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예술가인가요 발명가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화가, 조각가, 발명가, 건축가, 과학자, 음악가, 공학자, 문학가, 해부학자, 지질학자, 천문학자, 식물학자, 역사가, 지리학자, 도시계획가, 집필가, 기술자, 요리사, 수학자, 의사 입니다.더이상 논할 것이 없는 위인 입니다
학문 /
미술
23.04.25
0
0
마부작침이란 고사성어는 어디에서 유래하였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도끼를 갈아서 바늘을 만든다. 아무리 이루기 힘든 일도 끊임없는 노력과 인내로 성공함. 끈기 있게 학문이나 일에 힘씀이백의 이야기에서 나옵니다학문을 위해 상의산(象宜山)에 들어갔던 이백이 공부에 싫증이 나 산에서 내려와 돌아오는 길에 한 노파가 냇가에서 바위에 도끼를 갈고 있는 모습을 보게 되었다. 이상하게 생각한 이백이 물었다. "할머니, 지금 무엇을 하고 계신 것입니까?" "바늘을 만들려고 한단다. " 노파의 대답을 들은 이백이 기가 막혀서 "도끼로 바늘을 만든단 말씀입니까?" 하고 큰 소리로 웃자, 노파는 가만히 이백을 쳐다보며 꾸짖듯 말하였다.라는 답변을 구하였습니다.
학문 /
문학
23.04.25
0
0
조선이 일본제국주의 침략에 의해 망하게 된 역사적 이유는 무엇이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기득권층이라고 불리는 양반들의 생각은 조선 말기에 접어들어 자신들의 권력을 지키기 위해 폐쇄적이었다고 하는 것인데요. 양반들의 폐쇄적인 생각은 변화되는 세계 정세에 신문물을 받아들아들이지 않았고 이는 결국 일제의 침략으로 이어진 것으로 보고 있다고 합니다.라는 답변을 구하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04.25
0
0
세종대왕의 왕릉은 어디에 위치해있는것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경기도 여주시 능서면 영릉로 269-50 입니다.영릉은 조선 제4대 세종대왕(재위 1418~1450)과 소헌왕후 심씨의 합장릉입니다영릉은 조선왕조의 능제를 가장 잘 나타내고 있는 능의 하나로서 합장릉임을 알 수 있는 두 개의 혼유석이 있고 봉분 둘레에 돌난간을 둘렀습니다.능을 두른 12개의 석주에는 12간지가 새겨져 있습니다. 낮으막한 산에 있으니 한번 다녀오세요
학문 /
역사
23.04.25
0
0
한국프로야구의 역사는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한국 야구의 역사는 1905년 시작되었다. 필립프 질레트(PhilipGillett, 미국) 선교사가 황성기독교청년회 의 회원들에게 야구를 가르친 것이 한국 야구의 시초가 되었으며, 1909년 창설된 도쿄 유학생팀 이 선풍적인 인기를 끌면서 한국 야구는 대중 스포츠로 진입했다.한국프로야구는 1982년 출범 이후 지금까지 선수와 팬이 함께 수많은 드라마를 써 내려오며 명실상부한 국내 최고의 인기 프로스포츠로 자리매김하였다. 라는 답변을 구하였습니다 .
학문 /
역사
23.04.25
0
0
지금은 슈퍼컴퓨터 등 과학기술 발달로 일기예보가 가능한데, 예전 서양과 동양에서는어떻게 예측했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 조상들은 동물들의 행동이나 구름, 하늘의 모양을 보고 날씨를 예견하기도 하였습니다.날씨에 관한 속담도 있습니다.이런 속담에도 과학의 원리가 숨어 있습니다. 서쪽 하늘에 물방울이 많으면 우리 나라 쪽으로 저기압이 이동하면서 비가 올 것으로 예상할 수 있고, 건조한 날에는 개구리가 물 속에 들어가 있지만 공기 중의 수증기가 많아져 습도가 높으면 수면 밖으로 나와 울기 때문입니다.서양도 비슷하지 않았나 판단 됩니다.
학문 /
역사
23.04.25
0
0
남해안에서 고기잡던 방식인 석방령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석방렴이라 합니다. 해안에 돌을 쌓아 밀물이 되면 고기가 같이 들어왔다가 썰물이 되면 물이 빠지면서 돌담에 남은 고기를 잡는 전통적인 고기잡이 방법입니다. 석방렴, 돌살, 쑤기담, 원담이라고도 합니다.
학문 /
역사
23.04.25
0
0
영조의 조 세종의 종 의 따라서 업적의 치부가 다른건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쉽게 설명 드리면조는 나라를 세운임금이고 종은 덕이 많은 임금이라 합니다.업적으로 따지는것은 아니라고 판단됩니다.
학문 /
역사
23.04.24
0
0
대한민국 최초의 개그맨은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개그맨으로 인정받은 최초의 연기인은 윤부길(尹富吉)이었다. 그가 개그맨으로 인정받은 것은 1940년에 창단되어 수준 높은 래퍼토리를 보여주었던 콜롬비아 가극단의 창단 멤버로 들어가면서부터였다. 라는 답변을 구하였습니다.
학문 /
음악
23.04.24
0
0
몽골군은 식량이 보르츠밖에 없었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먹을 때는 뜨거운 물이나 차를 준비한 다음, 보르츠를 주머니에서 약간 꺼내서 뜨거운 물에 넣고 불려 국을 만든다. 보통 엄지손가락 한두 마디 정도면 한 그릇 정도의 국이 나오고 이것으로 한 끼 단백질을 보충할 수 있다. 좀 더 여유가 있으면 소금 등을 가미했고, 맹물 대신 차나 젖에다 타서 먹었다.그리고ㅡ데려온 소, 양, 심지어 군마를 도축해 얻은 말고기와 말에서 뽑아낸 피랑 그 동물들의 젖을 급하면 먹는다거나 하는 다양한 방식으로 기동성을 살린 식량 보급을 해왔다. 사실 살코기만으로 만들어졌으니 단백질 비중이 너무 높아진다. 거기다 토끼고기 항목에도 나오는 내용이지만 단백질을 소화, 흡수하는데에도 꽤 많은 열량이 필요하기 때문에 지방이 없는 살코기를 다른 음식 없이 먹을 경우 영양 밸런스가 깨져서 역으로 기아 상태에 빠질 수도 있다. 아무튼 며칠 이상 이것만 먹는다고 가정하면 날 때부터 가축에 모든 식량을 의존해온 유목민들이 아니면, 아니 유목민조차 영양 성분의 문제로 인해 얼마 못가 도저히 버티지 못하는 식품이라 말해도 전혀 지나치지 않다. 보르츠는 말 그대로 전식으로, 진을 칠 때에는 다른 문화권 군대들처럼 제대로 된 조리기구와 여러 식재료를 사용해 음식을 해먹었다. 보르츠와 함께 전식으로 많이 가지고 다닌 것은 고형치즈와 비슷한 아롤이란 유제품이다.라는 답변을 구하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04.24
0
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