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조선시대에는 장애인과 비장애인에 대한 차별이 덜했다고 하네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에서는 1988년 서울올림픽이 열리면서 풍속정화라는 이름으로 장애인들을 전부 수용소에 가뒀습니다. 외국 사람들에게 보이기 부끄럽다는 거죠. 이것이 결정적 계기가 됐습니다. 문명이 발달했다고 하나 사회의식은 반대로 흘렀습니다.수치입니다.
학문 /
미술
23.04.19
0
0
정조의 탕평정치에 대해 자세히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새로운 정치이므로 영조입니다 정조는 영조의 탕평을 계승해서 준론 탕평을 펼쳤습니다.영조와 정조는 탕평정치를 통해 왕권을 강화하고자 했습니다.영조는 각 붕당의 정치명분 즉, 의리론을 인정하지 않고, 당파적인 입장에서 떠날 것을 요구했습니다.반면, 정조는 노론, 소론, 남인 각각의 의리론을 인정하면서도 국왕의 의리론도 주장하였습니다. 이른바 '의리탕평론'이라 하겠습니다.라는 답변을 구하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04.19
0
0
상평통보는 언제 어디서 만들어진건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왕조실록의 기록에는 숙종4년(1678년)이 상평통보의 최초 주조 연대로 표기 되어 있습니다.인조 11년 (1633년) 상평청에서 상평통보를 주조하였다 라는 기록도 있습니다상평청을 설치하고 주조 하였고 관청에서 주조하여 주조한 관청이르이 뒷면에 있다고 하는 답변을 구하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04.19
0
0
영조가 만든 탕평채란 요리에서 재료들의 의미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왕조 중엽에 탕평책의 경륜을 펴는 자리에서 청포에 채소를 섞어 무친 음식이 나왔으므로 탕평채라고 하였습니다.붕당정치의 폐해로 아들을 잃은 영조는 정치적 화합을 실현하는 구심점으로 ‘탕평책’을 고안해냈다. 대신들과 탕평책을 논하는 자리에서 그 의미를 환기시키기 위해 ‘탕평채’란 음식을 선보였다고 한다영양균형 완벽 탕평채 탕평채는 청포묵에 갖은 야채·달걀 지단·김 등을 얹어 버무린 묵무침이다.라는 답변을 구하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04.19
0
0
조선시대 3대 도적 중 장길산이라는 인물이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장길산은 조선 숙종 때 해서 지방의 구월산(九月山)을 중심으로, 전국적으로 활동한 도둑의 우두머리입니다. 조선 숙종 때의 도둑의 괴수로, 본래 광대 출신이나 용맹하여 황해도 일대에서 도당을 모아 도둑의 괴수가 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4.19
0
0
삼국지의 전투를 보면 백만대군이 나오는 실재 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삼국지 소설은 허구가 많이 썩여 있습니다.재미를 더하기위하여 만든 작품입니다.어느정도 병사들의 수는 많았지만 백만은 허구입니다.
학문 /
역사
23.04.19
0
0
대동법에 대해 궁금한게 있어서요 자세히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농민들 입장에선 농사 짓느랴 바쁜데 공물까지 마련하느라 농사 못 짓거나 혹은 토지를 팔아서 마련하는 등 폐해가 나타났는데, 대동법으로 쌀만 납부하면 해결되니 농민들의 부담이 덜어졌습니다.라는 답변을 구하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04.19
0
0
최영장군과 이성계는 어떻게 대립하게됐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388년 수문하시중이 되었는데 이때 명나라가 철령위를 설치, 북변 일대를 요동에 귀속시키려 하자 정벌군을 이끌고 출정했으나 이성계 등의 위화도 회군으로 좌절, 이성계군이 개성에 난입하자 이를 맞아 싸우다가 체포되어 고봉(고양) 등지에 유배되었다가 개경에서 참형을 당했다. 최영과 이성계는 고려 말 홍건적 침입과 왜구 격퇴, 여진족 정벌 등으로 이름을 떨친 무장들이었지만 이성계의 반역으로 인하여 서로의 운명이 바뀌었 습니다.
학문 /
역사
23.04.19
0
0
세계에서 가장 큰 뻐꾸기 시계는 어디에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슈바르 츠발트 입니다.독일에 있다고 합니다,뻐꾸기 시계는 독일이 유명합니다. 벽시계 부속 자체를 잘 만드는 곳 입니다.
학문 /
역사
23.04.19
0
0
삼칠일(세이레)의 유래는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삼칠일을 21일을 말합니다.삼칠일을 우리말로 옮기면 세이레라고 하는데, 한국의 전통 민속/무속에서 많이 사용하던 용어입니다. 이레는 7일을 의미하며, 이레가 3번 지났다고 해서 세이레라고 하죠.우리나라에서 전통적으로 아기가 태어나면 세이레 동안 금줄로 봉인한 상태로 출입을 제한하면서 아기를 돌보는 것이 삼칠일의 유래입니다.라는 답변을 구하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04.18
0
0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