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하늘을 나는 비행기는 번개를 맞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비행기는 번개가 치는 대류권이 아닌 성층권에서 날아다닙니다. 성층권에는 대류현상이 없기 때문에 안전하게 운항이 가능한 것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06
0
0
숯을 물속에 담구면 왜 기포가 생성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숯은 보통 나무를 태워 만든 것으로 공기를 머금을 수 있는 공간이 많이 존재합니다. 숯을 보면 빈 공간이 많이 보이는 보실 수 있습니다. 또한 현미경으로 보아도 공간이 많이 보임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구글이나 네이버에 숯 현미경만 쳐도 보실 수 있습니다.이러한 공간에 있던 공기들이 수면위로 올라오기 때문에 기포가 뽀글뽀글 생기는 것입니다.
학문 /
화학
23.07.06
0
0
알콜은 어떤 작용을 해서 세균 및 바이러스는 없앨 수 있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보통 알코올 농도 70퍼 정도면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죽이는데 효율적인 농도라고 합니다. 알코올 세정제에 함유된 에탄올은 바이러스의 외피를 녹일 수 있습니다. 바이러스의 외피를 녹여 죽이거나 증식을 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소독효과를 보는것이죠.
학문 /
화학공학
23.07.06
0
0
태양계에 있는 행성들을 현대의 기술로 모두 탐색할 수는 없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힘들고 어려운일입니다. 하지만, 시도는 하고있습니다. NASA에서는 뉴호라이즌호를 태양계 끝자락에 있는 명왕성을 탐사하기위해 보냈습니다. 또한, 천왕성, 토성 등과 같은 행성에도 보내고 있죠. 하지만 보낸다고해서 100% 탐사가 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연료의 문제도 있으며, 목적지에 도달하기 까지 어떤 일이 발생할지도 모르기 때문이죠. 또한, 행성에 무사히 착륙하여 탐사가 가능해야하며 관측된 자료도 제대로 지구로 송신해야하는 문제도 존재합니다. 이러한것들이 완전히 이루어질 때까지 연구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06
0
0
고추마다 뭐가 차이나야 맵고 안맵고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보통 우리나라 고추의 경우 크기가 큰 고추는 오이고추일 가능성이 높으며 맵기도 훨씬 덜합니다. 크기가 작은 것은 청양고추이죠. 매운 성분을 발휘하는 캡사이신이 밀도있게 있냐 없냐로 생각할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크기만 보고 100% 맵다, 안맵다를 판단하기는 어렵습니다. 크기가 커도 캡사이신이 많이 함유된 것이 있을 수 있으며 매울 수 있습니다.
학문 /
토목공학
23.07.06
0
0
아르키메데스가 로마군 상대로 만든 군사기구는 어떤 원리의 기구들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1. 방패에 태양빛 모아서 배 불태우기- 이는 오목거울이 빛을 모으는 성질을 이용한 것입니다. 빛은 직진성을 띠며, 물체에 닿으면 반사하기도 합니다. 오목거울의 경우 들어오는 빛을 모으는 성질이 있어, 초점만 잘 맞추면 태양빛을 한곳으로 모아 불을 지필 수 있습니다.2. 큰 갈고리를 배에 꽂아서 들어올리기- 이는 도르레의 원리입니다. 도르레는 작은 힘으로 큰 힘을 발휘할 수 있는 기구입니다. 갈고리를 배에 꽂아 들어올리려면 배가 크기 때문에 굉장히 큰 힘이 듭니다. 하지만 도르레의 방식을 이용하면 힘을 절반, 절반의 절반, 또 그의 절반 식으로 약한 힘을 들여 큰힘을 발휘할 수 있죠.
학문 /
전기·전자
23.07.06
0
0
요즘 우리나라에 비가 많이 오는게 엘니뇨 현상 때문이라는데...이게 뭐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적도 부근 열대 태평양은 지구상에서 가장 많은 태양에너지가 유입되는 곳입니다. 평소 태평양의 서쪽은 해수면 온도는 상대적으로 높고 태평양의 동쪽은 낮은 해수면온도 분포를 보입니다. 엘리뇨가 나타나는 이유는 무역풍이 약화됨에 따라 평상시 바다 밑에서 올라오던 차가운 물이 상승하지 못하게 되어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차가운 물이 상승하지 못하여 태평양의 동쪽 해수면 온도가 평상시보다 높은 상태로 지속되는 현상이며 이를 엘니뇨라고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06
0
0
라니냐는 또 뭐죠? 기상관련해서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적도 부근 열대 태평양은 지구상에서 가장 많은 태양에너지가 유입되는 곳입니다. 평소 태평양의 서쪽은 해수면 온도는 상대적으로 높고 태평양의 동쪽은 낮은 해수면온도 분포를 보입니다. 엘리뇨가 나타나는 이유는 무역풍이 약화됨에 따라 평상시 바다 밑에서 올라오던 차가운 물이 상승하지 못하게 되어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차가운 물이 상승하지 못하여 태평양의 동쪽 해수면 온도가 평상시보다 높은 상태로 지속되는 현상이 바로 엘니뇨입니다.라니냐의 경우는 엘니뇨와 반대로 무역풍이 강화되면서 발생되는 현상으로 서태평양의 수온이 상승하고 동태평양의 수온이 하강하며 발생하는 현상입니다.엘니뇨(라니냐)로 인해 그 주변 지역의 기후현상이 달라집니다. 엘니뇨(라니냐)에 의해 비가 적게 내리던 지역에 비가 많이 내리기도하며 평소 비가 오던 지역에 가뭄이 찾아오기도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06
0
0
바다의 색깔은 왜 모두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바다의 색이 미묘하게 다른이유는 바다에 있는 미생물체의 종류, 미네랄의 종류에 따라 미묘하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바다에는 녹조류, 갈조류, 홍조류 등의 미생물체가 존재하며 이들이 있는 정도에 따라 색이 달라질 수 있으며, 바다에 녹아있거나 바다 밑바닥에 존재하는 미네랄에 의해 색이 달라질 수도 있습니다.또한, 바다의 깊이에 따라 푸른 색이 미묘하게 달라집니다. 바다의 깊이가 깊어질수록 짙은 파란색이 됩니다. 또한, 해수면에나 바다 속 생물의 영향도 받습니다. 해수에는 녹조류, 갈조류, 홍조류 등이 존재하는데, 수심이 얕은 곳에서부터 깊은 곳까지 녹조류, 갈조류, 홍조류 순으로 존재합니다. 이러한 요인에 의해 바다의 색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06
0
0
뉴스 기사에서 확인 한 전리층은 무슨 뜻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과 같은 별에서는 고에너지를 가진 빛부터 저에너지를 가진 빛까지 다양한 빛이 나옵니다. 이러한 빛중 높은 에너지의 빛이 행성에 존재하는 대기의 분자를 이온화(+, -극으로 나뉨)시킬 수 있습니다. 보통 행성의 대기층 중 높은 고도에 위치한 대기가 먼저 별 빛에 노출되기 때문에 이온화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층을 전리층이라고 부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06
0
0
91
92
93
94
95
96
97
98
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