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극초음속.초음속.순항 ICBM등 미사일 종류가 다양한데요 어떤 미사일들인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탄도미사일 : 발사지점에서 목표지점까지 포물선을 그리며 날아가는 미사일 입니다. 마치 로켓처럼 연료를 태워 분화해 추진력을 얻어 날아갑니다. 대부분 핵무기에 사용되는 미사일입니다.ICBM (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은 대륙간 탄도미사일입니다. 유효사거리가 5500km를 초과하는 미사일이죠.순항미사일(크루즈 미사일) : 제트 엔진을 이용하여 추진력을 얻고, 미사일에 날개가 있어 양력을 얻어 날아갈 수 있는 미사일입니다. 이는, 컴퓨터를 활용한 유도 방식으로 명중률이 높습니다. 초저공 비행으로 굉장히 빠른 속도로 날아가기 때문에 레이더 포착이 잘 안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극초음속 초음속 미사일의 경우 미사일의 속력이 음속을 훨씬 뛰어넘는 것을 의미합니다.
학문 /
기계공학
23.07.15
0
0
우주과학은 고등학교까지 교육과정중 없는 교육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과학은 따로 있지 않습니다. 다만 천체에 대해 운동을 기술한다던가 현상을 탐구하거나 관측으로 탐구하는 학문은 지구과학, 물리학에 관련이 깊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5
0
0
전자렌지용 용기는 전자렌지에 데워도 인체에 진짜 해가 없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요새는 고열에도 잘 견디는 프라스틱이나 종이 용기를 사용하여 많이 해롭진 않습니다. 그래서 배달음식 용기나 가게에 파는 용기는 친환경적인 용기를 사용하여 해로운 물질이 방출되는걸 최소화하죠.
학문 /
화학
23.07.15
0
0
강수량은 어떤 방법으로 알 수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강수량은 강수량계 (지름 20cm 정도의 원통형)에 빗물이 받아지는 높이를 측정하여 우리에게 알려집니다. 강수량계의 측정결과가 기상청을 거쳐 발표되어 우리에게 보도되는 것이죠. 그래서 몇 mm라고 통보되는 것입니다.
학문 /
토목공학
23.07.15
0
0
우주에서 움직이는 동작인 우주유영은 어떻게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유영은 무중력 상태이기 때문에 오로지 손과 발을 사용하여 벽이나 물체를 밀어냄으로써 이동해야합니다. 이러한 훈련은 비행기를 이용하여 무중력 상황을 만들어 진행하거나, 물 속에서 진행한다고 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5
0
0
우주비행사가 되기 위한 조건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선 우리나라에서 당장 우주비행사가 되기는 어려우며, 미국이나 러시아, 중국에서 우주비행사가 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그 국가의 언어를 터득해야하며 신체적으로도 건강하여야합니다. 시력이 좋거나, 너무 크지도 너무 작지도 않은 적절한 키 등 임무를 수행하는데 지장이 없어야할 정도의 조건이 필요하죠. 또한, 체력역시 중요하며 과학적인 지식, 우주에서 수행하는 실험에 대한 지식 정도는 가지고 있어야 할 듯 합니다. 하지만 일반인 중에서 뽑는 경우는 극히 드물기 때문에 기회가 언제 올지는 모르겠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5
0
0
국제우주정거장 ISS 건설에 참여한 국가는 어디이며, 우리나라는 왜 참여하지 못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ISS에는 미국, 영국, 프랑스, 러시아, 일본, 이탈리아, 독일, 네덜란드, 벨기에, 스위스, 스페인, 스웨덴, 덴마크, 노르웨이, 캐나다, 브라질가 참여하고 있습니다.우리나라의 경우 우주산업을 이제 막 시작하였기 때문에 참여가 안되어있죠. 하지만 시간이 지나 우주산업이 활성화된다면 참여할 날도 올듯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5
0
0
지구와 태양, 달의 둘레가 얼마나 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먼저, 태양 주위로 지구가 돕니다(지구의 공전). 그리고 달은 지구 주위를 공전하죠. 태양의 질량은 태양계 전체 질량의 99퍼 이상을 차지하고 있을 정도로 굉장히 큽니다.태양의 둘레는 약 439만km입니다.지구의 둘레는 약 4만km입니다.달의 둘레는 약 1만km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5
0
0
대나무는 나무가 아니고 풀이라는데 맞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대나무는 나무가 아닌 풀입니다.대나무는 이름과 달리 나무가 아니며 볏과의 일종이 풀로 구분됩니다. 생긴것이 나무처럼 우뚝 솟고 높이 자라 대나무라는 이름이 붙었지만 풀로 구분되죠. 나무에 속하기 위해서는 단단한 부분이 존재해야하며, 부피생장을 해야합니다. 대나무의 경우 단단한 부분이 존재하지만 부피생장은 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나무에는 속하지 않죠,
학문 /
생물·생명
23.07.15
0
0
뚝배기에는 어떤 과학적인 원리가 숨어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뚝배기는 도자기처럼 만들어졌고, 열이 천천히 올라 음식을 끓이는 시간이 길지만 잘 식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열이 오래 보존되죠.
학문 /
화학
23.07.15
0
0
73
74
75
76
77
78
79
80
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