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종교를 어떻게 정의하나요? 4대 종교라고 할 수 있는 것 중 기독교와 힌두교, 이슬람교는 믿는 신이 있지만 불교는 믿는 신이 없지 않은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종교는 신이나 부처 등 초자연적인 존재에 관한 신앙을 가리키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종교의 기본 요소는 신 · 부처 · 영(靈) · 법 · 원리 · 도 등으로 불리는 초월적 · 절대적 존재에 대한 체험입니다. 종교는 이러한 종교 경험을 핵으로 하여 그러한 경험을 공유하고 또한 공유하고자 하는 일정한 공동체(종교 집단)를 형성하게 됩니다.그러한 경험에 도달하기 위한, 혹은 그런 절대 경험을 서술하기 위한 교리적 · 이론적 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또한 기도, 예배, 수양 등 궁극적 실재와 만나거나 합일(合一)하기 위한 실천 체계를 갖습니다.여기서 종교는 인간이나 자연의 힘을 초월하는 존재에 대한 경험에 기반을 둔 교의 · 의례 · 시설 · 조직을 갖춘 사회 집단이라고도 정의할 수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10.07
0
0
재즈는 어느나라에서 생긴음악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재즈가 전문 음악가들에 의해서 본격적으로 연주되기 시작한 시기는 20세기에 들어서서 뉴올리안즈(New Orleans) 에서부터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 이전에는 노예들 사이에서 넓게 퍼져 불려지면 백인들이 배워 부르기도 하였으며, 음악적인 형태는 대개 단순한 가창곡이었습니다. 예를 들면 흑인 영가 (Negro Spiritual과 Gospelsong), 블루스 (Blues), 그리고 노동요(Worksong)등이 있으며, 이들은 나름대로의 독특한 음악형식과 감정표현이 내포되어 있어서 좋은 곡들은 후에 재즈 음악가들에 의해서 다시 불리워져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기도 하였습니다.
학문 /
음악
23.10.07
0
0
삼국지에 많은 영웅이 있었는데 유독 관우가 신으로 추대받는 이유?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왕이 된 관우는 명나라 때 비로소 신격화되는데, ‘영락제’는 자신의 정변을 정당화시키기 위해 관우의 도움으로 가능하였다고 하며 관우를 황제로 칭하게됩니다. 관우 숭배의 분위기는 더욱 뜨거워져 그를 신으로 존경하자는 주장이 대두되었고, 명 ‘무종’은 관우의 사당을 <충무묘>로 수정할 것을 조서로 내립니다. 관우 신앙은 청나라 때 가장 열렬하여 관우의 조부에게는 <유창왕>, 부친에게는 <성충왕>의 작위로 추존하였고, 앞서 언급한 것처럼 서태후조차 그를 깊이 숭상했다고 전합니다. 관우가 신이 되자, 중국의 황제들은 그들의 이름이 관우와 겹치지 않게 피휘(避諱)하며 조심할 정도였다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3.10.07
0
0
벌초를 하는 문화는 어떻게 해서 생긴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벌초는 조상의 묘소를 청소하고 관리하는 행사로, 조상을 기리고 그들에게 경의를 표현하는 행위입니다. 조상을 위한 음식과 의식을 제공하고 묘소를 정돈함으로써 조상들에게 예를 표하는 행위입니다.
학문 /
역사
23.10.07
0
0
레오나르도 다 빈치가 그린 그림에 어떤 과학적인 요소가 반영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레오나르도 다빈치는 자연과학적인 사고방식을 근거로 금기로 여겨지던 해부를 행하는 등 여러 시도를 통해 인체의 많은 부분들을 실질적으로 관찰하였는데그로인해 인간의 태아를 최초로 그린 사람이기도 하고 많은 해부 스케치를 남긴 바 있습니다.
학문 /
미술
23.10.07
0
0
가장 최초의 만들어졌던 피아노는 언제 만들어졌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709년 이탈리아의 바르톨로메오 크리스토포리(Bartolomeo Cristofori)라는 악기 제작자에 의해 만들어졌습니다. 그는 당시 피렌체를 대표하는 ‘메디치’ 가문을 위한 건반악기를 제작했는데, 원래는 당시 유행하고 있던 피아노의 전신인 하프시코드와 스피넷을 제작하려던 중 기존의 건반악기의 소리가 다소 둔탁해 단점을 보완한 새로운 방식의 건반악기를 만들었습니다.그렇게 탄생한 것이 ‘Piano e porte(피아노 에 포르테)’다. 원래 이름은 ‘클라비쳄발로 콜 피아노 에 포르테(clavicembalo col piano e forte)’로 해석하면 '부드럽고 큰 소리를 연주할 수 있는 하프시코드'라는 의미이며, 줄여서 ‘피아노 에 포르테’라고 부릅니다.
학문 /
음악
23.10.07
0
0
임진왜란 후 정유재란의 발생이유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정유재란은 일본의 재침략일 뿐만이 아니라 당시 일본의 권력구조와 무역환경과 연관된 '조선 남부 경상도 지역의 영토 확보와 무역재개'에 있었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입니다.
학문 /
역사
23.10.07
0
0
신성로마제국에 포함되어 있었던 국가는 어느 국가가 있으며, 주축 국가는 어디였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유럽사에서 중세와 근대를 통하여 중부 유럽에 거대한 제국을 형성한 나라가 신성로마제국(Holy Roman Empire)입니다. 제국의 범위는 독일,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스위스, 네덜란드, 벨기에, 프랑스서부(부르고뉴), 체코를 포함되었습니다.이 거대한 제국은 로마 교황청을 등에 업고 서로마제국을 대체했고, 교황청과 싸우기도 했으며, 한때는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가가 제국을 지배하며 유럽 최강국으로 부상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말년에는 볼테르(Voltaire)의 표현을 빌리면, 신성하지도 않고, 로마도 아니고, 제국도 아닌 것으로 전락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10.07
0
0
안타깝다라는 말의 어원이 안탁갑이라는 사람에게 유래했다는데 맞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안타깝다'의 설화는 경상북도 청송의 안탁갑이라는 처녀가 주인공입니다. 그녀는 임금과만 결혼하겠다고 고집하였고, 세종 대왕의 되었다고 합니다.그러나 신하들의 반대로 청파동으로 물러나게 되었고, 그래서 세종 대왕이 안탁갑을 애타게 그리워했다는 설화가 있습니다. 이 설화에서 '세종과 안탁갑의 사이 같다'라는 표현이 '안타깝다'로 진화했다는 것입니다.
학문 /
역사
23.10.07
0
0
세종대왕 때 이슬람에 대한 인식은 어떠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 지식인은 이슬람 세계관에 대한 관심과 기록이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슬람 문화나 인물에 대한 부정적 서술한 부분이 적지않게많아습니다.
학문 /
역사
23.10.07
0
0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