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시뻘건무당벌레33
시뻘건무당벌레3323.07.13

껌의 성분은 무엇인가요? 왜 기름에 녹아요?

껌을 씹다가 기름기가 있는 음식을 같이 먹게 되면

껌이 녹아 없어집니다.

길가에 붙은 껌딱지도 기름으로 녹더라고요.

껌의 성분이 무엇이길래 기름에 녹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처음에 껌은 천연고무의 일종인 치클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초산비닐수지에 향료, 설탕, 감미료 따위를 첨가하여 만듭니다. 껌의 주 재료인 초산비닐수지는 석유를 정제할 때 휘발유와 경유 사이에서 정제되는 나프타를 분해, 정제한 물질인 에틸렌을 산소와 초산을 합성한 초산비닐(모노머)과 중합시켜 만듭니다. 따라서 친유성 물질입니다. 따라서 껌을 기름즉 친유성 물질에 넣으면 함께 녹으면서 섞이게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껌의 수지 성분이 주 성분이기 때문입니다. 이 성분이 기름에 녹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한번쯤 껌과 초콜릿을 드셨보셨을지는 모르겠지만, 껌과 초콜릿을 함께 드셔보면 껌이 흐물흐물 녹음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이유는 초콜릿은 유분이 풍부한 과자기 때문에 껌과 초콜릿을 같이먹으면 초콜릿의 기름성분이 껌의 접착력을 떨어뜨리기 때문이죠.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껌의 주성분은 치클입니다. 치클은 중앙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의 사포딜라나무에서 추출한 천연고무입니다치클은 기름에 잘 녹는 성질이 있습니다 그래서 기름기가 있는 음식을 먹거나 기름을 바르면 껌이 녹아 없어집니다


  • 껌은 기름에 녹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껌이 묻은 자리에 기름을 바르면 떨어뜨릴 수 있다고 합니다. 껌의 성분 중에서도 접착성과 찐득함을 유지해주는 성분이 무극성 물질인데, 이러한 무극성 물질이라고 하면 기름이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껌과 기름이 만나게 되면 쉽게 녹게 됩니다.


  • 껌에는 식품 첨가물로 알려진 여러 가지 성분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첨가물은 껌의 특성을 개선하고 맛과 향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감미료, 식이 섬유, 색소, 감미제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껌은 구조적으로 탄력을 유지하고, 씹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기밀제로 알려진 탄화수소 화합물을 포함합니다. 일반적으로 껌에 사용되는 주요 기밀제는 스티레이트(gum base)로 알려진 재료입니다. 스티레이트는 천연 수지, 천연 고무 또는 합성 고무 등을 기반으로 제조됩니다.

    껌이 기름에 녹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껌의 기밀제는 일부 경우에 기름에 녹을 수 있는 특성을 가질 수 있습니다. 이는 기밀제 성분이 기름과 상호작용하여 혼합되는 결과로 나타납니다. 기밀제 성분은 기름에 녹을 수 있는 특정한 화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껌이 높은 온도에 노출되면 기밀제 성분이 부분적으로 녹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온도가 높은 환경에서 껌을 보관하거나 사용하면, 껌의 기밀제 성분이 기름과 상호작용하여 녹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껌은 천연고무 성분인 치클이 주 재료로 만들어집니다.

    이 치클이 기름과 만나면 녹게되는데 바로 이 성질때문에 기름기 있는 음식을 먹을 경우 껌이 녹게되는 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