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보험
자격증
복리 이자계산법에 대해 쉽게 설명해 주실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영주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복리는 쉽게 이야기 하여 이자에도 이자가 붙는 구조입니다. 단리와 비교해보면연 이율이 10%이고 100만원을 납입을 할 경우 첫해단리: 100만원복리: 100만원둘째 해단리: 100만원+10만원(이자)=110만원복리: 100만원+10만원(이자)=110만원셋째 해단리: 100만원+10만원(이자)+10만원(이자)=120만원복리: 100만원+10만원(이자)+11만원(이자)=121만원넷째 해단리: 100만원+10만원(이자)+10만원(이자)+10만원(이자)=130만원복리: 100만원+10만원(이자)+11만원(이자)+12.1만원(이자)=133.1만원이처럼 복리 구조는 이자에 이자가 붙어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단리와 격차가 커지게 됩니다.
경제 /
예금·적금
23.03.31
0
0
미국금리를 한국금리가 따라가지 못하는 이유
안녕하세요. 김영주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가장 큰 이유는 기존까지 대출을 변동 금리로 받은 사람들이 많기 때문입니다.변동 금리로 대출을 받게 되면 일정한 시기마다 기준 금리에 맞춰서 부담해야 할 이자가 변동합니다. 그런데 이 기준 금리를 너무 빠르게 인상하게 되면 대출의 이자를 내고 있던 사람들이 갑자기 상환에 부담을 느끼기 시작할 것입니다.최악의 경우 그들이 상환을 못하고 파산에 몰리게 되면 대한민국의 경제는 훨씬 큰 혼란이 발생할 것 입니다.무엇보다 주택담보대출 중 상당 부분이 변동 금리라서 금리 인상이 가파르면 부동산 시장 역시 큰 침체에 놓이게 될 수 있습니다.국민들이 경제적으로 건전하지 못하는 상황이 많아지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미국 만큼 과도한 금리 인상이 어려운 것 입니다,
경제 /
대출
23.03.31
0
0
매일 원달러 환율이 변화는데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영주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실시간으로 달러와 원화가 교환되는데 이때 정해진 가격에서 거래되는 방식이 아니라 실시간으로 시장에서 공급자와 수요자가 만나 가격을 결정하는 방식을 취하기 때문에 가격이 계속해서 변동하게 됩니다. 이때 일반적으로 국내에 달러 보유량이 적어지게 되면 국내 달러 수요가 증가하기에 원달러 환율이 상승하게 됩니다. 반대로 국내에 달러 보유량이 많아진다면 국내 달러 수요가 감소하게 되니 원달러 환율은 감소합니다.즉 만일 IMF에서 달러 수혈이 이루어진다면 원달러 환율은 아마 감소하지 않을까 예상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3.03.30
0
0
주식시세는 머가 기준인가요?실적.자산가치?
안녕하세요. 김영주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주식 시세, 즉 주가를 결정하는 것은 회사의 미래 가치입니다. 따라서 많은 요소들이 이에 영향을 미치는데 그 중 하나가 기업의 실적인 것입니다.물론 기업 실적이 매우 중요한 요소이긴 하나 현재의 회사가 적자를 내고 있다 하더라도 미래에 수익성이 기대가 된다면 그 기업의 주가는 오를 것이고 기업이 현재 아무리 수익을 많이 내고 있다고 하더라도 미래에 수익성이 안정적이지 않는다면 떨어질 수 있는 것이 주가입니다.따라서 재무제표는 주가가 적정한가에 대한 평가 기준을 제공할 수 있지만 주가를 결정하는 요인은 아닙니다.그러나 재무제표는 그 평가 기준 중 가장 명확한 기준이기에 주식을 분석할 때 매우 중요하게 확인되어야 합니다.주가 조작은 개인이나 기업이 의도적으로 거래량과 매수가격을 조정하여 시장에 영향을 주는 것을 의미합니다.예를 들어 평소에 1000원씩 100번의 횟수로 거래가 일어나던 주식이 어느날 갑자기 5000원에 2000번 거래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만일 이를 기업이나 개인과 같은 목적성을 띈 사람들이 의도적으로 일으켜 주가를 상승시켰다면 이는 주가 조작에 해당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03.30
0
0
은행 출금을 월활하게 하기위한 필수 보유금액??
안녕하세요. 김영주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은행에는 지급준비제도에 따라 전체 예금액의 일부를 현금으로 보유해야 합니다.대한민국의 법정 지급준비율은 7%입니다.
경제 /
예금·적금
23.03.28
0
0
일본환율이 급등한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영주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일반적으로 엔화는 화폐들 사이에서도 비교적 안전자산으로 인식되어 있습니다.미국의 경제상황이 불안정해지니 그 자금이 엔화로 향하게 되고 엔화 수요가 증가하면서 환율이 상승하였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03.28
0
0
펀드용어가 어려워서요.....
안녕하세요. 김영주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펀드는 쉽게 설명드리자면 주식을 분산투자해둔 주식묶음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이 주식묶음을 잘 배분하여 펀드매니저들이 운용합니다.이때 이 운용방향성이 주가지수(코스피, 코스닥, 나스닥 등)와 같이 시장에 있는 지수의 수익성을 따라가는 펀드를 인덱스펀드입니다.즉 코스피인덱스펀드는 코스피지수의 변화에 맞춰 최대한 비슷하게 운용됩니다.원래 펀드는 자산운용회사가 만들어서 증권사를 통해 유통하는 금융상품입니다. 그러나 이를 주식과 같이 증권거래소를 통해 거래가 되도록 만들어 둔 것이 ETF라 보시면 됩니다.
경제 /
경제용어
23.03.28
0
0
은행들이 파산을 하는데 코인 가격이 오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영주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은행이 파산한다는 의미는 현금의 가치가 불안하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현금의 가치가 불안정해지니 일부 투자자들이 이를 가상화폐가 대체할 것이라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습니다.따라서 현금의 대체재로 가상화폐에 자금이 몰리면서 가격이 상승하게 되었습니다.
경제 /
예금·적금
23.03.24
0
0
'메세나' 라는 용어에 대해서 설명 좀....
안녕하세요. 김영주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메세나는 기업이 문화, 예술에 관련된 공익활동을 지원하는 것을 의미합니다.기업이 주관하는 미술전시회나 콩쿨같은 행사가 이에 해당합니다.
경제 /
경제용어
23.03.24
0
0
미국의 계속된 금리 상승으로 인하여 은행이 파산하는 이유는 무었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영주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금리 인상시 은행이 파산 위기를 맞는 이유는 두가지 입니다. 하나는 금리 인상으로 인해 부실 대출이 생기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채권 가격의 하락입니다.은행이 대출을 내줄 경우 그 이자율이 금리 변동에 따라 결정되는 변동 금리로 대출을 내주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때, 금리 인상으로 인하여 대출을 받은 사람들의 부채 부담이 과도해 지고 이들이 파산 선언을 하게 되면 그들의 대출은 부실 대출로 변하게 됩니다. 이렇게 빌려준 돈을 받지 못하게 되고 이 사람들이 금리 인상으로 많아지면 은행도 자금이 부족해져 파산하게 됩니다.두번째 이유로 은행이 예금을 이용하여 채권에 투자하였을 때, 채권 가격이 떨어져 손실을 입은 경우입니다. 이 경우 예금보다 자산 가치가 하락하게 되어 예금을 상환할 수 없게 될 수 있습니다.두 경우가 시장에 공시되었을 경우 예금 가입자들은 불안감에 자금을 인출할 것이고 이들이 많아질수록 현금을 많이 소진해야 하기 때문에 유동성 부족으로 파산하게 될 수 있습니다.따라서 금리 인상이 은행에 무조건적으로 수익을 가져다 주지는 않습니다.
경제 /
대출
23.03.17
0
0
1
2
3
4
5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