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딥페이크기술은 어떤 원리로 구현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딥페이크는 합성과 같은 기술입니다. 흔히 포토샵을 이용해 합성하고 보정하는 작업을 하는데, 딥페이크도 이와 같은 원리입니다. 사진이나 영상에 전혀 다른 두 사진이나 영상을 합성하여 만들어낸 것이죠.
학문 /
전기·전자
23.07.11
0
0
물속에 있으면 손과 발의 표면이 쭈글쭈글해지는데, 이런현상은 왜 생기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보통 손이 쭈글해지는 이유가 삼투압 때문이라고도 합니다. 손이 쭈글해지는 이유는 삼투압 때문이라는 말도 있지만, 자율신경계의 반응에 의해 물이 닿으면서 혈관이 수축해 쭈글해진다는 연구결과도있습니다. 이때 연구자는 손이 마비된 사람의 손이 물에 한참 있어도 쭈글해지지 않는것을 보고 연구를 하여 얻어낸 결과입니다. 삼투압에 의해서라면 마비되든 되지않았든 삼투압에 의해 쭈글해져야 하지만 결과는 그렇지 않았죠. 즉, 자율신경계 반응에 의해 손이 쭈글해집니다.
학문 /
토목공학
23.07.11
0
0
해류가 변할 수 있나요?(속도 말고 방향)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해류의 경우 전지구적으로 매년 거의 패턴이 있는 흐름을 갖습니다. 계절에 따라, 해류의 흐름이 변할 수 있습니다. 또한, 부분적 지역적으로 온도나 바람 등에 의한 변화로 인해 해류(속도나 방향)가 변할 수도 있습니다.
학문 /
토목공학
23.07.11
0
0
목욕을 하거나 수영하면 왜 손가락이 쭈글해지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손이 쭈글해지는 이유는 삼투압 때문이라는 말도 있지만, 자율신경계의 반응에 의해 물이 닿으면서 혈관이 수축해 쭈글해진다는 연구결과도있습니다. 이때 연구자는 손이 마비된 사람의 손이 물에 한참 있어도 쭈글해지지 않는것을 보고 연구를 하여 얻어낸 결과입니다. 삼투압에 의해서라면 마비되든 되지않았든 삼투압에 의해 쭈글해져야 하지만 결과는 그렇지 않았습니다.
학문 /
물리
23.07.11
0
0
빛의 색에 따른 광합성량을 비교하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광합성의 경우 자외선 영역대의 빛이 필요할 것입니다.빛의 색(빛의 파장)에 따른 광합성량을 비교하고자하면 먼저 크게 3분류로 적외선, 가시광선, 자외선 3가지로 나눠 실험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적외선 LED, 가시광선은 우리가 알고있는 백색광 LED를 구입하시면 되고, 자외선 LED 이렇게 구매하여 암막으로 가리고 암막속에 각각의 LED를 넣어 환경을 조성하여 실험하시면 좋을듯합니다.
학문 /
화학
23.07.10
0
3
과거에 화성에서 생명체의 생존가능성이 가장 높다는 말이 있었는데 현재는 어떤상태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 외에 다른 행성에서 생명체의 가능성을 찾기위해 탐사를 하여 물, 산소, 유기물 등을 찾고 있습니다. 또한, 우리와 다르게 존재할 수 있는 생명체도 염두하여 가능성을 열어둔 탐사도 수행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 발견하진 못했죠. 화성탐사로봇이 있으며 아직 생명의 흔적을 발견하지 못했습니다. 금성의 경우도 이산화탄소로 된 대기가 두껍고 온도가 높기 때문에 생명체의 가능성이 거의 없다고 보셔도 되며, 지속적으로 탐사하고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0
0
0
우주는 팽창하고 있다고하던데, 무한하게 팽창할 공간이 있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우주가 팽창하는 것으로 봐서 계속해서 공간이 확장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이를 방해하는 외부의 어떤 공간이 없음을 알 수 있습니다. 물론 우주가 계속해서 팽창 할지, 아니면 팽창을 멈추고 평탄한 우주가 될지, 팽창을 멈추고 수축을 시작할지는 아직 연구중에 있으며 어떤 우주가 될지는 미지합니다. 현재 우주는 이러한 변화가 일어나기 전인 변곡점에 걸쳐 있는것으로 연구가 되고 있습니다. 현재 물질과 빛의 양의 밀도를 계산하여 우주가 팽창할것이라 추정도하지만 아직 밝혀지지 않은 암흑에너지와 암흑물질의 양의 정도에 따라 우주가 어떻게 변할지 바뀔 수 있습니다. 그래서 아직은 미지의 영역이고 앞으로 암흑물질과 암흑에너지를 연구하여 밝혀냄으로써 우주의 미래도 예측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0
0
0
관성 뉴턴 제 1법칙 관련 문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맞는 말입니다. 관성이란 이상적인 상황(마찰이나 저항이 없는 상황)에서 어떤 기준점에 대해 일정한 속력으로 움직이는 물체는 영원히 움직이는 것이고, 정지해 있는 물체는 영원히 정지해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힘이 작용한다는 의미는 물체의 상태를 변화시킴을 의미합니다. 움직이던 물체가 멈추거나 더 빨리 움직이게 하기 위해서는 외부에서 힘이 필요하죠. 즉, 상태의 변화가 발생합니다. 그런데, 관성이란 것은 특정한 상태(일정한 속력으로 움직이거나 멈춤)가 지속됨을 의미합니다. 외부에서 힘을 작용하게 되면 상태의 지속이 깨지기 때문에 관성이 없어진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관성이 없어진다 이러한 표현은 잘 쓰진 않습니다.
학문 /
물리
23.07.10
0
0
드라이아이스의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드라이아이스는 이산화탄소가 고체 상태로 존재하는 것입니다. 마치 물이 얼어있는 상태와 같습니다. 드라이아이스는 이산화탄소가 고체가 되는 점인 영하 78도 이하의 온도로 존재합니다. 이것이 물에 들어가면 열을 빼앗기며 녹게 되어 승화(고체->기체)가 일어나 이산화탄소 연기(기체)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학문 /
화학
23.07.10
0
0
몸 나이는 대략 몇살부터 노화가 시작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20대 중반에서 후반부터는 노화가 시작되는 나이입니다. 그래서 신체 노화로 인해 탄력을 조금씩 잃게 되죠. 그리고 살이 많은 부분에서 쳐짐 증상이 도드라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노화는 뇌, 신체적인 노화를 의미합니다.
학문 /
화학
23.07.10
0
0
82
83
84
85
86
87
88
89
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