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하염없이 우는 매미
하염없이 우는 매미23.07.13

비가 올 때 수막현상이 일어나는 원리에 대해서 알고 싶네요.

비가 많이 올 때 도로에서 자동차를 운전하다 보면 바퀴가 헛도는 경험을 한 번씩이라도 해보셨을 건데 이런걸 수막현상이라고 하던데 이런 수막 현상이 일어난 원리에 대해서 알고 싶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저희 아파트 지하주차장도 수막현상떄문에 사고가 몇 번 났었는데요..

    범인은..표면장력이며..주로 액체의 표면에서 나타나지만 기체에서도 일어 난답니다.

    수막현상은 이러한 표면장력의 작용으로 발생하는 것입니다.

    액체가 표면에 닿아 있는 경우, 표면에 위치한 분자들은 주변 분자들과의 인력으로 인해 내부로 들어가는 경향을 가지지만,

    동시에 표면장력에 의해 표면을 최소화하려고 합니다.

    이 결과로 인해 액체는 표면에 작은 덩어리를 형성하거나, 구형 모양의 드롭 형태로 유지될 수 있구요..

    그러다보니..원래 자동차 바퀴와 바닥면의 마찰로 인해 제동이 걸려야 하는데..그 사이에 이런 표면장력 영향을 받은 물 분자가 깔려있으면

    윤활역할을 하게되어 미끄러짐 현상이 증가할 수 있답니다.

    비올때는 역쉬 천천히 속도를 낮추는 것이 최곱니다. ㅎ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비가오게되면 땅이 물에 젖게되고, 물의 표면장력으로 인해 수막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마치 코팅 막처럼 얇게 막을 지는 현상이죠.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수막 현상은 비가 많이 올 때 도로에 물이 고이면서 타이어와 도로 사이에 얇은 물막이 생기는 것을 말합니다 이 물막이 생기면 타이어가 도로와 제대로 접촉하지 못하고 미끄러지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