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날이 더울때 샤워를 찬물샤워, 따뜻한물샤워 어떤게 과학적으로 체온조절을 하는데 적절한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날이 더울 때에는 체온도 어느정도 올라간 상태이기 때문에 땀을 흘립니다. 이러한 체온을 떨어뜨리기에 적합한 것은 따뜻한 물보다 시원한물이나 찬물입니다. 그래서 여름에 무덥거나 땀을 많이 흘릴 때에는 시원한 물이 좋습니다.
학문 /
화학
23.07.10
0
0
해무리는 신기하던데 어떤 원리로 생기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해무리는 습기가 많거나 안개가 조금 꼇을 때 볼 수 있습니다. 해무리는 태양(해) 주변에 생기는 무지개로, 원으로 형성됩니다. 해무리가 발생하는 이유는 프리즘 역할을 하는 수증기 때문입니다. 수증기, 즉, 아주 작은 물 방울들이 태양 빛(백색광)을 빨주노초파남보 처럼 파장별로 빛을 분산시킵니다. 그리고 이러한 수증기는 태양이 떠있는 하늘 주변에 거의 균일하게 있기 때문에 동그랗게 띠를 형성하며 프리즘 역할을 하는 것이죠. 이러한 빛이 우리 눈으로 들어오기 때문에 동그란 무지개 처럼 보이는 것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0
0
0
벌레들이 불빛을 좋아하는 원인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주광성 벌레들이라고 하죠. 흔히 나방 같은 종류의 벌레들은 빛을 보면 마구 달려듭니다. 이들은 어두움 밤에 먹이를 찾거나 길을 찾을 때 빛을 이용하는데, 이 빛이 하나의 방향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이러한 벌레들은 밝은 곳이면 달려드는데, 불에도 벌레들이 달려들어 불의 열기에 죽기도합니다. 그래서 열을 감지하진 못하죠. 또한 벌레들은 눈이 있기 때문에 빛을 보기도하며 인지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빛으로 달려듭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0
0
0
공학용 계산기는 일반 계산기와 많이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일반 계산기의 경우 루트값은 계산할 수 있지만, cos, sin, tan와 같은 특수 함수의 값을 도출하기는 어렵습니다. 만약 질문자님께서 테일러전개를 잘 이해하시고 계신다면 일반 계산기로 수치를 뽑아내도 괜찮을 듯 합니다.
학문 /
기계공학
23.07.10
0
0
쌍곡선 구조가 직선 구조에 비해 안정적인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보통 중력장 내에서 줄이나 선, 어떠한 고체 구조물이 갖는 가장 안정적인 형태는 cosh(hyperbolic cosine) 함수의 형태를 띱니다. 이러한 함수는 exp(x)+exp(-x)와 같은 형태이며, 쌍곡선의 형태를 띠죠. 건축물 중 현수교가 대표적입니다. 만약 현수교의 양끝단이 고정되어 다리를 형성할 경우 다리의 길이나 양 끝단의 각도에 의해 곡률이 결정됩니다. 즉, 곡률은 변할 수 있죠. 만약 이러한 모양을 거스르면 가장 안정적인 모양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학문 /
토목공학
23.07.10
0
0
별의 색이 다 다른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붉은색 계열의 빛에서 푸른색 계열의 빛으로 변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색깔을 띠는 이유는 별에서 발생하는 핵융합 반응에 의해 방출되는 빛의 파장이 온도에 따라 다르기 때문입니다. 별이 크거나, 핵융합 반응을 활발히 하면 굉장히 뜨거워져 푸른색 계열의 파장 빛을 방출하여 푸르게 보이며, 반대의 경우에는 붉은색 계열의 파장 빛을 방출합니다. 그래서 별마다 색깔이 다른 이유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0
0
0
단 음료수를 얼려서 먹게 되면, 윗부분에 단맛이 강하게 되고 밑부분은 단맛이 덜하게 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음료가 얼면서 당성분은 함께 얼지 않고 액체 부분으로 밀려나오기 때문입니다.음료가 얼 때 음료 중 물성분이 얼게되는데, 물에 섞여있는 당 성분은 얼음 사이에 끼워져 같이 얼수도 있지만, 대부분은 얼음 바깥으로 밀려나 액체에 녹아들게 됩니다. 그러면 액체부분의 당 농도가 높아지며 더 달게 느끼는 것이죠.
학문 /
화학
23.07.10
0
0
기압에 따라 물의 끓는점이 달라지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산이나 고지대에서는 공기의 기압(압력)이 떨어집니다. 압력이 감소하면 액체의 끓는점이 낮아지게 됩니다. 그래서 밥이 설익게 되는 것이죠.물이나 액체가 끓어 기체가 되는 것은 분자간 인력(전기력)을 끊고 자유로워지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 액체를 누르는 공기 압력이 강해지면 자유로워지는데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고 압력이 약해지면 더 쉽게 자유로워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기압이 낮아지면 기체가 되는데 비교적 쉬워져 끓는점이 낮아지는 것이죠.그리고 산에서는 밥을 지을 때 돌을 얹혀놔 압력을 강하게 만들어줘 밥이 잘 익습니다.
학문 /
화학
23.07.10
0
0
나라나 지역에 따라 바다 색이 다른 이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먼저, 바닷물이 파란 이유는 파장이 긴 붉은색 계열의 빛은 투과가 잘되고, 파장이 짧은 파란색 계열의 빛이 산란이 잘되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산란은 물 분자와 빛과의 상호작용으로 빛의 경로가 뒤틀리는 현상입니다. 그래서 파란 빛이 물 분자에 산란되어 여기저기 튀다가 수면밖으로 나와 우리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바닷물이 파랗게 보이는 것이죠.또한, 바다의 깊이에 따라 푸른 색이 미묘하게 달라집니다. 바다의 깊이가 깊어질수록 짙은 파란색이 됩니다. 또한, 해수면에나 바다 속 생물의 영향도 받습니다. 해수에는 녹조류, 갈조류, 홍조류 등이 존재하는데, 수심이 얕은 곳에서부터 깊은 곳까지 녹조류, 갈조류, 홍조류 순으로 존재합니다. 이러한 요인에 의해 바다의 색이 달라져 보일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0
0
0
불이 타오를때 불 속의 색깔이 조금씩 달라지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붉은색 계열의 빛에서 푸른색 계열의 빛으로 변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빛의 색도 연속적이고 온도의 색도 연속적이라 대략적인 영역별로 구분을 해보겠습니다. 빨강, 주황색 : 600~800℃노란색 : 800~1300℃백색 : 1300~1500℃파란 : 1500℃~ 이렇게 색깔을 띠는 이유는 불에 의해 공기가 뜨거워지면서 방출되는 빛의 파장이 온도에 따라 다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물질의 종류에 따라 연소하면서 방출하는 빛이 다를 수 있으며, 불의 색으로 이어지기도 합니다. 예시로 금속의 불꽃색이 있습니다. 리튬-빨간색, 나트륨-노란색, 칼륨-보라색, 구리-청록색을 띱니다. 특히 칼륨, 구리의 불꽃 색은 흔히 볼 수 없으며 보고 있으면 신비로움을 자아내기도 합니다.
학문 /
화학
23.07.10
0
0
91
92
93
94
95
96
97
98
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