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사막에서 오아시스가 존재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사막에는 오아시스가 존재합니다. 삭막한 사막이라도 지하수가 흐르는 지대가 있으며, 빗물이 모여 고이는 부분이 존재합니다. 이렇게 사막에 물이 고이는 지대를 오아시스라고합니다. 지하수가 흘러 물이 고이게 되면 오아시스가 만들어지며, 빗물이 고여 만들어질수도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1
0
0
태풍 과 허리케인은 어떻게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부르는 명칭 차이입니다. 태풍과 허리케인은 같은 것입니다. 이와 더불어 싸이클론도 같은 의미입니다. 북서태평양 근해에서 발생하는 태풍을 태풍이라 부르고, 대서양, 북태평양 동부 부근에서 발생한 태풍을 허리케인, 인도양에서 발생하면 사이클론이라고 부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1
0
0
책상에서 엎드려 자고 일어날때 트림이 나오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보통 점심을 먹거나 저녁을 먹고나서 책상에 엎드려 자게 되면, 위장에서 입으로 연결된 식도의 일부를 틀어막게됩니다. 그러면 식후 위장에서 화학적 소화가 일어나는데, 이 때 음식물이 소화되며 발생한 가스가 생깁니다. 이 가스는 보통 트름으로 배출되죠. 그런데 엎드려 잠을 자면 식도의 일부를 막게되어 이 가스가 방출되지 못하고 위장에 쌓이게 됩니다. 그래서 엎드려 자고 일어난 후에 속이 답답하고 묵힌 트림이 계속 나오게 되죠.
학문 /
토목공학
22.09.01
0
0
배터리의 경우 충전과 방전을 계속 반복하는데 더이상 충전이 안되는 것은 배터리의 어느 부분이 다 되서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베터리를 충전하고 방전하는 과정을 반복하고 베터리를 사용한 시간이 지나게 되면 베터리 구매 초기의 충전량보다 줄어들게됩니다. 즉, 더 이상 완충이 아닌게되죠. 또한 베터리를 사용하다보면 노후되어 베터리 내부적으로 화학반응이 느려집니다. 그래서 시간이 지나면서 베터리의 효율을 완전히 못내게 되죠.
학문 /
화학
22.09.01
0
0
9월에 태풍이 온다고하는데 태풍관련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풍은 태양 에너지를 많이 받는 적도부근의 바다에서 만들어집니다. 적도 부근에서 태양 에너지를 받아 물이 증발하여 상승하며 구름이 다수 만들어집니다. 여름에 적도 부근에서는 이러한 구름이 거대한 저기압 시스템으로 발달하게 되는데 이를 태풍이라고합니다. 태풍은 바람의 흐름을 타 중위도, 고위도까지 올라옵니다. 올라올때 바다 위를 지나면서 오는데 바다로부터 증발한 수증기를 머금고 세력을 키우며 올라옵니다. 그래서 우리나라나 다른 나라를 강타하죠. 태풍은 육지내에서 더 이상 수증기를 공급 받지 못하기 때문에 세력이 약해지며 소멸합니다. 또한, 태풍의 크기와 영향 반경, 기압 등을 보고 태풍이 강하지 아닌지를 판단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1
0
0
바이러스에 잠복기가 있는 이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바이러스가 잠복기를 갖는 이유는 숙주내에서 증식하여 자기 몸을 복제하고 있는 기간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바이러스가 증식하는 기간에는 숙주 밖으로 나가지 못하며 바이러스의 감염이 타인에게 퍼지지 않는 기간입니다. 또한, 잠복기에는 바이러스가 면역세포와 싸우며 증식하는데 면역력이 강한사람일수록 잠복기가 길고 면역력이 약한 사람일수록 잠복기가 짧은 특징이 있습니다. 바이러스의 증식이 끝나면 숙주 밖으로 나가기 위해 기침이 나도록합니다. 기침을 통해 외부로 나가 다른 숙주로 옮겨가 다시 증식을 시작하죠.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며 바이러스의 감염이 확산되는것입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01
0
0
가정용 가전제품중에서 궁금한게 있어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건조기는 뜨거운 열기를 통해 세탁물의 물을 증발시켜 그 증발된 수증기를 한곳에 모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수증기를 어떻게 모으는지가 관건인데, 원리는 간단합니다. 건조기가 돌아가고 열기로 물을 수증기로 만든 뒤 수증기를 특정 공간을 지나게합니다. 그리고 공간을 지날 때 그 공간의 온도를 차갑게 만들어줍니다. 그러면 차가운 온도에 의해 수증기의 열이 뺏기며 수증기가 다시 물이 됩니다. 이 때 그 공간에 작은 홈을 두고 물을 빠지게 하여 물통에 모으는 원리이죠.
학문 /
전기·전자
22.09.01
0
0
태풍들이 주로 위도 5도 이상의 열대 해상에서 발생하는 원인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먼저 태풍이 만들어지는 원리를 이해해야합니다. 태풍은 태양 에너지를 많이 받는 적도 부근의 바다에서 만들어집니다. 적도 부근에서 태양 에너지를 받아 물이 증발하여 상승하며 구름이 다수 만들어집니다. 여름에 적도 부근에서는 이러한 구름이 거대한 저기압 시스템으로 발달하게 되는데 이를 태풍이라고합니다. 태풍은 바람의 흐름을 타 중위도, 고위도까지 올라옵니다. 올라올때 바다 위를 지나면서 오는데 바다로부터 증발한 수증기를 머금고 세력을 키우며 올라옵니다. 그래서 우리나라나 다른 나라를 강타하죠. 태풍은 육지내에서 더 이상 수증기를 공급 받지 못하기 때문에 세력이 약해지며 소멸합니다.즉, 태풍은 충분한 양의 태양 에너지를 받는 조건에서 생성되며, 거대한 저기압 시스템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대부분의 태풍들이 중위도, 고위도가 아닌 위도 5도 정도인 저위도 지대에서 만들어지는 이유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1
0
0
북극의온도와 남극의온도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남극이 북극보다 더욱 춥습니다. 극지방이 추운이유는 태양열을 많이 받지 못하는 극위도이기 때문입니다. 남극이 더 추운 이유는 북극 보다 고도가 더 높으며 이로인해 지대가 전부 하얀 눈과 빙산으로 뒤덮여있죠. 눈과 빙산으로 뒤덮이게 되면 햇빛을 전부 반사하여 더욱 추워집니다. 그래서 남극의 지대가 높은 이유와 빙하량이 더 많은 이유로 인해 북극보다 춥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1
0
0
하늘은 왜 파란색인가여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하늘이 파란 이유는 대기(공기)에 의해 태양 빛이 산란되기 때문입니다. 이때 짧은 파장 영역대의 빛인 파란, 남색 ,보라 빛이 산란이 잘되는 이러한 빛이 우리 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이유입니다. 가을에는 다른 계절에 비해 대기가 깨끗한 상태입니다. 그래서 높은 곳에서부터 산란이 일어나는데 이 때문에 가을 하늘이 높이 보이는 것이죠. 우주에는 빛이 산란할만한 기체가 없는 진공 상태이기 때문에 어둡게 보이는것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30
0
0
523
524
525
526
527
528
529
530
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