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물의 밀도가 온도가 4도 일때 가장 큰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물은 특이한 물질입니다. 물은 고체가 되면서 부피가 증가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보통의 물질은 고체가 되면 부피가 줄어들죠.물의 경우 온도가 감소하면 보통의 물질과 같이 분자 운동의 활발함이 줄어들어 부피가 줄어들게됩니다. 하지만, 4도 이하가 되면서 물 분자간 전기력에 의해 6각 구조를 형성하기 시작하게 되면서 다시 부피가 증가하게 되죠. 그래서 4도 정도 일 때가 가장 부피가 작은 상태이며 밀도가 큽니다.
학문 /
화학
23.07.13
0
2
비행기가 떠오를때 이명현상이 일어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높은 지대에 올라가거나, 비행기를 탈 때 또는 빨리 달리는 차에서 귀가 먹먹해지는 느낌을 받는 이유는 외부의 압력의 변화로인해 신체 내부의 압력을 맞춰주기 때문입니다. 비행기를 타고고 빠른속력을 낼 때와, 비행하거나 착륙할 때 공기압의 변화가 생깁니다. 이 때 귀에 있는 유스타키오관에서 외부 압력과 내부압력이 평형을 이루게끔 조절을 하기 때문에 이명현상이나 먹먹함이 느껴지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3
0
0
우주선은 왜 비행기처럼비행하지 못하나요? 엔진분사로 추진력은 충분할텐데요. 영화속 비행선처럼 비행은 불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에는 공기가 없기 때문에 가스나 연료를 분사하여 추진력을 얻기 때문입니다.비행을 하는데 크게 두 가지 원리가 있습니다. 첫째, 양력을 얻는 원리가 있으며 둘째론 작용-반작용이 있습니다.양력을 얻는 원리는 압력차에 의한 힘에 의한 것입니다. 이는 비행체가 추진력(속력)을 얻고 난 뒤부터 지속적으로 하늘에 떠있을 수 있는 원리입니다. 비행체의 날개에서 주로 얻게되는데, 날개의 윗부분은 곡면으로, 아랫부분은 평평한 면으로 하여 윗부분에서 공기의 흐름, 유속을 빠르게 해줌으로써 압력을 낮추는 것입니다. 그러면 날개의 아랫부분에서 윗부분으로 힘을 받게되어 뜰 수 있습니다. 비행기나 새의 날개의 경우 양력을 얻기에 적합한 구조로 되어있습니다. 날개의 윗부분은 곡면, 아랫부분은 평평하죠. 즉, 이러한 경우가 대기중에서 비행하는 경우이며 보통의 비행기가 날 때의 원리입니다.작용-반작용은 새의 날개짓, 드론과 헬리콥터의 프로펠러의 회전을 통해 공기를 지면으로 밀어내는 힘(작용-반작용), 또는 우주선의 연료 분사로 인해 추진력을 얻는 것을 의미합니다.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 연료를 분사하여 우주선 몸체가 앞으로 나아가는 것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3
0
0
비가 올 때 수막현상이 일어나는 원리에 대해서 알고 싶네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비가오게되면 땅이 물에 젖게되고, 물의 표면장력으로 인해 수막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마치 코팅 막처럼 얇게 막을 지는 현상이죠.
학문 /
토목공학
23.07.13
0
0
달에도 바다가 있다고 하는데 정말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사실이 아닙니다. 달에는 물이 없어 바다가 없습니다. 아마 소설이나 시일거라는 생각이 드네요. 달에는 물도 없으며, 대기도 존재하지 않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3
0
0
껌의 성분은 무엇인가요? 왜 기름에 녹아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껌의 수지 성분이 주 성분이기 때문입니다. 이 성분이 기름에 녹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한번쯤 껌과 초콜릿을 드셨보셨을지는 모르겠지만, 껌과 초콜릿을 함께 드셔보면 껌이 흐물흐물 녹음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이유는 초콜릿은 유분이 풍부한 과자기 때문에 껌과 초콜릿을 같이먹으면 초콜릿의 기름성분이 껌의 접착력을 떨어뜨리기 때문이죠.
학문 /
화학
23.07.13
0
0
MOND가설에 대해 쉽게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암흑물질에 대하여 크게 우리가 발견하지 못한 입자로 볼 것인지 또는, 기존의 물리학 이론을 변형시켜 설명할 것이지에 대한 관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암흑물질이란 질량을 가지고 있어 중력에 의한 상호작용(힘을 받거나 행할 수 있음)은 가능합니다. 하지만, 전자기력, 전자기파(빛)와 상호작용하지 않는 물질입니다. 즉, 전자기력과 상호작용하지 않는다는 것은 전기적 중성이며 빛과 상호작용하지 않는다는 의미이고 눈으로 보이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중력과 상호작용하기 때문에 증거가 되는 현상들이 있습니다. 그 현상들로는 은하 내의 은하 중심으로부터 거리에 따른 행성과 별의 공전 속도 그래프, 중력 렌즈 효과, 총알 은하단 등이 있습니다.기존 이론으로 나열한 현상을 설명하지 못하기 때문에 기존의 중력을 기술하는 만유인력에 변화를 주어 새롭게 해석하려는 시도를 하는 경우가 MOND 가설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또한 입자적인 관점에서는 다음과 같습니다.현재는 기존 이론으로 설명하지 못한 현상에 대해 암흑물질을 도입해 설명하고 있으며, 암흑물질이 어떠한 입자로 구성되어있는지 많은 이론들이 존재하지만, 암흑물질의 입자를 발견하진 못하였습니다. 이를 발견하기 위해 우리나라를 포함해 세계적으로 연구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학문 /
물리
23.07.13
0
0
무거운 비행기가 하늘을 날 수 있는 과학적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비행을 하는데 크게 두 가지 원리가 있습니다. 첫째, 양력을 얻는 원리가 있으며 둘째론 작용-반작용이 있습니다.양력을 얻는 원리는 압력차에 의한 힘에 의한 것입니다. 비행체의 날개에서 주로 얻게되는데, 날개의 윗부분은 곡면으로, 아랫부분은 평평한 면으로 하여 윗부분에서 공기의 흐름, 유속을 빠르게 해줌으로써 압력을 낮추는 것입니다. 그러면 날개의 아랫부분에서 윗부분으로 힘을 받게되어 뜰 수 있습니다.작용-반작용은 프로펠러에서 공기들을 지면으로 밀어내는 힘으로 비행체가 뜨는것을 의미합니다. 프로펠러를 회전시켜 공기를 지면으로 수직하게 튕겨내면서 비행체가 뜨는것이죠. 이러한 원리로나는 물체는 드론, 헬리콥터 등이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3
0
0
사막이 밤에는 낮과 달리 추운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사막은 낮에 지열이 굉장히 강해져 고온을 유지합니다. 낮에는 햇빛이 비추고 땅의 열기가 상승하게됩니다. 하지만 밤이되면 땅의 열기가 금방 식으며, 열 공급원이 없기 때문에 온도가 급격히 떨어지죠. 그래서 일교차가 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3
0
0
선풍기를 24시간 내내 틀어놔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효율이 좋은 선풍기는 24시간 틀어놔도 괜찮습니다. 다만 모터에 과열이 언제 어떻게 발생할지 모르니 주기적으로 체크하시는 것이 좋으며, 너무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과열이 심해져 유해한 가스가 유발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어느정도 트셨다면 조금 식히고 다시 트는 것이 좋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7.13
0
0
82
83
84
85
86
87
88
89
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