그러면, 이중슬릿을 통과한 입자가 맺게 되는 상은 단순히 슬릿구멍과 유사한 상으로 바뀝니다. 만약 전자를 관측할 수 있는 장비를 두지 않았다면, 전자가 파동성을 갖고 스크린에 간섭무늬가 생겼을 것입니다.정리하면, 전자의 이중슬릿 실험을 통해 파동성과 입자성을 각각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이 실험을 설명할 수 있는 것은 양자역학이죠.
학문 /
전기·전자
22.09.01
0
1
비는 어떻게 해서 내리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 여름은 다른 계절에 비해 가장 습한 계절입니다. 그 말은 공기중에 수증기량이 많다는 의미이고 수증기가 많은 공기가 상승기류를 만나면 하늘로 올라갑니다. 수증기를 포함한 공기가 하늘로 올라가면 팽창하고 온도가 떨어지게 되는데 이 때 온도가 떨어지면서 수증기가 물로 바뀌죠. 그러면서 구름이 형성됩니다. 그리고 구름에 담긴 수증기들이 뭉쳐 물이되어 비가 내리게 되는것이죠.비는 전세계적으로 옵니다. 다만 사막과 같이 물의 증발이 어려운 지역에서는 비가 잘 오지 않습니다. 애초에 물의 증발이 있어야 구름이 형성되고 비가 오기 때문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1
0
0
정수기의 정수 원리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정수기는 먹을 수 있는 깨끗한 물을 주입하여 한번 더 정수처리한 뒤 우리가 마시게 됩니다. 정수기의 원리는 필터, 자외선 등을 사용하여 물에 있는 세균, 몸에 좋지않은 요소를 제거해주는 원리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01
0
0
사람들마다 혈액형은 왜 서로다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혈액형은 A, B, O, AB, (RH-,+)등으로 나뉩니다. 피의 색은 같지만 혈액의 특징이 미묘하게 다르다는 사실을 알아내고 이를 각각 분류한것이 혈액형이죠.
학문 /
생물·생명
22.09.01
0
0
반도체 만들때 굳이 규소를 쓰는 이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반도체의 물리적 특성을 가장 잘 살릴 수 있는 원소이며 우리가 쉽게 구할 수 있는 원소이기도 하기 때문에 규소를 사용합니다. 네 같은 실리콘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01
0
0
모기나 나방등 벌레들은 왜 빛을 쫓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주광성 벌레들이라고 하죠. 흔히 나방 같은 종류의 벌레들은 빛을 보면 마구 달려듭니다. 이들은 어두움 밤에 먹이를 찾거나 길을 찾을 때 빛을 이용하는데, 이 빛이 하나의 방향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1
0
0
523
524
525
526
527
528
529
530
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