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잘난나무늘보98
잘난나무늘보9823.07.10

별의 색이 다 다른이유는 무엇인가요

밤하늘에 별을 자주보는데요 별마다 색깔이 다른거같더라고요 정말 별마다 색이 다른가요??그리고 별마다 색깔이 다르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붉은색 계열의 빛에서 푸른색 계열의 빛으로 변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색깔을 띠는 이유는 별에서 발생하는 핵융합 반응에 의해 방출되는 빛의 파장이 온도에 따라 다르기 때문입니다. 별이 크거나, 핵융합 반응을 활발히 하면 굉장히 뜨거워져 푸른색 계열의 파장 빛을 방출하여 푸르게 보이며, 반대의 경우에는 붉은색 계열의 파장 빛을 방출합니다. 그래서 별마다 색깔이 다른 이유죠.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별의 색은 주로 별의 표면 온도에 의해 결정됩니다. 높은 온도의 별은 푸른색이거나 흰색에 가까운 색으로 보이며, 낮은 온도의 별은 주로 빨간색이거나 주홍색에 가까운 색으로 보입니다. 또한 별의 스펙트럼은 별의 중심 온도와 관련이 있습니다. 별은 주로 수소와 헬륨 등의 원자로 이루어진 가스입니다. 별의 온도가 높을수록 스펙트럼에서 더 많은 에너지를 방출하며, 이는 색상으로 나타납니다. 예를 들어, 빨간색의 별은 스펙트럼에서 낮은 온도를 나타내며, 푸른색의 별은 스펙트럼에서 높은 온도를 나타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밤하늘에 보이는 별들은 모두 색깔이 다릅니다 별의 색깔은 별의 표면 온도에 따라 결정됩니다 표면 온도가 높은 별은 푸른색을 띠고 표면 온도가 낮은 별은 붉은색을 띠게 됩니다


  • 별의 색깔은 주로 별의 온도에 의해 결정됩니다. 높은 온도의 별은 주로 파란색이나 흰색으로 보이며, 낮은 온도의 별은 주로 노란색, 주황색, 빨간색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온도와 색상 간의 관계는 플랑크의 법칙과 별의 복사 스펙트럼 분석에 근거합니다.

    플랑크의 법칙은 물체의 온도와 그에 따른 복사 에너지 스펙트럼 간의 관계를 설명합니다. 물체의 온도가 높을수록 더 많은 에너지를 높은 주파수(짧은 파장)에서 방출하며, 이는 파란색 또는 흰색으로 인식될 수 있습니다. 반면에 낮은 온도에서는 더 적은 에너지가 낮은 주파수(긴 파장)에서 방출되며, 이는 주로 노란색, 주황색 또는 빨간색으로 인식됩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별은 온도에 따라서 빛깔이 다릅니다. 온도가 높은 별은 붉은색에서 흰색으로 변하고 온도가 아주 높으면 푸르스름해집니다. 이처럼 푸르스름한 별은 수만 ℃나 됩니다. 어두운 곳에서 숯이나 철 등의 온도를 높여 가면 점점 뜨거워져서 희미하게 검붉은색이 되고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빨간색, 오렌지색, 노란색, 흰색, 청색, 보라색으로 변해 갑니다.

    별의 온도는 몇 ℃ 일까?

    토끼자리의 R이라는 짙은 다홍빛의 6등성은 약 2,500℃, 안타레스 등의 빨간 별은 2,500~3,000℃, 노란색의 태양은 6,000℃, 시리우스는 10,000℃ 정도의 파란빛을 냅니다. 그런가 하면 오리온자리 부근에는 고온의 별들이 많아서 35,000℃나 되는 별도 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