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불이 꺼지는 원리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불을 붙이기 위해서는 열(불)과 산소와 연료(종이, 나무 등)가 있어야합니다. 불을 끄기위해 물이나 소화기를 분사하는데, 물은 산소도 차단할 뿐더라 열을 급격히 내릴 수 있기 때문에 불을 끄는데 도움을 줍니다. 소화기는 산소의 접촉을 차단하기 때문에 불을 끄는데 도움을 줍니다.
학문 /
화학
22.08.22
0
0
헬스하면 노화가 헬스안하는 사람보다 노화가 빨리 오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항상 뭐든 적당한것이 좋습니다. 자신에게 알맞은 운동량을 파악하여 적당한 운동을 한다면 피부도 좋아지고 건강해지므로 노화가 오지않습니다. 하지만 과할정도로 운동을 많이한다면 활성산소로인해 노화가 촉진되기도 합니다.
학문 /
화학
22.08.22
0
0
비오고 난 후에 쌍무지개가 아주 가끔 뜨는데 어떤 과학적 원리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무지개는 햇빛이 수증기 물방울을 통과하면서 이 물방울이 마치 프리즘 역할을 하여 빛이 분산되어 나타나는것입니다.쌍무지개 역시 햇빛이 물방울을 통과하여 생기는데, 프리즘 역할을 하는 물방울 영역이 2개로 나뉘어져 있을 때 볼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22
0
0
무소음 시계가 어느날부터 소리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시계는 톱니바퀴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톱니바퀴의 바퀴가 서로 맞물리면서 소리가 딸깍 딸깍 나는것이죠. 하지만 톱니바퀴의 수를 무수히 늘리고 부드러운 회전이 일어나도록 한다면 소음이 줄어듭니다. 이러한 원리로 무소음 시계가 가능한 것이죠.
학문 /
전기·전자
22.08.22
0
0
바다에만 파도가 치는 이유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파도는 조수간만의 차에 의해 발생합니다.조수간만의 차는 태양, 달의 만유인력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지구는 태양주위를 공전하고 달은 지구 주위를 공전합니다. 그리고 지구는 자전을 하고 있죠. 그래서 지구가 자전하면서 우리나라가 달과 가까워지거나 태양과 가까운 위치에 놓일때가 있습니다. 이때 만유인력이 작용해 해수면이 상승하고, 태양이나 달과 가장 멀어지는 시기에 해수면이 하강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조수간만의 차가 나타나죠. 바다와 호수에 작용하므로 물결이 이는걸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넓고 깊은 바다에 비해 호수는 좁고 얕으므로 파도가 크게 일렁이지 않습니다. 만약 큰 태풍이나 바람이 분다면 호수에도 파도가 칠것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22
0
0
알콜을 마시면 기억력감퇴 등 멍청해지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알콜을 많이 마시면 기억력이 감퇴됩니다. 그리고 기억에 안좋은 영향을 끼치긴 하죠. 하지만 적당량의 술은 기억력 감퇴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또 급하게 당일 벼락치기로 외운것이라면 술을 안마시는게 좋습니다. 이전에 외워놨던것이라면 술을 마셔도 크게 무방할 것입니다. 시험전에는 컨디션 조절을 위해서라도 가급적이면 마시지 않는것이 좋죠. 시험끝나고 마셔도 되니까 잠깐 참는 인내심을 발휘해보죠.
학문 /
화학공학
22.08.22
0
0
땀이나면 몸의 체온이 낮아지는 이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일단 물에 대해 알아보죠. 물은 온도가 낮아지면 얼음, 열을 가해 끓이면 수증기가 됩니다. 즉 액체는 기체가 되기위해선 열이 필요합니다. 땀이나면 수분이 공기중으로 증발하려고하는데 이 때 몸의 열을 뺏어가 증발합니다. 이 때문에 땀이나면 열을 식힐 수 있는것이죠.
학문 /
물리
22.08.22
0
0
연합뉴런과 미엘린수초 관련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수초는 절연물질로 뉴런의 에너지 효율성을 증가시키고, 축색에서의 정보전달을 빠르게하는 역할을 합니다. 축삭돌기에 수초가 둘러쌓여있지 않아도 신호가 전달되는과정에서 소실되거나 속도가 느려지지 않습니다.
학문 /
물리
22.08.22
0
0
양자역학에 대한 질문 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관측이라는 행위는 양자역학 상태의 붕괴를 의미합니다. 질문자님께서 슈뢰딩거의 고양이를 아시고 계시는것 같아서 이를 예시로 들겠습니다. 상자속 슈뢰딩거의 고양이의 상태는 죽음의 상태와 삶의 상태와 죽음과 삶이 중첩된 상태로 나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만약 상자를 열어 봤는데 고양이가 살아있다면 이는 틀림없이 살아 있는 상태만으로 기술됩니다. 다시말해 관측을 통해 살아있는 상태로 붕괴된것이죠.다시 이중슬릿 실험으로 돌아와서 보겠습니다. 이중슬릿의 하나의 구멍에 전자가 통과하는지를 관측할 수 있는 장비를 두었습니다. 그렇게 되면 전자는 더 이상 파동성을 띄지 않고 입자성을 띱니다. 즉, 이중슬릿을 통과하여 맺히는 상은 단순히 슬릿구멍과 유사한 상으로 바뀐것입니다. 만약 전자를 관측할 수 있는 장비를 두지 않았다면, 전자가 파동성을 갖고 스크린에 간섭무늬가 생겼을 것입니다.이 실험을 설명할 수 있는것은 양자역학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22
0
1
씨 없는 수박의 탄생 원리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씨없는 수박은 콜히친 처리를 한 수박에 정상적인 수박의 꽃가루를 수분하여 나오는 씨를 통해 씨없는 수박을 만들 수 있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8.22
0
0
559
560
561
562
563
564
565
566
5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