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빛의 속도 다음으로 빠른 물질은 어떤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빛의 속력은 질량이 0인 물질의 속력이며 빛, 중력파는 빛의 속력을 가집니다.질량이 있는 물질의 경우 속력을 낼 수 있는 한계가 빛의 속력 미만이며, 가벼운 질량을 가진 물체의 경우 빛의 속력에 접근할 정도로 빠른 속력가지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속력을 측정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도플러효과를 사용하는 원리, 물체와 충돌시켜 에너지를 측정해 속력을 찾는 원리, 관측을 통해 시간, 이동 거리를 측정하는 원리 등 다양하게 존재합니다.
학문 /
화학
23.07.06
0
0
구름에서 어떻게 전기?번개가 생기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구름에는 전자(-)가 분포하는데, 전자가 많아지면 땅과 구름사이에 전압이 높아져 공기를 타고 전자가 이동(전류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즉, 번개가 치는것이죠.이 때 전자가 지면으로 이동하면서 공기중에 있는 원자, 분자와 충돌하게 되며 빛이 발생하고 주변 공기를 압축시키거나 수축시켜 진동을 일으키며 천둥소리가 나는 것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06
0
0
내 목소리가 내가 알고 있는 목소리과 실제 녹음하고 듣는 목소리가 차이나는 원리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소리의 전달 경로 때문입니다. 본인이 말하는 목소리는 목과 입의 진동으로 본인의 몸과 얼굴을 거쳐 귀로 전달되는 소리입니다. 녹음을 한 목소리는 목과 입의 진동소리가 공기를 타고 녹음기로 들어간 소리입니다. 이처럼 소리의 전달 경로가 달라지면서 목소리가 달라져 들립니다.
학문 /
화학
23.07.06
0
0
우주에서 가장 큰 별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현재까지 발견된 별 중 큰 별은 스티븐슨2-18(Stephenson2-18)입니다. 이 별은 지구로부터 18900광년 떨어져 있는 별이며 방패자리에 위치한 별입니다. 반지름은 태양의 2150배 정도가 되며, 질량은 태양의 7~10배 정도로 추정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06
0
0
이글루는 어떤 원리로 따뜻한 온기를 보존할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사실 얼음은 상당한 단열효과가있습니다. 이글루의 벽이 얼음이라 차가워 보이지만 이글루의 외부의 냉기가 이글루로 들어오지 못합니다. 그래서 내부의 온도를 따뜻하게만 만들어 줄 수 있으며, 내부의 온도가 외부로 나가지 않고 보존되 따뜻하게 하룻밤을 보낼 수 있죠. 또한, 이글루의 벽은 얼음이기 때문에 얼음에 물을 조금씩 묻혀주면 물이 얼음이 되면서 열을 방출하는데, 이러한 열로도 따뜻함을 유지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06
0
0
냉장고의 냉기는 어떤 성분으로 만들어지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냉장고의 냉기는 공기의 온도를 떨어뜨려 차갑게 만든 것입니다. 어떤 특성 성분이 존재하는 것이 아닌 일반적인 공기입니다.냉장고의 냉기를 만들어 내는 원리는 에어컨과 비슷한 원리입니다.냉장고 내부의 공기가 순환하게되는데 순환하면서 냉각 과정을 거칩니다.공기가 냉매제가 있는 부분을 지나며 냉매제가 공기의 열을 빼앗아 기화되고 공기는 차가워지죠. 차가워진 공기를 냉장고 내부로 다시 내보내고 기화된 냉매제는 압축기와 응축기를 지나며 열을 방출해내 다시 액화되어 냉장고 내의 열기를 빼앗기를 반복합니다. 이렇게 지속적으로 작동하는 것이 냉장고나 에어컨의 원리가 되겠습니다.
학문 /
화학
23.07.06
0
0
반도인 국가가 우리말고 또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반도는 육지가 바다에 돌출되어 바다로 둘러쌓인 것을 말합니다.우리나라 외에도 스칸디나비아 반도, 이탈리아 반도, 아라비아 반도, 캄차카 반도, 이베리아 반도, 인도차이나 반도 등이 존재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06
0
0
전자레인지로 음식물을 데우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전자레인지에서 나오는 마이크로파는 특정파장과 진동수를 가지고 있는데 이 빛이 물 분자를 진동시키는데 적합한 진동수와 파장이기 때문에 물만 데워집니다. 유리잔을 떨리게 하는 진동수와 파장이 아닙니다. 그리고 마이크로파가 물 분자를 진동시키는 원리는 물분자는 전기적 극성을 가지고 있는데, 극성을 가진 물 분자는 마이크로파(전자기파=빛)와 상호작용하며 빠른 속도로 왕복운동을 하며 진동하는 원리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7.06
0
0
보기 좋은 떡이 맛도 좋다 과학적으로 설명 가능한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사람의 뇌는 착시, 착각에 잘 속습니다. 그래서 같은 맛의 음식이라도 플레이팅이 잘되거나 먹음직스러워보이면 더 맛있게 느낍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7.04
0
0
나는자연인이다 방송처럼 산속에서 사는 것이 과학적으로 인체건강에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음 산속에 살면 여러 장점이 있습니다. 맑은 공기 덕에 폐 건강을 지킬 수 있으며, 다른 질병에 접촉할 일이 거의 없어 병에 걸릴 확률도 줄어듭니다. 하지만, 다치거나 어떤 병에 걸렸을 때 치료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단점도 존재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7.04
0
0
91
92
93
94
95
96
97
98
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